• 제목/요약/키워드: granulation tissue.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6초

신생치주조직의 성장인자 수용채 분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S OF GROWTH FACTORS RECEPTORS IN THE NEWLY FORMING GRANULATION TISSUES)

  • 김근석;김성조;최점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518-528
    • /
    • 1995
  •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distribution of receptors for various growth factors in the newly forming granulation tissues following the guided tissue regeneration procedures. Two specimens from 2 different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the newly forming granulation tissues at 2 weeks following GTR procedures using Gore-tex menbrane and rubber dam, respectively. For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ach recptor, anti-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alpha}$, anti-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beta}$. anti-insulin-like growth factor receptor, anti-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anti-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eceptor and anti-fibronectin receptor were incubated onto the specimens as primary antibodies. After the reaction, FITC-conjugated second antibodies have been applied. When the total numbers of immunoreactive cells and the true positive cells were counted, there were high variability among receptor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number of immunoreactive cells were highest in the case for anti-IFG-1 receptor. However the number of true positive cells were highest in the case for $TGF-{\beta}$ receptor. The present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receptor for $TGF-{\beta}$ were stongly expressed in the newly forming granulation tissues following the guided tissue regeneration therapy.

  • PDF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에서의 외과적 상처 치유 (Wound Healing of Surgical Incision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 박인석;임재현;김정혜;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7-172
    • /
    • 1998
  •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의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를 연결하는 중간 부위 체측상처를 수술하여, 과립형성 조직 수축 특성과 치유율 및 2차 치유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수술 푸 생존율은 수술 직후 및 수술 후 7일에 대조군의 100%에 비해 각각 95%와 99% 이었다. 수술 후 14일과 42일 사이에 사망은 없었다. 수술후 7~21에 과립형성 조직은 상피화되었으며 수술 후 29일에 과립형성 조직은 상처 주변부로 정상 위치수축을 하였다. 수술 후 35일~42일에 과립형성 조직에는 collagen 섬유가 존재하였고 표피는 잘 분화된 , alarm 물질세포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상처 부위의 표피는 모든 어류에서 조직학적으로 정사이어서, 상처 치유는 수술 35일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졌다.

  • PDF

Prognosis of Full-Thickness Skin Defects in Premature Infants

  • Moon, Hyung Suk;Burm, Jin Sik;Yang, Won Yong;Kang, Sang Yo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463-468
    • /
    • 2012
  • Background In the extremities of premature infants,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are very pliable due to immaturity and have a greater degree of skin laxity and mobility. Thus, we can expect wounds to heal rapidly by wound contrac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ound healing of full-thickness defects in premature infant extremitie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13 premature infants who had a total of 14 cases of full-thickness skin defects of the extremities due to extravasation after total parenteral nutrition. The wound was managed with intensive moist dressings with antibiotic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fter wound closure, moisturization and mild comp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Most of the full-thickness defects in the premature infants were closed by wound contraction without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on the wound bed. The defects resulted in 3 pinpoint scars, 9 linear scars, and 2 round hypertrophic scars. The wounds with less granulation tissue were healed by contraction and resulted in linear scars parallel to the relaxed skin tension line. The wounds with more granulation tissue resulted in round scars. There was mild contracture without functional abnormality in 3 cases with a defect over two thirds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dorsum of the hand or foot. The patients'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s in 12 of 14 cases. Conclusions Full-thickness skin defects in premature infants typically heal by wound contraction with minimal granulation tissue and scar formation probably due to excellent skin mobility.

알콜(Alcohol)주사가 구강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LCOHOL INJECTION IN RAT ORAL MUCOSA)

  • 민병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12호
    • /
    • pp.957-962
    • /
    • 1977
  • The author has observed the tissue reaction of the absolute alcohol infection of rat oral mucosa. 0.5ml absolute alcohol was injected subcutaneously on the mucobuccal fold of rat. And the rats were sacrifieced at intervals of one day, 3rd, 1 week, 2 week and 4 week after alcohol injection. The microscopic tissue sections were made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he results were are as follows; 1. Degeneration and shrinkage of fibroblasts and coagulative necrosis were observed one day to and three day after alcohol injection. 2. Although coagulative necrosis and tissue degeneration occurred, the inflammatory infiltration was not prominent especially there were scarcely an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in that field. 3. Granulation tissue with moderate small round cell infiltration were replaced the necrotic area at one week after injection and the fibroblast proliferate into the granulation tissue at two week group. 4. At four week after injection, the damaged area recovered by fibroblastic proliferation and collage formation, but there were

  • PDF

Screening of Alstonia scholaris Linn. R. Br., for wound healing activity

  • S, Arulmozhi;VP, Rasal;Sathiyanarayanan, L;Ashok, Purnim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3호
    • /
    • pp.254-260
    • /
    • 2007
  • Alstonia scholaris (Family: Apocynaceae) has been indicat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one among which is wound hea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und healing effect and antioxidant role of Alstonia scholaris leaves in animal models. The ethanol and aqueous extracts of Alstonia scholaris (EEAS, AEAS respectively) were tested against excision, incision and dead space wound models to evaluate the wound healing activity. In excision wound model, treatment was continued till the complete healing of wound, in incision and dead space wound models, the treatment was continued for 10 days. For topical application, 5% w/w ointment of EEAS and AEAS were prepared in 2% sodium alginate. For oral administration, EEAS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using Tween 80 and AEAS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wound healing was assessed by the rate of wound contraction, period of epithelialisation, skin breaking strength, granulation strength, dry granulation tissue weight, hydroxyproline, collagen and histopathology of granulation tissue. Malondialdehyde level was also estimated to evaluate the extent of lipid peroxidation. AEAS and EEAS significantly promoted wound healing activity in all the wound models studied. Increase in the rate of wound contraction, skin breaking strength, granulation strength, dry granulation tissue weight, hydroxyproline and collagen, decrease in the period for epithelialisation and increased collagenation in histopathological section were observed with EEAS and AEAS treated groups. EEAS and AE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lipid peroxidation. The present study is suggestive that EEAS and AEAS promote wound healing activity.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An extract of the root of Lithospermun erythrorhison accelerates wound healing

  • Fujita, Naoko;Sakaguchi, Ikuyo;Ikeda, Norikazu;Kato, Yoshiko;Minamino, Miki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540-567
    • /
    • 2003
  • Metabolic disease such as diabetes, which is caused by stress or imbalanced diet, has been increasing. A diabetic tend to suffer from a delay or difficulty of wound healing. The extract of SHIKON (SK), that is the root of Lithospermun erythrorhison,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effect on healing for normal wound, but has never studies for intractable wound so far.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SK extract on wound healing with healing impaired mouse model. Full-thickness round wounds were created on the backs of db/db mice and applied SK, and we observed neovascularization and collagen synthesis,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ositive cells in granulation tissue. After two weeks, a number of capillary vessel and collagen synthesis were increased in SK-treated wounds. Infiltration of VEGF-positive neutrophils was also seen in the wound, besides apoptotic fibroblasts and endothelial cells were appeared in the granulation tissue. After three weeks, the wound closed completely with SK-treated but not in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 enhanced neovascularization by VEGF and this kind of apoptosis process makes the scar smooth. In this study, it is obvious that SK also accelerates healing of intractable wound.

  • PDF

New proposal for skin grafts on tendon-exposed wounds

  • Um, Jung Hwan;Jo, Dong In;Kim, Soon Heu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1호
    • /
    • pp.86-90
    • /
    • 2022
  • Performing a skin graft is not feasible for tendon-exposed defect reconstruction because tendons are fibrous connective tissues with relatively poor blood suppl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ffectively perform skin graft surgery in tendon-exposed wounds. A 48-year-old male patient with diabetes mellitus had a very large left dorsal foot defect (8×8 cm). The wound bed had healthy granular tissue, with tendon exposure. The tendons were turned over so that the posterior side would behave as the anterior side. The edge of the paratenon was then fixed together to the surrounding granulation tissue or dense remnant fascia using absorbable sutures, and the close granulation tissue was approximated and buried. A split-thickness skin graft was performed after 1 week. The graft site was stably taken on postoperative day 3. A small disruption was then observed at the graft site within 1 week postoperatively, but conservative treatment was continued for 1 month, after which the defect site was completely restored. This technique can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skin grafts for defects with tendon exposure.

백서 날문부에서 스텐트 유도 조직 과증식 형성을 위한 전임상 모델에 관한 연구 (A Rat Pylorus Stricture Model to Create Stent-induc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5
    • /
    • 2022
  • 대체적으로는 전임상 평가로써 소·대동물을 통한 의료기기 개발 평가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위 날문부 협착 치료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형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파일럿실험으로 백서 3마리에서 날문부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정상의 날문부 사이즈를 확인하였으며, 그에 맞는 사이즈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1주일 내에 모든 백서에서 스텐트의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스텐트를 투시 가이드 하에 gastrostomy 후 스텐트 삽입 시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여 조직 과증식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Gastrostomy Group으로 나누었다. Stent Group 백서를 마취 후 복부 절개 후 투시 가이드하에 gastrostomy를 실시하여 위 날문부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또한,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의 스텐트와 스텐트가 삽입된 위의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수술 후 4주 뒤 위장조영술을 시행 후 희생하였다. 위의 날문부 과증식 정도 평가를 위해 희생 후 적출한 위의 날문부 병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 및 면역 염색 평가에서 Gastrostomy Group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all p<.001). 결론적으로 Gastrostomy를 통한 위 날문부 수술 모델은 위 날문부 스텐트 삽입술 전임상 평가를 위한 조직 과증식의 형성 정도가 연구평가 툴로써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중이염의 교실내 병변과 청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Hearing Disturbance and Middle Ear Pathology in Chronic Otitis Media)

  • 박동석;전재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4-5
    • /
    • 1979
  • 만성중이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가장 빈도가 높은 질병중의 하나이며 항생물질 및 화학요법 등 많은 의학의 발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법으로는 수술요법 밖에 없는 실정이다. 만성중이염의 수술요법은 중이화농의 제거를 위한 근치수술에서 부터 시작되어 근년에 이르러서는 중이염의 제거는 물론 청력개선을 도모하는 소위 고실성형술이 발달하였다. 고실성형술의 술식에 따른 수술후 청력 개선에 관해서는 학자들의 많은 연구가 있으나 술전 청력과 고실내 상태와의 관계는 언급이 적다. 저자들은 술전 청력상으로 중이내 병변의 종류와 정도를 추정할 수 없을가 하는 문제와 전음기구의 기초적, 실험적 이론을 어떻게 적응시키고 응용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착안하여 술전 청력이 가지 는 의의를 규명하고 이에 따라 수술 술식을 선택할 계획의 일부로서, 고실내 병변과 청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1977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수술현미경하에 고실성형수술을 시행한 만성중이염 189례를 대상으로 술전 청력장애와 술중 관찰한 고실내 병변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관찰항목출 고실내 이소골의 병변을 중심으로 이소골에 특별한 병변없이 고막천공만 있는 군(Ⅰ군), 이소골연쇄의 운동성 및 연속성에 이상이 없이 이소골 주위에만 병적 육아조직이 있는 군(Ⅱ군), 이소골의 연속성은 정상이나 가동성에 이상이 있는 군(Ⅲ군) 및 이소골이단군(Ⅳ군) 마다의 1) 이소골 병변, 고막청공의 크기 및 청력형과 기도청력장애와의 관계, 2) 저음역 골도연장, 고음역 골도장애 및 Carhart's notch와 고실내 병변과의 관계 3) 교실내 육아조직의 발생부위 등과 기도청력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그 성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만성중이염 총 189례의 평균 청력손실 역치는 44.6dB였고 기도청력은 이소골 연쇄상태와 관계가 있으며 정상, 육아조직형성, 이소골 운동장애 및 이소골 연쇄의 이단 순서로 청력이 악화하였다. 2) 이소골파괴례의 평균 청력손실 역치는 49.1 dB이며 3개 이소골의 전결손례와 1∼2개의 부분결손례에는 청력손실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이소골 부분파괴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소골연쇄에 병변이 없이 고막천공만이 있는 예의 기도청력은 약 45dB이내이며 천공이 커질수록 청력장애가 악화하는 경향이나 고실내 병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소골에 병변이 없는 소천공의 청 력손실은 30dB이네 이며 30dB를 넘는 것은 이소골 기타에 병변이 있었다. 5) 청력형은 수평형과 저음역장애형이 각각 57례(30.2%), 67례(35.4)로 가장 많았으며 고음역장애형은 이소골의 운동장애가 있는 예에 많은 경항이었다. 6)이소골의 가동성이 유지되면서 어떤 형태의 부하가 있을 때는 저음역골도의 연장이 있고 고음역골도의 악화는 중이염으로 인한 내이병변으로 온다고 추정한다. 7) 소위 Carhart's notch는 14례(7.4%)했으며 이소골연쇄의 강직례에서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8)고실내 병리조직학적 염증형과 청력장애와는 관계가 없었다. 9)고실내 육아조직의 발생부위 특히 전정창과 와우창상의 병변은 청력에 영향을 주었다. 10) 이소골 이단례에서 염증성 부산물이 전음기전을 대행하는 것을 인정할 수 있었다. 11) 이상의 소견은 술전 고실내 병변을 추정하는 데 한 지표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