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matical function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2초

효과적인 문법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ways of teaching English grammar)

  • 김부자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109-132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English grammar, which is geared toward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Grammatical competence is essential to communicative competence. Grammatical knowledge cannot be acquired unconsciously in an EFL environment such as in Korea. Therefore learners should be given grammar instruction. More importantly, they should be instructed in grammar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grammatical abiliti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following is proposed for the grammar instruction placing the focus 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First, it is effective to explain the form, meaning and pragmatics of a grammatical rule to learners in Korean. Second, learners should be given instruction in grammatical patterns that deals with constructions and meanings together, which can enable them to produce sentences by themselves. Third, it should be taught to understand constructions and meanings on the basis of word orders. Then the following steps of grammar instruction are suggested. In the first step of grammatical instruction,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illustrations of grammatical structures which link communicative functions and grammar. In the second step, learners should be gotten to practice grammatical constructions repeatedly enough to use them unconsciously. Lastly, communicative activities such as description and role plays should be included in grammar instruction to integrate grammar practice and communicative language use.

  • PDF

중국 조선족 아동들의 한국어 문법 기능 습득 (Acquisition of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by Korean-Chinese Children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 이귀옥;김형재;이혜련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spontaneous utterances of 20 1-2 year old Korean-Chinese children in Yanji, China by videotaping their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for 30 minutes on 4 separate occasion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then analyzed by grammatical func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order and pattern of the acquisition of the case marking system of Korean-Chinese bilinguals differed from that of Korean monolinguals. Bilinguals used the accusative marker -lul earlier than the nominative marker-ka and overextended the accusative marker more often than the nominative mark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Gathercole (in press) who found that bilingual children differed from monolinguals in mastering grammar.

  • PDF

사용자의 기능간 유사성 인식이 절차 일관성 평가에 주는 영향 (Effect of user′s semantic affinity of functions on evaluation of procedureal consistency)

  • 박지수;윤완철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13
    • /
    • 1999
  •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들이 맡은 인터페이스 모델링 연구자들에 의해서 개발되어 왔다. Reisner (1981)의 GRAL(Grammatical Representation of Action language) 모형으로부터 시작된 일관성 평가 모형 개발은 TAG(Task Action Grammar; Payne and Green, 1986), APT(Agent Partitioning Theory: Reisner, 1993), PROCOPE(Poitrenaud, 1995) 모형으로 발전되었다.(중략)

  • PDF

'막'의 운율적 특성과 담화적 기능 (Prosodic features and discours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ak'('막'))

  • 송인성
    • 한국어학
    • /
    • 제65권
    • /
    • pp.211-236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mak' and their discourse functions through analyzed the prosodic features of 'mak'. The previous studies of 'mak' focused on grammatical or semantic characteristics,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sodic features of 'mak' based on speech data. As a result, adverb 'mak' and discourse marker 'mak' are distinguished from prosodic boundary, duration, pause and sort of number tonal patterns.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ak' is as follows: Maintenance of utterance, Attention, Delay, Expression negative manner. These functions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their functions. Consequently prosodic features are important to analyz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functions of 'mak'.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ritten Texts of a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 전수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25-547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수학언어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교과서 텍스트와 교사의 수업담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자료는 고등학교 수학1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에 대한 수업의 녹취록과 수업에 사용된 교과서 텍스트이며, 이 자료를 Halliday(1994)의 체계기능언어학에 따라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과서는 의미의 상하관계를 이용한 일반화, 명사화를 통한 수학적 대상화, 주제부의 변화를 이용한 의미의 구체화와 같은 어휘문법 전략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예시로부터 일반화를 통해 수학적 개념을 구성하는 설명방식을 사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의 조직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의 설명은 동사성의 변화와 이유 및 절차 담화의 추가를 통해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구성해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교사 설명담화의 언어적 특징으로는 맥락적 생략으로 인한 화용적 함축과 어휘소의 누락이 나타났으며, 담화의미 층위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인 어휘문법 자원의 사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수업 담화를 분석하는 새로운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On Deriving Constraints on Bound Anaphora

  • Lee, Hyun-Oo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2권1호
    • /
    • pp.214-255
    • /
    • 1998
  • Close examination of previous constraints on bound anaphora that are designed to directly constrain the distribution of referentially dependent(RD) items shows that no universal structural relation may exist that relates RD items to their antecedents. As an alternative to these constraints, this paper proposes an axiom of semantic interpretation, called the Principle of Referential Autonomy, which dispenses with any pretheoretical notion of grammatical functions or configurational notion like c-command. Together with certain English-specific facts, this principle enables us to infer the ungrammaticality of core examples of strong and weak crossover.

  • PDF

담화 차원의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거든(요)'의 화용적 기능 분석 연구 (The Study of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for Korean grammar teaching on a discourse level)

  • 한하림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209-2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expressed in the discourse associating with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actual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xt, contextual factors surrounding the discours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order to reveal the function of grammar expressed in the discourse. Also, there is need to consider the grammatical functions in terms of the linguistic user which is the subject of interaction in the discourse. Based on this necess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As a result, '-ketun(y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shared context in communication contexts. The shared context is expanded through generative mutual knowledge and priori mutu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ketun(yo)-' was used at a high frequency in the expansion of generative mutual knowledge formation. In addition, '-ketun(yo)-' appeared to have a discourse cohesion function that binds topics with other topics. In the case that '-ketun(yo)-' is formed through priori mutual knowledge, '-ketun(yo)-' could be used as a sign to lead the un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based on actual utterance.

담화상에 나타나는 목적격표지 {-를}의 음향적 특성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ccusative Marker {l${\i}$l} in Discourse)

  • 김기호;김화영;김민정
    • 음성과학
    • /
    • 제6권
    • /
    • pp.55-8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ccusative marker {-lil} which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in discourse. Generally, in written texts or read speeches, it is seldom omitted and it certainly seems to serve a grammatical function. But in ordinary discourse, speakers do not use it in many cases. That is, the environments speakers use {-lil} differ from those they do not. According to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lil} functions as a pragmatic factor and adds to the meaning of the object in an utterance.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utterances that contain the marker {-lil} with those of utterances that do not, especially based on Korean Intonational Phonology, we will demonstrate that the Korean accusative marker {-lil} shows clearly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pragmatic factors which reflect speakers' special intention.

  • PDF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 전략: 친근감 여부에 따른 공손을 중심으로 (Politeness Strategy in German Communication: Focusing on Politeness according to Familiarity)

  • 문윤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35-644
    • /
    • 2020
  • 이 논문은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공손의 유형과 기능을 토대로 공손 전략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공손'이란 단어는 독일어에서 문법 용어가 아니지만, 문법서 여러 곳에서 눈에 띈다. 공손의 기준은 언어체계의 규칙에 따라 구성될 뿐만 아니라 언어 외적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경계가 모호하다. 공손은 사회적 가치 못지않은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기도 하다. 공손한 표현은 우선 대화 당사자 간의 친근감 여부에 따른 호칭 형태, 동사의 화법, 그리고 양상 불변화사를 통하여 나타난다. 화법동사는 청자에게 직접적인 요구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주지 않는 공손 표현으로 분류된다. 친근감을 수반하는 양상 불변화사도 체면위협행위를 약화키거나 회피함으로써 청자의 발화를 제한하는 적극적 공손 전략의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프랑스어 전치사 de의 의미 구조와 문법화 (The Semantic Structure and Grammaticalization of the French Preposition de)

  • 박정준
    • 비교문화연구
    • /
    • 제50권
    • /
    • pp.453-482
    • /
    • 2018
  • 프랑스어의 de와 같은 전치사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문법적 기능만 가지고 있을 뿐이라는 기존 연구의 입장에 대한 의구심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전치사 de의 쓰임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그 쓰임들을 '출발점을 표현', '특성을 부여', '문법 기능을 수행'이라는 세 개의 부류로 나누어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출발점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공간의 영역과 시간의 영역에서 탄도체가 출발점을 떠나 도착점을 향하는 여정의 개념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태적 개념을 갖는다. 반면에, 특성을 부여하는 전치사 de의 보어는 어떤 특정 부류에 대하여 그 부류의 특징을 규정하는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특정 부류의 외연을 한정한다. 이 보어는 한정된 부류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해당 부류와 공존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전치사 de가 이 경우에는 정태적 개념을 갖는다. 이러한 동태적 개념과 정태적 개념이 모두 퇴색되고 극도로 문법화가 되어 내재적 관계의 개념만 있는 경우가 전치사 de에 의해 동사 원형이 보어로 도입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