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filling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9초

벼의 생산력 분석(分析) -IV. 수기(受器)의 충전속도(充塡速度)와 수기(受器)-급기(給器) 관계(關係)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IV. Sink-filling rate and sink-source relation)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5-105
    • /
    • 1973
  • IR667 계통(系統)(Suwon 213 및 214)과 장려품종(진흥(振興) 및 팔달(八達))의 수용기(受用器)(Sink) 및 급여기(給與器)(Source)의 크기와 그들간(間) 거리(距離), 동화산물의 형태(形態), 기상인자(氣象因子)와 관련(關聯) 수기(受器)(곡실(穀實))충전(充塡) 속도(速度)를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IR667 계통(系統)은 장려 품종보다 최고수기충전속도(最高受器充塡速度)가 크고 빨리온다. 충전속도곡선(充塡速度曲線)의 양상(樣相)은 IR667 계(系)는 준봉형(峻峰型)을 장려품종은 구릉형(丘陵型)을 보인다. 2. 기상인자(氣象因子)는 충전곡선(充塡曲線)의 양상(樣相)에 큰 변화(變化)를 주지 못하는 것 같다. 3. 수기일급기간(受器一給器間) 기능거리(機能距離)(실거리(實距離)${\times}$각엽(各葉)의 생산기여율는 상위엽의존형(上位葉依存型)인 IR667 계(系)에서는 상위엽(上位葉)이 짧고 하위엽의존형(下位葉依存型)인 장려품중에서는 하위엽(下位葉)이 짧다. IR667의 상위엽의존성(上位葉依存性)이 유난히 짧은 제(第)1간장(稈長)(상부(上部)로부터)에 기인(基因)하는것 같다. 4. 간(稈)과 엽초의 유리당(遊離糖)/전분비(澱粉比)에 따라 IR667계(系)는 고당형(高糖型)으로 장려품종은 고전분형(高澱粉型)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전이성(轉移性)(당(糖))과 비전이성(非轉移性) 동화산물(전분(澱粉))의 비(比)가 수기충전속도(受器充塡速度)와 관련되고 고당형(高糖型)이 생산효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5. 군락구조(群落構造)의 각생산계층내의 균등도(均等度)가 클수록 곡실생산의 효율성이 높다는 가설(假說)을 제시(提示)하고 다수성(多收性) 및 안전성(安全性)과 관련(關聯)하여 검토(檢討)하였다. 6. 엽위별(葉位別) 엽신(葉身)의 N.P.K. 잔존률양상(殘存率樣相)이 진흥(振興)에서는 상부잔존형(上部殘存型)으로, IR667은 중앙부(中央部) 잔존형(殘存型)으로 구분(區分)되어 생산구조 보전형식(保存型式)의 원인(原因)으로 해석되었다. 7. 기관별(器管別) N.P.K 농도(濃度)와 함량분포비율(含量分布比率)에 의(依)하여 IR667은 엽초중심형으로 진흥(振興)은 엽신중심형(葉身中心型)으로 분류(分類)되었다. 8. 동일품종내(同一品種丙)에서 N.P간(間) N.P.K 각양분내(各養分內)에서 품종간(品種間) 수(穗)로의 전이율(轉移率)이 큰 경우 엽신잔존율(葉身殘存率)도 크다.

  • PDF

근동질유전자 계통인 찰벼와 메벼의 전엽과 절영처리에 따른 등숙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by Source-Sink Size Control in Glutinous and Non-glutinous Near Isogenic Line of Rice)

  • 김춘송;안종국;정일민;강항원;이재생;고지연;박성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3-250
    • /
    • 2004
  • 본 시험은 찰벼의 수량제한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찰$.$메근동질유전자 계통인 화청찰벼와 와청벼를 공시하여 공급부위(잎)와 수용부위(영화)의 조절이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찰벼의 수량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삭당 총립중과 편균립중의 감소경향은 두 품종 모두 차엽처리구 < 지엽처리구 < 상위 1, 3엽처리구 < 상위 1,2엽처리구 < 상위 1, 2, 3엽처리구 순이었다. 상위 1, 2, 3엽 제거에 의한 총립중과 평균립중의 감소율은 화청찰벼에 비하여 화청벼에서 컸다. 2.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전엽처리에 의한 고밀도립비율과 등숙율이 2차지경보다 1차지경에서 높았다. 3.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영화의 절제처리에 의하여 이삭당 총립수와 총립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한 반면 평균입중과 등숙율은 증가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한 평균입중의 증가율은 1, 2차지경립 및 상$.$하위지경립의 절제구 모두에서 화청찰벼가 화청벼보다 높았다. 4. 영화의 조절의 의하여 두 품종 모두 고밀도립비율과 등숙립비율이 증가되었으며 고밀도립비율은 화청찰벼가 화청벼에 비하여 높았던 반면에, 등숙립비율은 화청벼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Seven Days of Consecutive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Caused Irreparable Yield Reduction in Corn (Zea mays L.)

  • Kim, Sang Gon;Shin, Seonghyu;Jung, Gun-Ho;Kim, Seong-Guk;Kim, Chung-Guk;Woo, Mi-Ok;Lee, Min Ju;Lee, Jin-Seok;Son, Beom-Young;Yang, Woon-Ho;Kwon, Young-up;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96-207
    • /
    • 2016
  • In monsoon climates, persistent shade is a troublesome weather condition with an impact on the growth and yield of corn (Zea mays L.). We imposed 7, 14, 21, and 28 days of consecutive shade (CS) on Gwangpyeongok and P3394 corn hybrids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Shade had little impact on leaf area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stem and leaves. However,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ear was severely reduced by approximately 28% and 53% after 14 and 28 days of CS, respectively. For the components of grain yield, 7 and 14 days of shade did irreparable damage to the number of filled kernels, the kernel number per ear row, and the percent of filled kernels, but did little damage or reversible damage after removal of the shade to the 100-grain weight and the row number per ear. Shad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due to a decrease in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rce activity limitation by shade during the kernel filling stages leads to the inhibition of sink activity and size. The yield of biomass, ear, and grain logistically declined as the length of CS increased. Probi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days of CS needed to cause 25% and 50% reductions in grain yield were 3.7 and 23.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 yield loss induced by shade at the beginning of the kernel filling stages is mainly achieved within the first 7 days of consecutive shade.

고위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수량 향상을 위한 등숙적온 분석 (Optimum Grain Filling Temperature for Yield Improvement of Rice Varieties Originated from High-Altitude Areas)

  • 양운호;강신구;최종서;박정화;김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182-191
    • /
    • 2020
  •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저온 지역인 북한과 중국 동북3성에서 재배되는 자포니카 벼 품종의 등숙적온이 더 낮은지를 밝히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과 인공기상실에서 등숙기간 중 기온을 조절하여 2년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시험에서 백미중 향상을 위한 출수 후 40일간 등숙 적온은 북한 품종에서 22.6~23.0℃, 중국 동북3성 품종에서 21.5~22.3℃로, 남한 품종의 21.5~23.6℃에 비해 낮지 않았다. 2. 2017년 1차 이앙에서 북한 품종 중 길주1과 중국 재배 품종은 남한의 오대 대비 출수기가 7~12일 빨랐다. 3. 인공기상실에서 개화 수정 후 수확기까지 동일한 온도 조건으로 평균기온을 16~22℃로 처리하여 검토한 결과, 남한 품종 중 삼광과 북한 품종 중 평양21을 제외한 7품종에서 백미중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평균기온 16℃까지 잠재 등숙성이 유지되었다. 4. 포장시험에서 품종별 상관식에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16, 18, 20, 22℃를 대입하여 분석한 백미중 지수는 인공기상실 시험과 다르게 22℃보다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5. 대부분의 품종에서 수확기경에 평균기온 10~16℃ 사이가 유지된 조건에서 백미중이 가장 높았고, 16℃보다 높거나 10℃보다 낮아지는 조건에서는 수량이 저하되었다. 6. 종합적으로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저온지역에서 적응하는 벼 품종의 특성은 낮은 등숙적온이 아니라 짧은 생육 기간이며, 포장 조건에서 나타나는 벼의 등숙적온은 온대기후 특성상 등숙후기에 기온이 저하되는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등숙기간중 온도와 벼 이삭 지경간 곡립의 형태 형성차이 (Effect of Temperatures during Ripening Period on Morp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his-Grain in Rice)

  • 이정일;신진철;김제규;김이훈;조동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62-669
    • /
    • 1995
  • 벼 등숙기 온도 차이가 쌀의 등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3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숙기가 다른 3개 품종(오대벼, 화성벼, 동진벼)과 등숙온도(22/16$^{\circ}C$, 26/18$^{\circ}C$, 22/22$^{\circ}C$, 30/22$^{\circ}C$, 자연상태 등숙)를 달리하여 천립중, 수량, 비중별 입중 및 입수 분포비율, 현미의 외관형태 등의 등숙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온도에 따른 천립중은 고온(30/22$^{\circ}C$)보다는 저온(22/16$^{\circ}C$)에서, 적온의 경우에는 항온(22/22$^{\circ}C$) 보다 변온(26/18$^{\circ}C$)에서 무거웠고, 지경별로는 1차 지경이 2차 지경에서 보다 무거웠다. 따라서, 천립중 및 현미 수량으로 본 벼 등숙적온은 평균온도로 22 였고, 변온등숙(26/18$^{\circ}C$)이 항온등숙(22/22$^{\circ}C$) 보다 등숙에 유리하였다. 2. 비중 1.20이상 되는 입중분포는 오대벼의 경우 22/16 에서 약 62%, 22/22 에서 49%, 26/18 에서 약 8% 정도로 주간 등숙온도가 22 보다 높을수록 그 비율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화성벼와 동진벼는 비중 1.20이상의 입중분포비율이 22/22$^{\circ}C$> 26/18$^{\circ}C$> 22/16$^{\circ}C$> 30/22$^{\circ}C$의 순으로 높았으며, 1차 지경보다 2차 지경에서 충실립 분보비율이 낮았다. 3. 공시품종 모두 22/16$^{\circ}C$~22/22$^{\circ}C$의 저온 및 적온등숙시에는 비중 1.15이상에 분포하는 입수비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30/22$^{\circ}C$의 고온등숙에서는 충실립 분포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부피로 본 곡립의 크기는 공시품종 모두 항온(22/22$^{\circ}C$)에서 등숙된 곡립이 변온(26/18$^{\circ}C$)에서 등숙된 곡립보다 작았으며, 저온에서 등숙된 것일수록 큰 경향이었다.

  • PDF

맥류등숙향상에 관한 연구 제2보 온도 및 토양수분차이가 소맥의 생육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Grain-filling in Wheat II. Effects of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he Growth and Grain-filling in Wheat)

  • 하용웅;류용환;연규복;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9-444
    • /
    • 1983
  • 본 시험은 1979/1980년 맥작기간중 맥류연구소에서 소맥품종 그루밀과 청계밀을 포장에 파종하여 추파성을 소거한 후 온실에 이식하여 출수기까지 주간/야간온도를 20/15$^{\circ}C$ 조건에서 재배한 다음, 출수기 이후 주간/야간 온도를 30/$25^{\circ}C$(고온구), 20/15$^{\circ}C$(적온구)의 두 처리구를 두고 각 온도별 토양수분을 포장용수량의 50-60%(적습구), 40-50%(한발구)의 두 처리로 하여 온도와 토양수분의 차이가 소맥의 생장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등숙기간은 각각 적온구에서 6-7일과 38-40일었고 고온구에서는 각각 4일과 29-31일이 소요되었다. 2. 출수후 15일의 엽면적지수 및 엽록소함량은 적온적습구, 고온적습구, 적온한발구, 고온 한발구 순으로 엽면적지수가 높았고, 엽록소함량이 많았으나 이후 고온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출수후 22일에 영에 이른 반면 적온구에서는 그 감소정도가 완만하여 출수후 45일까지 유지되었다. 3. 토양수분 부족에 의한 1$\m^2$당 수수 감소 정도는 그루밀에서 컸고, 동일수분 조건일 때는 고온에 의한 수수 감소 정도는 청계밀에서 컸다. 4. 곡립중은 고온에서는 립의 발육이 빨라서 출수후 29일에 최고에 달했으나 적온구에서는 발육정도가 완만하여 45-50일에 최고에 달하였고, 립중도 무거웠다. 5. 소수단수별 착생립수 및 천립중 분포는 이삭의 기부로부터 5-8 > 1-4 > 9-12 > 13이상의 소수순으로 많았고 립중도 무거웠다. 6. 1$\m^2$당 수량은 적온적습구에 비하여 두 품종 모두 적온한발구 25%, 고온적습구 45-51%, 고온한발구 60-75%가 각각 감수되었다.

  • PD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Korean Bread Wheat

  • Chuloh Cho;Han-Yong Jeong;Yulim Kim;Jinhee Park;Chon-Sik Kang;Jong-Min Ko;Ji-Young Sh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4-124
    • /
    • 2022
  • Wheat (Triticum aestivum L.) is the major staple foods and is in increasing demand in the world. The elevated temperature due to change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major factor affecting wheat development and grain quality.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winter wheat is between 15~2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wheat according to the elevated temperature.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two Korean bread wheat (Baekkang and Jokyoung)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TGT). Two bread wheat cultivars were grown in TGT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e. TO control (near ambient temperature), T1 control+1℃, T2 control+2℃, T3 control+3℃. The period from sowing to heading stage has accelerated, while the growth properties including culm length, spike length and number of spike, have not changed by elevated temperature.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grain yield was reduced under T3 conditio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condition. In addition, the. The grain filling rate and grain maturity also accelerated by elevated temperature (T3). The elevating temperature has led to increasing protein and gluten contents, whereas causing reduction of total starch conten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reduced expression of starch synthesis genes and increased gliadin synthesis or gluten metabolism genes during late grain fill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levated temperature (T3) leads to reduction in grain yield regulating number of grains/spike, whereas increasing the gluten conten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tarch and gliadin-related genes or gluten metabolism process genes expression. Our results should be provide a useful physiological information for the heat stress response of wheat.

  • PDF

소실모형주조공정으로 제조한 Al-Si-Mg계 주조합금의 기계적 성질 및 주형 충전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 Filling Capability of Al-Si-Mg Casting Alloy Fabricated by Lost Foam Casting Process)

  • 김정민;하태형;최경환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3-158
    • /
    • 2016
  • The lost foam casting process was used to fabricate Al-Si-Mg cast specimens, and the effect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rocess variables on the tensile properties and the mold fill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Some porosity formation was observed in thick sections of the casting and better tensile properties were obtained for thin sections, presumably because of their lower porosity and the higher cooling rate. Tensile properties were not clearly enhanced by grain refining treatment with Ti; however, the elong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Sr modification of the Al-Si-Mg alloy. The mold filling distance wa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pouring temperature of the melt, and the distance was also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i.

Transcript Analysis of Wheat WAS-2 Gene Family under High Temperature Stress during Ripening Period

  • Ko, Chan Seop;Kim, Jin-Baek;Hong, Min Jeong;Kim, Kyeong Hoon;Seo, Yong Weo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363-380
    • /
    • 2018
  • Wheat is frequently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anthesis and ripening period, which resulted in yield loss and detrimental end-use-quality. The transcriptome analysis of wheat under high temperature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grain filling period was undertaken. Three expression pattern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were identified. The DEGs of seed storage protein and starch-branching enzyme showed continuous increases in their expressions during high temperature stress, as well as during the recovery period. The activities of the enzymes responsible for the elimination of antioxida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stress. Only the WAS-2 family genes showed increased transcription levels under high temperature stress in dehulled spikelets. The relative transcription levels for sub-genome specific WAS-2 genes suggested that WAS-2 genes reacted with over-expression under high temperature stress and decreased back to normal expression during recovery. We propose the role of WAS-2 as a protective mechanism during the stage of grain development under high temperature in spikelets.

등숙기 기온 및 일사량이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Radiation on Grain Weight and Grain Nitrogen Content in Rice)

  • 이충근;김덕수;권영업;이재은;서종호;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6-44
    • /
    • 2009
  • 본 연구는 다양한 등숙기의 온도 및 일사량 조건에서 종실중 및 종실질소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등숙기 생육온도와 일사량이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의 형성과정과 이들의 최종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종 종실중은 연차 및 품종에 관계없이 등숙기 일사량이 높을수록 큰 경향이었으며, 최종 종실중에 도달하는 출수일수는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2. 종실 질소의 축적기간은 등숙기 적산일사량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최종 종실질소함량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유효적산온도(임계온도 $7^{\circ}C$)는 등숙기 생육온도에 관계없이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잘 설명하였으나, 유효적산온도 또는 적산일사량에 따른 종실중 및 종실질소 함량은 등숙기 일사량간 변이가 매우 커 이들 단일 요인으로는 등숙기 일사량에 따른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4. 유효적산온도 및 적산일사량의 상승적은 등숙기 일사량에 관계없이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잘 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