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 reac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우레아제(Urease) 고정막에 의한 요소(Urea)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Urea by Immobilized Urease Membrane)

  • 김병식;김민;허광범;홍주희;나원재;김재훈
    • 공업화학
    • /
    • 제18권1호
    • /
    • pp.10-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해로운 요소를 분해하고 분해 생성물인 암모니아($NH_3$)의 제거를 위한 우레아제 고정막 제조와 가수분해 특성에 관하여 검토되었다. 우레아제 고정막은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해 다공성 중공사막에 음이온 교환기로서 DEA를 도입한 후 요소의 가수분해를 위해 우레아제를 고정시켜 제조하였다. 음이온 교환기가 도입된 막에 우레아제가 고정된 경우 그라프트율이 증가할수록 고정량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그라프트율이 증가할수록 그라프트 체인이 신장하여 단백질이 다층으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가교제의 첨가는 우레아제 고정막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리 현상을 억제할뿐 아니라 막의 반복사용도 가능하게 하였다. 5 h의 가교 반응을 통하여 탈리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우레아제 고정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우레아제 고정막은 1 mol과 4 mol의 요소 용액에서 각각 98%와 50% 이상의 가수분해 성능을 나타내었다.

Distinctive bone regeneration of calvarial defects using biphasic calcium phosphate supplemented ultraviolet-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 Hong, Inpyo;Khalid, Alharthi Waleed;Pae, Hyung-Chul;Cha, Jae-Kook;Lee, Jung-Seok;Paik, Jeong-Won;Jung, Ui-Wo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1호
    • /
    • pp.14-27
    • /
    • 2020
  • Purpose: To overcome several drawbacks of chemically-crosslinked collagen membranes, modification processes such as ultraviolet (UV) crosslinking and the addition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to collagen membranes have been introduce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and biocompatibility of BCP-supplemented UV-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in a rabbit calvarial model. Methods: Four circular bone defects (diameter, 8 mm) were created in the calvarium of 10 rabbits. Each defect was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1) the sham control group (spontaneous healing); 2) the M group (defect coverage with a BCP-supplemented UV-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and no graft material); 3) the BG (defects filled with BCP particles without membrane coverage); and 4) the BG+M group (defects filled with BCP particles and covered with a BCP-supplemented UV-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in a conventional GBR procedure). At 2 and 8 weeks, rabbits were sacrificed, and experimental defects were investigated histologically an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Results: In both micro-CT and histometric analyses, the BG and BG+M groups at both 2 and 8 wee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ew bone formation than the control group. On micro-CT, the new bone volume of the BG+M group (48.39±5.47 ㎣) was larger than that of the BG group (38.71±2.24 ㎣, P=0.032) at 8 weeks. Histologically, greater new bone area was observed in the BG+M group than in the BG or M groups. BCP-supplemented UV-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did not cause an abnormal cellular reaction and was stable until 8 weeks. Conclusions: Enhanced new bone formation in GBR can be achieved by simultaneously using bone graft material and a BCP-supplemented UV-crosslinked collagen membrane, which showed high biocompatibility and resistance to degradation, making it a biocompatible alternative to chemically-crosslinked collagen membranes.

돼지-염소 모델에서 신선 동결된 이종 경동맥 이식편의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변화 (Time-related Histopathologic Changes of Fresh Frozen Vascular Xenograft in Pig-to-goat Model)

  • 장지민;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80-192
    • /
    • 2007
  • 배경: 최근 이종 심장 이식에서 이종항원 및 항체로 인한 초급성 또는 급성 거부반응이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이나 판막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는 이런 부위에서 이종 항원의 발현이 다른 부위보다 낮고 내피세포에 미치는 전단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고를 바탕으로 돼지-염소 모델에서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에 해당하는 경동맥을 이용한 이종 동맥 이식을 시행하고 정해진 기간 경과 후 이식편을 적출하여 이종 이식 혈관의 생체 내 중, 장기 개통성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이종 혈관 이식의 생체 내 장기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쌍의 돼지-염소 조합을 실험군으로 하여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2개월의 정해진 기간으로 나누어 각 기간마다 2마리의 돼지에서 양측 경동맥을 채취하여 얻은 4개의 경동맥편을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70^{\circ}C$에서 보존한 후 2마리의 염소의 양측 경동맥에 각각 이식하였다. 보존 기간은 2일에서 7일로 대부분 7일 이내에 동물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식 후 주기적인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개통성을 평가하였고, 정해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염소에서 이식된 혈관 도관을 적출하여 관찰한 후 hematoxylin-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또한 T 임파구 표식자와 von Willebrand factor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실험군 중 1주와 1년으로 정해진 2마리의 염소가 실험 과정과는 무관한 이유로 사망하였고, 나머지 8마리가 실험 종료시점까지 생존하였다. 생존한 8마리의 염소 가운데 3개월로 지정된 염소에서 일측 경동맥의 폐색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염소에서는 혈관의 개통성이 잘 유지되었으며, 동맥류를 형성한 이식편은 없었다. 정해진 기간 별로 적출하여 관찰하였을 때 혈관 문합부위는 잘 보존되어 있었고, 석회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이식편의 혈관 내피세포는 이식 1주 후에는 소실되어 있었고, 1개월째에는 수용체인 염소의 내피세포로 재세포화 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막 및 외막에도 염증반응과 함께 수여자의 섬유아세포 및 근섬유아세포가 침윤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내피세포화 과정은 양측 문합 부위에서 시작하여 이식된 혈관의 중간 부위로 진행되는 양상이었으며, vW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이식 후 1개월에 이식편의 전체에 걸쳐 재내피세포화가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신생 내막의 비후와 외막의 염증반응이 이식 후 3개월까지 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이식 편에서 T 임파구 표식자인 CD3 양성인 세포들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결론: 신선 동결된 이종 동맥은 조직학적으로 이종 면역 반응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생체 내에서 장기 개통성을 유지하였다.

Polycarboxylate계 콘크리트 유동화제의 합성에 있어서 공중합 조건에 따른 계면물성 변화 및 이의 시멘트 몰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plymerization Conditions in Synthesis of Polycarboxylic Type Superplasticizer on Interfacial Properties and on Cement Mortar Fluidity)

  • 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463-468
    • /
    • 2010
  • 콘크리트 유동화제로 사용되는 polycarboxylate 계 콘크리트 유동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에 있어서 친수기인 polyethylene oxide 부가몰 및 분자량에 따른 합성된 유동화제의 물성 및 이의 콘크리트 몰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원료로서 methoxy-polyethyleneglycol 및 methacrylic acid의 종류, methacrylic acid 부가량, 개시제 종류 및 양에 따른 graft 공중합 조건에 따라 얻어진 PC의 물성 및 이가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성으로는 PC 수용액의 계면물성, 시멘트 입자의 젖음성, 몰타르의 유동성 및 최종 콘크리트의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PC는 수용액에 대한 표면장력 값이 작을수록 시멘트 입자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할수록 우수한 모르타르 유동성을 보였으며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 조건에서는 MPEG 대비 MA 함량이 1.3 정도일 경우 그리고 개시제가 KSP일 경우에 합성된 PC가 가장 적합하였다.

인공이식재 $MEDPOR^{(R)}$ 를 이용한 중안모증가술(PARANASAL AUGMENTATION)과 측모의 변화 (MIDIFACIAL CHANGES FOLLOWING THE PARANASAL AUGMENTATION WITH ALLOPLASTIC $MEDPOR^{(R)}$)

  • 김선종;김명래;최장우;정상훈;이창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177-183
    • /
    • 1996
  • With the increasing esthetic requirement in orthognathic surgeries, midfacial corrective surgeries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paranasal depression. Augmentation with autogenous bones has long been the standard in facial reconstruction, however limited graft availability, donor site morbidity, and difficulties in 3-dimensional shaping were led to limited use. Porous high density polyethylene$(Medpor{(R)})$ was introduced in the 1970s as an alloplastic implants. It can be used in various size and shapes, and shortend operation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by means of cephalometrics, the degree of long term stability and gaining of the overlying soft tissue thick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There was no evidence of foreign body reaction, infection, and tissue necrosis. 2. $(Medpor{(R)})$ implants had an advantage of clinical use ; easy to contour and adapt to obtain a precise 3-dimensional construction. 3. Cephalometric study of 16 cases of paranasal augmentation revealed an overall increase of soft tissue thickness of approximately 82.1% in 6-months following. 4. The successful results could be obtained under the aseptic handling.

  • PDF

쥐의 Brain-associated ${\theta}$ Antigen과 임파조직(淋巴組織)의 ${\theta}$ 항원(抗原) 분포(分布) (Rat Brain-associated ${\theta}$ Antigen and Distribution of ${\theta}$ Antigen in Rat Lymphoid Cells)

  • 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1976
  • 가토(家兎)를 DA rat 뇌(腦)로 면역(免疫)하며 anti-rat brain assoriated ${\theta}(RBA{\theta})$ 혈청(血淸)을 만들어 rat 임파조직(淋巴組織)에 대(對)하여 세포독성(細胞毒性), 간접형광항체염색(間接螢光抗體染色) 및 GVH 반응억제능력(反應脚制能力) 등(等)을 검사(檢査)하였다. 이 $RBA{\theta}$ 혈청(血淸)은 강력(强力)한 항(抗)${\theta}$양혈청(樣血淸)이었으며 $RBA{\theta}$ 항원(抗原)은 mouse의 흉선세포(胸線細胞)와 뇌항원(腦抗原)과 교차반응(交叉反應)을 나타내었다. 이 $RBA{\theta}$ 혈청(血淸)을 사용(使用)하여 rat 임파조직(淋巴組織)의 ${\theta}$ 항원(抗原) 양성임파구(陽性淋巴球)를 검사(檢査)하였든 바 흉선임파구(胸線淋巴球)의 약(約) 98%, 임파절임파구(淋巴節淋巴球)의 $70{\sim}76%$, 말초혈액임파구(末梢血液淋巴球)의 72%, 비장임파구(脾臟淋巴球)의 $36{\sim}44%$ 및 골수(骨髓)의 4%가 ${\theta}$ 항원(抗原)을 가지고 있었다.

  • PDF

방사선 중합에 의한 설폰화 POF-g-Styrene 이온교환 섬유의 합성 및 암모니아 흡착 (Synthesis of Sulfonated POF-g-Styrene ion Exchange Fibers by Radiation-Induced Polymerization and Properties of Ammonia Adsorption)

  • 조인희;백기완;이창수;노영창;윤수경;황택성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는 $Co^{60}\;{\gamma}-ray$ 선원을 이용한 그래프트 공중합 방법으로 설폰형 이온교환 섬유를 합성하였다. 공중합체 합성 시 스티렌 단량체의 농도가 50 v/v%에서 그래프트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그래프트율은 증가하였다. 그래프트율과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설폰화율은 증가하였으며, 반응시간 20분에서 가장 높았다. 이온교환 섬유의 이온교환 용량과 함수율은 설폰화율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으며, 각각 최대 4.76 meq/g, 23.5%이었다. 암모니아 흡착량은 이온교환 용량 및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회 이상 반복 사용하여도 암모니아 흡착량은 변하지 않았다.

동종이식 연구를 위한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의 표지 및 분화 방법의 확립 (Differentiation and Labeling of Mouse Preadipocytes for Allogenic Transplantation Study)

  • 김인옥;김택승;김미형;현원석;문구현;오갑성;방사익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533-538
    • /
    • 2005
  • Due to its safety and softness, autologous fat transplantation has been commonly performed for soft tissue correction. However, the injected fat is absorbed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volume of the graft by 40-60% within a few months. Thus, there was an attempt to use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adipocytes in vitro for transplantation. Differentiated adipocytes were biocompatible and matured with gradual volume increase at transplantation site in clinical study(unpublished data). In addition, they did not induce immune rejection in response to nonself lymphocytes in a mixed lymphocyte reaction(MLR)(unpublished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mouse preadipocytes following labeling into adipocytes to establish an animal model for allogenic transplantation. Preadipocytes isolated from inguinal and retroperitoneal fat pad of C57BL/6 mice were proliferated with growth medium by passage 3 and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with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after labeled with BrdU. At most suitable conditions, above 90% of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and BrdU labeling did not affect differentiation rate and function of differentiated adipocy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rdU-labeled adipocytes resulting from this in vitro differentiation protocol are useful for allogenic transplantation study.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 환자에서 cyclosporine의 집단 약동학 분석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Cyclosporine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ediatric Patients)

  • 조소연;강원구;이정;김재연;안숙희;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29
    • /
    • 2018
  • Background: Cyclosporine is an immunosuppressive agent used to treat and prevent graft versus host reaction (GVHR)-a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cyclosporine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yclosporine clearance i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Methods: A total of 650 cyclosporine concentrations recorded in 65 patients who underwen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used. Data including age, sex, weight, height, body surface area (BSA), type of disease, chemotherapy before stem cell transplantation, type of donor, serum creatinine levels, total bilirubin concentration, hematocrit value, and type of concomitant anti-fungal agents and methylprednisolone use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related to cyclosporine dosage, administration time, and blood concentration were also collect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on-linear mixed effect model; a two-compartment model with first-order elimination was used. Results: The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cyclosporine using the NONMEM program was as follows: $CL(L/h)=5.9{\times}(BSA/1.2)^{0.9}$, V2 (L) = 54.5, Q (L/h) = 3.5, V3 (L) = 1080.0, $k_a(h^{-1})=0.000377$. BSA was selected as a covariate of cyclosporine clearance, whic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BSA. Conclusion: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for Korea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was developed, and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cyclosporine clearance was found to be BSA. The model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st appropriate dosing regimen for cyclosporine. Further studies on population pharmacokinetics should be carried out, prospectively targeting pediatric patients.

유전자 전달체로서 히스티딘이 결합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istidine-graft-Low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as a Gene Carrier)

  • 박준규;김동곤;최창용;장미경;나재운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607-611
    • /
    • 2007
  • 양이온성 천연고분자 물질로서 유전자와 효과적으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SC)에 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이기 위해 histidine을 컨쥬게이션 시킨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히스티딘-LMWSC의 제조는 무수프탈산으로 LMWSC의 아민기를 보호한 후 히스티딘과 결합한 다음 무수프탈산을 제거하는 반응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전자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FT-IR과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전기영동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제조된 유전자 전달체와 DNA가 복합체를 형성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전자 전달체의 입자크기는 DL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히스티딘-LMWSC-DNA 복합체입자의 크기는 100~200 nm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히스티딘을 함유하는 LMWSC가 유전자 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