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32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ZIGBEE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정화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Inside Environment Purifying System Using ZIGBEE)

  • 서형용;이재흥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47-450
    • /
    • 2005
  • 본 논문은 IEEE 802.15.4 표준안을 기반으로 하는 ZIGBEE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담배연기, 연료용 가스, 유기용제 등)를 감지하고 실내 정화를 시켜줌으로써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의 질병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ZIGBEE 무선 통신 기술은 낮은 전력 소모, 저비용, 최대 256 노드 수용, 32 Kbyte 이하의 단순한 프로토콜 구조 등의 특징을 갖는다. 하드웨어 플랫폼은 ZIGBEE 무선통신 기술을 위해 ATmel사의 ATmega128L, Chipcon사의 2.4GHz RF-IC CC2420와 실내의 공기오염 정도를 확인하는 먼지 센서(GP2Y1010AU)와 가스센서(GSBT11)로 구현하였다.

  • PDF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시각동기 지상시스템 시험장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Ground Test Segment for the Time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the Geostationary Satellite)

  • 이상철;김방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4-108
    • /
    • 2004
  • CDMA 무선 통신망 기지국의 경우 GPS를 사용한 시각동기 시스템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우리는 GPS의 예측할 수 없는 고장 또는 미국의 전략적 목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대체 시스템을 준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통신위성을 이용한 시각동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지상 시험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송수신 보드를 설계, 제작, 시험하였는데, 이 보드는 원자시계로부터 1PPS 신호를 수신 받으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위성 모뎀에 송신하고, 위성 모뎀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Universal Counter 가 지연시간을 측정하도록 1PP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능이자실체의 Glycoprotein (Glycoprotein in the Fruit Body of Sarcodon aspratus)

  • 조남석;최태호;조희연;안드레 레오노비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51-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능이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생리활성 성분올 분석하고, 열수추출-에틸알코올 침전에 의하여 분리한 glycoprotein 의 특성을 구명코자 하였다. 능이(Sarcodon aspratus)의 무기성분 및 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는 바, 능이는 Ca, Mg, Zn, Mn, Fe, Cu 및 Ph를 함유하였으며, 특히 Ca 및 Na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 및 총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1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등이 많았다. 총아미노산은 15종이었으며,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고,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등이 그 다음이었다. 열수-95% 에틸알코올 추출에 의하여 70.6%의 당과 3.32%의 glycoprotein을 얻었으며, 에틸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당의 함량이 상이한 glycoprotein을 얻을 수 있었는데, 에틸알코올의 농도가 30~70%로 낮은 경우, 당함량이 92%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조 glycoprotein (GP). 분자량 30만 이상의 분획(P), P분획 가운데 DEAE-Sephadex에 흡착되지 않는 분획(P-1), P-1을 다시 Sepharose 2B로 젤여과하여 얻은 부분(P-2), DEAE-Sephadex에 흡착되는 부분 (P-3) 등으로 분획한 결과, 정제과정에서 total sugar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의 함량은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당류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GP 빛 P-3 에서 glucose, galactose, mannose, fucose 등 4종의 당이 검출 되었으며, GP에는 glucose 가 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고, glutamic acid, serine, alanine, glycine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었다. P-3에는 mannose 및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P-2에서는 glucose가 많았고, 다른 fraction에는 없었던 fuc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mann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아미노산조성은 조 glycoprotein (GP)에는 glutamic acid, serine, alanine, glycine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었으며, P-3분획에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P-2 fraction의 경우는 단백질함량이 1.1%로서 매우 낮았으며, 분자량은 700,000 이상이었다.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이 비교적 다량 함유되었으며, mannose 및 cysteine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Comparison between Gel Pad Cooling Device and Water Blanket during Target Temperature Management in Cardiac Arrest Patients

  • Jung, Yoon Sun;Kim, Kyung Su;Suh, Gil Joon;Cho, Jun-Hwi
    • Acute and Critical Care
    • /
    • 제33권4호
    • /
    • pp.246-251
    • /
    • 2018
  • Background: Target temperature management (TTM) improves neurological outcomes for comatose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e compar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gel pad cooling device (GP) and a water blanket (WB) during TTM.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in a single hospital, wherein we measured the time to target temperature ($<34^{\circ}C$) after initiation of coo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oling method. The temperature farthest from $33^{\circ}C$ was selected every hour during maintenanc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absolute temperature differences from $33^{\circ}C$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If the selected temperature was not between $32^{\circ}C$ and $34^{\circ}C$, the hour was considered a deviation from the target. We compared the deviation rates during hypothermia maintenance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different methods. Results: A GP was used for 23 patients among of 53 patients, and a WB was used for the remain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baselin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cooling between the two patient groups (GP, $35.7^{\circ}C$ vs. WB, $35.6^{\circ}C$; P=0.741). The time to target temperature (134.2 minutes vs. 233.4 minutes, P=0.056) was shorter in the GP patient group. Deviation from maintenance temperature (2.0% vs. 23.7%, P<0.001)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the WB group. The mean absolut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33^{\circ}C$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was $0.19^{\circ}C$ (95% confidence interval [CI], $0.17^{\circ}C$ to $0.21^{\circ}C$) in the GP group and $0.76^{\circ}C$ (95% CI, $0.71^{\circ}C$ to $0.80^{\circ}C$) in the WB group. GP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difference by $0.59^{\circ}C$ (95% CI, $0.44^{\circ}C$ to $0.75^{\circ}C$; P<0.001). Conclusions: The GP was superior to the WB for strict temperature control during TTM.

저근백피의 Virus-Cell Fusion 저해활성 성분 (Virus-Cell Fusion Inhibitory Compounds from Ailanthus altissima Swingle)

  • 장영수;문영희;우은란
    • 생약학회지
    • /
    • 제34권1호통권132호
    • /
    • pp.28-32
    • /
    • 2003
  • In order to search for the anti-HIV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eighty MeOH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were applied to a syncytia formation inhibition assay which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IV-1 envelope glycoprotein gp120/gp41 and the cellular membrane protein CD4 of T lymphocytes. Among them, Ailanthus altissima showed a potent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Repeated column chromatoghaphy of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A. altissima afforded compounds 1$({\beta}-sitosterol-3-O-{\beta}-D-glucoside)$, 2(tetramethoxycoumarin), and 3(ocotillone).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of compound 3(ocotillone) was $70.76{\pm}4.09%$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Push-out bond strength and dentinal tubule penetration of different root canal sealers used with coated core materials

  • Sungur, Derya Deniz;Purali, Nuhan;Cosgun, Erdal;Calt, Semr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2호
    • /
    • pp.114-120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ush-out bond strength and dentinal tubule penetration of root canal sealers used with coated core materials and conventional gutta-perch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2 single-rooted human mandibular incisors were instrumented with NiTi rotary files with irrigation of 2.5% NaOCl. The smear layer was removed with 17%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Specimens were assign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obturation system: Group 1, EndoRez (Ultradent Product Inc.); Group 2, Activ GP (Brasseler); Group 3, SmartSeal (DFRP Ltd. Villa Farm); Group 4, AH 26 (Dentsply de Trey)/gutta-percha (GP). For push-out bond strength measurement, two horizontal slices were obtained from each specimen (n = 20). To compare dentinal tubule penetration, remaining 32 roots assigned to 4 groups as above were obturated with 0.1% Rhodamine B labeled sealers. One horizontal slice was obtained from the middle third of each specimen (n = 8) and scanned under confocal las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ubule penetration area, depth, and percentage were measured. Kruskall-Walli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EndoRez showed significantly lower push-out bond strength than the others (p < 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st the groups in terms of percentage of sealer penetration. SmartSeal showed the least penetration than the others (p < 0.05). Conclusions: The bond strength and sealer penetration of resin-and glass ionomer-based sealers used with coated core was not superior to resin-based sealer used with conventional GP. Dentinal tubule penetration has limited effect on bond strength. The use of conventional GP with sealer seems to be sufficient in terms of push-out bond strength.

생물고분자응집제 Biopol32의 산업폐수에 대한 응집활성 및 탈수효과 (Flocculating Activity and Dehydration Efficiency of Biopolymer Flocculant Biopol32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이명은;오나라;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2-368
    • /
    • 2019
  • Pseudomonas sp. GP32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 응집제 Biopol32의 실제 응용, 개발을 위하여 식품폐수, 도축폐수, 염색폐수에 대하여 응집효과를 검토하였다. 식품폐수의 경우 pH 6.0에서 70%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감소율과 49%의 부유고형물(SS)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도축폐수에서는 pH 4.0에서 61%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1%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으며, 염색페수의 경우 pH 5.0에서 72%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2%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다. 응집과정에서 형성되는 floc의 크기는 Biopol32 용액을 최종농도 20 ppm으로 첨가하였을 때 10 mm였고 이때 탈수효율은 62%였다. 생물응집제 Biopol32 첨가구와 합성응집제 PAA 첨가구에서 탈수효율이 전반적으로 가장 좋은 응집제 첨가 농도는 20 ppm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때 자연한계함수율(78.1%)에 이르는 최단의 여과시간을 얻을 수가 있었다.

차주머니나방(Eumeta minuscula)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 및 몇 가지 약제의 차주머니방에 대한 방제효과 (Leaf Damage Symptom of Grape (Vitis vinifera) by Tea Bagworm (Eumeta minuscula) and Control Efficacies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the Eumeta minuscula)

  • 송진선;이채민;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2
    • /
    • 2013
  • 차주머니나방에 의한 포도 잎 피해증상을 2012년 8월 31일 경북 영천시 금호읍에서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다. 실내에서 5종 약제[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serotype IIIa, IIIb) WP, chlorantraniliprole 5% GP, methoxyfenozide 21% SC, spinetoram 5% GP, spinosad 10% GP]를 추천농도로 포도 잎 분무처리에 의한 차주머니나방 4령충의 살충율은 spinosad 10% WG와 spinetoram 5% WG에서 각각 65% 및 70%로 높았다. 추천농도 이하에서는 치사율이 감소하였고, 엽 피해면적율은 추천농도의 1/4배 처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4령 유충에 대해 직접살포법으로 야외에서 효과조사를 한 결과는 spinetoram 5% WG와 spinosad 10% WG 처리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63.7, 55.7%였다. 따라서 포도 차주머니나방 방제를 위해 spinetoram과 spinosad의 활용가능성을 나타내었으나, 보다 효과적인 약제선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XML 기반 강건 타입형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식${\cdot}$독립적 표현 (XML-based Portable Self-containing Representation of Strongly-typed Genetic Program)

  • 이승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4호
    • /
    • pp.277-289
    • /
    • 2005
  • 선택과 재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적 학습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이 가지는 긴 설계시간/높은 계산노력/낮은 계산효율을 극복하고자, 이 논문은 XML에 기반을 둔 유전적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유전자 프로그램과 유전자 연산은 기성 DOM 파서의 API 호출에 의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또 표준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의미적으로 올바른 유전자 프로그램만을 다루기 때문에 탐색공간과 계산노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이형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주에 적합한 시스템 및 형식인 XML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효율이 향상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포식자-피식자 문제에서 다중 에이전트의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적용한 결과, 유전자 프로그램에 대한 계산시간이 단축됨을 .보인다

GIS와 GPS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항공정밀예찰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n Aerial Precision Forecasting Techniques for the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Based on GIS and GPS)

  • 김준범;김동윤;박남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4
    • /
    • 2010
  •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고사목 단목 중심의 점상 발생을 보이기 때문에 신속한 피해지 파악과 정확한 확산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피해발생 조기예찰 및 분석, 감시 감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예찰방법인 도로나 민가 주변 중심의 지상 육안예찰은 누락된 지역이 많고 고산지역, 급경사, 절벽등의 위험지역 예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GIS, GPS와 헬기를 이용한 항공정밀예찰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2005년 전국 32개 시 군(약 $28,810km^2$) 피해지역의 349지점 972본의 고사목 위치좌표를 취득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항공정밀예찰기법 개발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우려지역에 대한 고사목 색출 및 고사원인 규명, 매개충 산란처 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