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lycosidas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은행잎 플라보놀배당체에 대한 셀루라제류의 영향 (The Effect of Cellulases on Flavonolglycosides of Ginkgo Leaf)

  • 배기환;민병선;백흠영;안병준
    • 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1-276
    • /
    • 1991
  • The extractability and stability of ginkgoflavonolglycosides under presence of several cellulose preparations were investigated. The enzymes used were macerosin, cellulose C and cellulase NC. The content variation of the glycosides was measured with HPLC method, using caffeic acid as an internal standard. The methanol extract of ginkgo leaf, containing the total flavonolglycosides of 4.46%, was used for the content comparison. By extraction with the enzymes, each or mixed, the peak levels of all the glycosides began to decrease after 1 or 2 hours. After 24 hour extraction, most of the glycosides were degraded to minor components. The flavonolglycosides in ginkgo leaf were also hydrolysed simply by the water extraction. After 24 hour extraction with water at $40^{\circ}C$, the peak levels of major glycosides were distinctly decreased. Rutin was hydrolysed by enzyme treatment or by ginkgo leaf itself.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mercially available cellulases and the ginkgo leaf itself contain the activities of $\beta$-glycosidase and $\alpha$-rhamnosidase. Kaempferol-3-O-(6'"-O-p-coumaroylglucosyl)-rhamnoside and four other ginkgo flavonolglycosides were not hydrolysed under the same condition.tion.

  • PDF

Enzyme-Linked, Biotin-Streptavidin Bacterial-Adhesion Assay for Helicobacter pylori Lectin-Like Interactions with Cultured Cells

  • Murillo, Guzman;Antonia, Maria;Ascencio, Felip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5-39
    • /
    • 2001
  • A simple method for studying the lectin-like interactions between Helicobacter pylori and cultured human epithelial cell lines was developed using an enzyme-linked, biotin-streptavidin bacterial-adhesion assa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is method i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participation of lectin interactions in the adhesion of H. pylori to cultured HeLa S3 and Kato III cells, both fixed and glycosidase-treated cells, as well as assessing glycoconjugated binding inhibition studies. The time-course and dose-dependent kinetics of the biotin-labeled H. pylori adhesion th the formaldehyde-fixed Hela S3 and Kato III cell lines exhibited saturation. In addition, the binding of the biotin-labeled H. pylori to the formaldehyde-fixed cultured cells was partially blocked by pre-incubation with glycoconjugates and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a heparan sulfate binding protein from H. pylori.

  • PDF

유채 하배축 분절의 신장과 세포벽 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IAA의 효과 (Effects of IAA on the Elongation and Cell Wall Glycosidase Activities in Excised Rape (Brassica napus L. cv. Yongdang) Hypocotyl Segments)

  • Jun, Sung-So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43-50
    • /
    • 1984
  • Effects of IAA on the elongation and cell wall hlysocidas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excised rape (Brassica napus L. cv. Yongdang) hypocotyl segments. IAA promoted the elongation of rape hypocotyl segments. In rape hypocotyls, the first 10-mm segments from the hook exhibited maximal elongation and the capacity of elong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distance of each 10-mm from the hook. A good correlation has been obtained between the magnitude of endogenous growth and the activities of $\alpha$, $\beta$-glucosidase and $\alpha$, $\beta$-galactosidase. However, exogenous application of IAA did not seem to enhance the tissue with IAA resulted in acidification of the incubation medium. From these data, we can conclude that IAA seems to enhance elongation of the tissue segments, at least in part, by releasing hydrogen ion into cell wall, some of which may participate in the cell wall extension process, but does not seem to trigger the activation of $\alpha$, $\beta$-glucosidase and $\alpha$, $\beta$-galactosidase.

  • PDF

Total synthesis of deoxy-azasugars

  • Pyun, Sung-Jae;Oh, Chang-Young;Lee, Kee-Young;Kim, Yong-Hyun;Lee, Yiu-Suk;Pharm, Van-Thoai;Ham, Won-H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33.1-233.1
    • /
    • 2002
  • Azasugars, which have been called the "sugar-shaped" alkaloids from plants. are reversible. competitive inhibitors of glycosidases. The purpose of these natural products is possibly to inhibit the carbohydrate metabolism and consequently the growth of plant consuming pests. Since selective glycosidase inhibitors have a large number of interesting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ing treatment of AIDS, diabetes. and tumor metastasis. they have received a considerable attentions. (omitted)

  • PDF

잠재적인 생균제제 Bacillus subtilis CSY191에 의한 검정콩 청국장의 항산화 증진 효과 (Enhanced Antioxidant Effect of Black Soybean by Cheonggukjang with Potential Probiotic Bacillus subtilis CSY191)

  • 황정은;서원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1-397
    • /
    • 2013
  • 잠재적인 생균제제 Bacillus subtilis CSY191에 의해 제조된 국산 검정콩(서리태 및 서목태) 청국장 발효 중 ${\beta}$-glycosidase 활성, total phenolic와 isoflavone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발효 후 total phenolic 및 isoflavone-malonylgycoside와 -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7^{\circ}C$에서 48시간 발효된 서리태 청국장은 서목태 원료 및 청국장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서리태 48시간 발효 후, 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의 함량은 각각 253.0 ${\mu}g/g$ 72.5 ${\mu}g/g$ 및 114.1 ${\mu}g/g$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검정콩 청국장의 높은 항산화 활성은 total phenolic 및 isoflavonemalonylgycoside와 -aglycone 함량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뽕잎의 당침 및 유산발효에 의한 추출물의 기능성 품질 특성 (Function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acts by sugar-leaching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류일환;권태오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4-172
    • /
    • 2013
  • 이 연구는 뽕잎을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액과 Lactobacillus plantarum TO- 2100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발효 추출액의 기능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당침 추출액은 12주 동안 추출하였으며, 유산발효 추출액은 8주간 추출하였다. 당침 추출액 및 유산발효 추출액의 수율은 각각 27% 와 166% 였으며, 당 함량은 각각 43 $^{\circ}Brix$와 33 $^{\circ}Brix$였다. pH와 총 산도는 4.6, 0.45% 와 3.6, 1.17%였다. 유산발효 추출액의 유산균 생균수는 $1.2{\times}10^{10}$ $CFU/m{\ell}$으로 당침 추출액의 $2.8{\times}10^2$ $CFU/m{\ell}$ 보다 월등히 많았다. 유산발효 추출액이 amylase, cellulase, pectinase, protease 등 분해효소의 활성을 보인 반면, 당침 추출액은 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기산의 경우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의 함량은 당침 추출액이 높은 반면, lactic acid 의 함량은 유산발효 추출액이 2.6배 높았다. 당침 추출액의 유리당은 glucose (200.93mg/g), fructose (236.32mg/g), sucrose (18.41mg/g) 등 GI값이 높은 단당으로 구성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다. 기능성 성분인 polyphenol, anthocyanin 및 당질대사 저해물질인 piperidine alkaloid의 함량 또한 유산발효 추출액이 당침 추출액보다 높았다. 당질대사의 주 효소인 ${\alpha}$-glycosidase의 활성을 당침 추출액이 3.4% 저해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은 16.2%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법에 비해 유산발효 추출법이 뽕잎의 수율 향상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며, 이로 인한 대사기능장애의 예방 및 기능증진에 더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류 기생성 선충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와 Anisakis pegreffii 유충의 excretory-secretory products 및 somatic extracts의 가수분해효소 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hydrolase activities of excretory-secretory products and somatic extracts from fish parasitic nematodes,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 and Anisakis pegreffii larvae)

  • 전찬혁;위성;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14
  • Anisakis simplex sensu stricto와 A. pegreffii의 3기 유충과 4기 유충에서 얻은 excretory-secretory (ES) products 및 somatic extracts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API ZYM ki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Ester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중 acid phosphatase는 A. simplex (s.s.)와 A. pegreffii 모두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esterase (C 4)의 경우 somatic extracts에서만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나타났는데 A. simplex (s.s.)가 A. pegreffii와 비교하여 3기와 4기 유충 모두에서 2배 가량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lkaline phosphatase, acid phosphatase 그리고 naphthol-AS-BI-phosphohydrolase의 경우 A. simplex (s.s.)와 A. pegreffii 모두 3기 유충보다 4기 유충에서 더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확인되었다. Aminopeptid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leucine arylamidase에서 관찰되었는데, somatic extracts의 경우 A. pegreffii 보다 A. simplex (s.s.)에서 가수분해 효소 활성이 두 배 가량 높게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의 다른 효소들에서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Glycosidase 그룹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N-acetyl-${\beta}$-glucosaminidase, ${\alpha}$-mannosidase 그리고 ${\alpha}$-fucosidase에서 확인되었는데, A. simplex (s.s.) 보다 A. pegreffii에서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4기 유충보다 3기 유충에서 더 높은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아니사키스속 선충의 종과 유충단계에 따른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 차이는 선충의 성장, 탈피, 소화, 섭이 등의 대사과정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db/db 마우스에서 상백피의 혈당강하효과 (Anti-hyperglycemic Effect of Cortex Mori radicis in db/db Mice)

  • 김윤영;조여원;정성현;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57-1064
    • /
    • 1999
  • 8주령의 C57BL/KsJ db/db마우스에 상백피 냉침추출물을 투여하면서 5주간 사육하여 식이섭취량, 체중변화, 혈중 포도당 농도를 관찰하고, 소장내 ${\alpha}-glycosidase$ 활성변화와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백피추출물 500 mg/kg을 공급하는 Rad 500군과 1000 mg/kg을 공급하는 Rad 1000군, db/db 대조군과 lean군으로 나누고 대조약물로는 acarbose 5 mg/kg을 투여하였다. Rad 1000군은 식이섭취량에서 db/db 대조군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그에 따라 체중증가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공복시 혈중포도당 농도는 Rad 500, Rad 1000, acarbose군 모두 db/db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함량 측정결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시료투여군이 db/db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결과 lean군을 제외한 나머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Rad 500군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소장을 proximal, middle, distal 세부위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maltase, sucrase, lactase의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db/db군은 lean군에 비해 세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투여군은 sucrase의 경우 proximal, middle 부위는 db/db군 보다 낮고 distal 부위는 활성이 높았다. Maltase, lactase의 활성은 모든부위에서 시료투여군이 db/db군 보다 낮아 lean군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상백피는 db/db마우스에서 식이섭취량을 줄여주어 체중증가를 억제시키고 소장내 glycosidase활성을 전반적으로 낮춰 혈중포도당 농도를 낮춰주고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낮춰주는 등의 항당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흑마늘 와인의 발효 및 그 특성 (Fermentation of Black Garlic Wine and its Characteristics)

  • 하성민;최혜정;신경연;류병호;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96-804
    • /
    • 2016
  • 본 연구에서 와인발효의 최적 균주를 조사하였으며 최종 선발된 Saccharomyces sp. BCNU 6006의 발효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효모는 막걸리, 과일 그리고 발효 식품에서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는 β-glucosidase, glycosidase와 protease 효소 활성과 에탄올 및 SO2 내성에 의해 선별하였고, 추가로 황화수소와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균주를 제외하여 총 9균주가 선별되었다, 한편 선별균주들은 계통적으로 K. sevazzii와 S. cerevisiae의 subcluster에 속하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최종 선발된 Saccharomyces sp. BCNU 6006균주의 흑마늘 와인 최적 발효조건은 26 brix, 28℃, 10일로 확인되었다. 발효가 완료된 흑마늘 와인의 성분은 에탄올 15.03%, 12 brix, pH 4.01로 측정되었고, 총 polyphenol, 총 flavonoid함량, tannin 그리고 5-HMF의 함량은 각각 3.85 mg/ml, 0.51 mg/ml, 5.90 mg/ml, 0.07 mg/ml으로 확인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각각 90.77%, 95.20% 그리고 1.261로 측정되었으며, 흑마늘 진액보다 낮았으나,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94.42%로 흑마늘 진액보다 높았다. 효소활성, 발효특성 그리고 항산화 효능을 기초로 판단하면 Saccharomyces sp. BCNU 6006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 와인은 산업적으로 잠재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db/db 마우스에서 아가리쿠스 버섯 ${\beta}-Glucan$이 혈당과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Glucan$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db/db Mice)

  • 최정미;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18-1425
    • /
    • 2000
  • 아가리쿠스 버섯(동결 건조, 온풍 건조)에서 추출한 ${\beta}-glucan$을 7주령의 db/db마우스에 5주간 음용수로 제공하고 식이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내의 포도당, 인슐린, 당화 헤모글로빈, 소장의 glycosidase의 활성을 측정하고 중성지방농도, 혈중 지질조성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db/db 마우스에서 Agari.F군과 Agari.H군은 식이섭취량에서 Control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그에 따라 체중증가량도 낮았으며, 혈중 인슐린 농도와 당화헤모글로빈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 Acarbose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소장의 maltase, lactase, sucrase의 활성은 Control군에서 Lean군에 비해 세 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게 관찰되었고, 시료투여군인 Agari.F군, Agari.H군은 maltase의 경우 proximal, middle 부위는 대조군보다 낮았고 distal 부위에서는 Agari.F군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Sucrase, lactase의 활성은 모든 부위에서 시료투여군이 Control군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 Acarbose군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혈중 total cholesterol의 농도의 경우 Control군과 Agari.H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Agari.F군과 Acarbose군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VLDL cholesterol의 경우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Acarbose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LDL cholesterol의 농도는 Control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carbose군이 가장 낮았다. 혈중 HDL cholesterol의 농도는 Agari.H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Control군이 가장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