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emic loa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GL 예측모델 (estimated Glycemic Load, eGL)을 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 평가 및 대사질환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stimated glycemic load (eGL) of mixed meals and its associations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13~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하경호;남기선;송윤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54-368
    • /
    • 2019
  • 본 연구는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식사내 다량영양소 및 식이섬유 구성성분을 이용하여 혼합식 섭취에 따른 혈당반응인 당흡수지수를 추정하였고, 1일 총 당흡수지수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량을 평가하고, 당흡수지수와 대사질환 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당흡수지수는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방 및 단백질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당흡수지수가 증가할수록 탄수화물 섭취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에 비해 식이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곡류 및 과일류 섭취량은 당흡수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고기 생선 달걀 콩류의 섭취량은 당흡수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흡수지수는 이상지질혈증 위험도와 양의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당흡수지수가 가장 높은 그룹의 남성은 가장 낮은 그룹의 남성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한국 성인의 혼합식 섭취에 기초한 당흡수지수는 다량 영양소 및 식이섬유의 섭취량을 함께 반영하므로 기존의 탄수화물 섭취량만을 평가한 지표에 비해 전반적인 식사계획 및 평가에 적합한 지표인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대사질환 지표가 당흡수지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므로, 향후 식사의 질과 대사질환 지표와의 관련성을 고려한 당흡수지수의 적절한 수준이 모색된다면 식이 조절을 위한 식단계획, 영양교육 및 식품표시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nutrient composition in a mixed meal on the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in healthy people: a preliminary study

  • Kim, Jiyoung S.;Nam, Kisun;Chung, Sang-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2호
    • /
    • pp.126-133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e glycemic index (GI) is a measure of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PPGR) to food items, and glycemic load (GL) is a measure of the PPGR to the diet. For those who need to maintain a healthy diet, it is beneficial to regulate appropriate levels of blood glucose. In reality, what influences the meal GI or GL depends on the macronutrient composition and the physical chemistry reactions in vivo. Thus, we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t macronutrients in a meal significantly affect the PPGR and the validity of calculated GI and GL values for mixed meals. SUBJECTS/METHODS: 12 healthy subjects (6 male, 6 female) were recruited at a campus setting, and subjects consumed a total of 6 test meals one by one, each morning between 8:00 and 8:30 am after 12 h of fasting. PPGR was measured after each consumed meal and serial finger pricks were performed at indicated times. Test meals included 1) 68 g oral glucose, 2) 210 g rice, 3) rice plus 170 g egg white (RE), 4) rice plus 200 g bean sprouts (RS), 5) rice plus 10 g oil (RO), and 6) rice plus, egg white, bean sprouts, and oil (RESO). The 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 (iAUC)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PPGR. Mixed meal GI and GL valu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nutrients the subjects consumed in each of the test meals. RESULTS: The iAUC for all meals containing two macronutrients (RS, RO, or 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ice iAUC, whereas, the RESO iAUC ($2,237.5{\pm}264.9$)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5). The RESO meal's calculated GI and GL values were different from the actual GI and GL values measured from the study subjects (P < 0.05). CONCLUSIONS: The mixed meal containing three macronutrients (RESO) decreased the PPGR in healthy individuals, leading to significantly lower actual GI and GL values than those derived by nutrient-based calculations. Thus, consuming various macronutrient containing meals is beneficial in regulating PPGR.

한국인 상용 식품의 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 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산출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 송수진;최하늬;이사야;박정민;김보라;백희영;송윤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80-93
    • /
    • 2012
  •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glycemic index (GI) has an effect on developing the risk for metabolic abnormalities such as diabetes, dyslipidemia, and obesity. As there are no reliable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dietary GI for Korean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table of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evaluate dietary glycemic index (DGI) and dietary glycemic load (DGL)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International tables of GI values and other published values were used to tabulate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mong 653 food items, 149 (22.8%) were adapted from published data, 60 (9.2%) were imputed from similar foods, and 444 (68.0%) were assigned a zero. Data from 7,940 subjects aged 20 years and older in the 2007-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obtained, and DGI and DGL were calculated. The average DGI was 60.0 and the average DGL was 182.5 when the reference food GI value was glucose.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DGI and DGL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group (p for trend < 0.001). The food group that contributed most to DGL was grain and its products supplying 85.3% of total DGL, whereas the mean GI value in grain and its products was 72.6. Fruits and potatoes also contributed to DGL (5.8 and 2.9%, respectively), and their GIs were high (67.7 for potatoes and 45.8 for fruits). For individual food items, white rice supplied 66.7% of total GI followed by glutinous rice (2.3%) and steamed white rice cakes (2.0%). In conclusion, a table of GI values for 653 common food items was established in which white rice was the most contributing item to DGL. Our results will be use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GI, DGL,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the Korean population.

Blood Triglycerides Levels and Dietary Carbohydrate Indices in Healthy Koreans

  • Min, Hye Sook;Kang, Ji Yeon;Sung, Joohon;Kim, Mi Ky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53-164
    • /
    • 2016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obtained conflicting findings regarding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indices measuring carbohydrate intake and dyslipidemia, which is an established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crosss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carbohydrate indices, including the dietary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total amount of carbohydrates, and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a range of blood lipid paramete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30 participants (554 men and 976 women) from 246 families within the Healthy Twin Study. We analyzed the associations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to control for familial relationships. Results: Levels of the Apo B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dietary GI, GL, and the amount of carbohydrate intake for men, but these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when fat-adjusted values of the carbohydrate indices were used. Triglyceride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GI and GL in women, and this pattern was more notable in overweight participants (body mass index [BMI] ${\geq}25kg/m^2$). However, total, low-density lipoprotein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carbohydrate intake overall. Conclusions: Of the blood lipid parameters we investigated, only triglyceride level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dietary carbohydrate indices among women participants in the Healthy Twin Study, with an interactive role observed for BMI. However, these associations were not observed in men, suggesting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ipid levels and carbohydrate intake depends on the type of lipid, specific carbohydrate indices, gender, and BMI.

Effect of Wheat Flour Noodles with Bombyx mori Powder on Glycemic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 Suk, Wanhee;Kim, JiEun;Kim, Do-Yeon;Lim, Hyunjung;Choue, Ryo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165-170
    • /
    • 2016
  • Recent trial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a low glycemic index (GI) diet is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f high blood glucose levels. Identifying active hypoglycemic substances in ordinary foods could be a significant benefit to the management of blood glucose.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noodles with Bombyx mori powder are a low GI food. We evaluated GI and changes in postprandial glucose levels following consumption of those noodle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following consumption of plain wheat flour noodles (control) and glucose (reference) in healthy subjects. Thirteen males (age: $34.2{\pm}4.5years$, body mass index: $23.2{\pm}1.1kg/m^2$) consumed 75 g carbohydrate portions of glucose and the 2 kinds of noodle after an overnight fast. Capillary blood was measured at time 0 (fasting), 15, 30, 45, 60, 90, 120, and 180 min from the start of each food intake. The GI values were calculated by taking the ratio of the incremental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response curve (IAUC) for the noodles and gluco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prandial glucose concentrations at 30 and 45 min between the control noodles and the noodles with Bombyx mori powder: the IAUC and GI for the noodles with Bombyx mori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glucose and plain wheat flour noodles. The wheat flour noodles with Bombyx mori powder could help prevent an increase in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and possibly provide an alternative to other carbohydrate staple foods for glycemic management.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해 개발한 황금과 대두콩/서리태 분말 혼합 쿠키가 정상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es made with soybean/seoritae and Hwanggu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the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 박재희;김래영;박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6-1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개발한 대두/서리태 분말, 황금, 아이소말토 올리고당 첨가 쿠키가 정상인들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반응표면분석의 중심합성 계획에 따라 독립변수 대두/서리태 분말, 황금, 아이소말토 올리고당 3가지에 대한 반응변수로는 전반적인 기호도로 설정하였다. 반응모형의 결정계수는 대두 쿠키가 0.923, 서리태 쿠키가 0.927로 1에 근접하였으며, 전체적인 모형이 0.05보다 낮아 적합한 반응모형으로 나타났다. 대두쿠키는 안장점을 나타내고 있어 능선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고점을 만족하는 각 변수의 조건은 대두분말 68.7%, 황금 분말 2.5%, 이소말토 올리고당 75.2%로 결정되었다. 서리태 분말 쿠키 또한 능선분석 실시 결과 서리태 분말 56.5%, 황금 분말 3.8%, 이소말토 올리고당 56.2%에서 최대 값을 보여주었다. 최적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대두/서리태 쿠키의 조직감 측정 결과 단단한 정도와 바삭거리는 정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보다 대두/서리태 쿠키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최적배합비로 개발된 쿠키가 정상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군보다 대두쿠키 섭취군에서 혈당반응면적과 당지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당부하지수 계산 결과 대두쿠키 19.9, 서리태쿠키 21.9로 나타났다. 당부하지수 20이하는 저당지수 식품에 해당이 되므로 대두쿠키가 저당지수 식품에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혈당상승을 지연시킬 수 있는 쿠키 개발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식단의 당부하량에 따른 20대 성인의 체중 감량 효과 연구 (Effects of a low glycemic load diet on body weight loss in overweight or obese young adults)

  • 박미현;남기선;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464-4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평소 섭취하는 일반식사와 유사한 수준의 당부하량을 가진 high GL 식사와 당부하량이 낮게 설계된 low GL 식사를 섭취한 후 체중, 체지방, 혈압 및 혈액 내 생활습관병 위험 지표 등의 변화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2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체중 감량을 위해 wash-out 기간인 중간 2주를 제외하고 개인 필요 열량의 30%를 줄인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를 각 2주간 제공하였다.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low GL 식사가 high GL 식사에 비해 체중 (p < 0.001), 체지방량 (p = 0.024), 체질량지수 (p < 0.00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량이 더 컸다. 하지만 혈압, 혈액 내 비만 질환 위험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ow GL 식사의 전·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HOMA 지수가, high GL 식사에서는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에서 각 식사 전보다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실험 식사 섭취 전과 섭취 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혈압 (수축기, 이완기),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체중감량 및 생활습관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섭취 열량을 낮추기보다는 열량과 함께 당부하량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체중을 감소시키는 데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생식조성이 정상성인의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 김화영;홍성길;황성주;목철균;박미현;이주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53-1559
    • /
    • 2007
  • 본 연구는 생식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켰을 때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생식의 혈당지수를 구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식으로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중인 생식 4(ES, HS, BS, SS)종을 섭취 전, 섭취 후 120분 동안 15분 간격으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생식 섭취 후 혈당수치는 포도당 섭취시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ES는 $15{\sim}75$분, SS는 $15{\sim}75$분, HS는 $15{\sim}45$분, BS는 15분 후의 혈당이 포도당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이 섭취 후 측정한 시간에 따른 혈당값을 이용하여 혈당반응 곡선의 면적을 구한 결과, 생식 섭취군은 포도당 섭취군보다 면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면적을 이용하여 GI를 산출한 결과, ES는 $43.1{\pm}12.6$으로 Low GI(55이하) 범위에 속하였으며, 그 외 생식은 Medium GI($56{\sim}69$) 범위에 속하였다. 생식의 소화, 흡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에서 구한 혈당반응곡선 면적을 일반적인 최고 혈당값 나타내는 시간인 30분을 전후로 하여 LAR(혈당상승기)과 RAR(혈당감소기)을 구한 결과, 생식은 혈당 상승과 감소를 완만하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식섭취 후 최고 혈당값을 포도당을 섭취했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최고 혈당값을 나타내는 시간은 생식 ES에서 연장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생식의 섭취는 체내 당의 소화와 흡수 과정을 천천히 진행시키며, 식후 최고 혈당수치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혈당반응을 원만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L은 ES(14.1)이 가장 낮았으며 HS, BS, SS($19.2{\sim}19.5$) 수준으로 GL 역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위의 연구결과 생식은 당뇨병 환자의 식후 혈당상승을 조절하여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생식의 조성에 따라 그 효과는 차이를 보이며, 사용하는 당의 특징과 곡류군의 조성, 식이섬유의 종류, 과일소재의 첨가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추후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