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inolat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18초

배추 및 무의 Glucosinolate 분석과 가공처리중 항암물질의 형성

  • 강갑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3년도 정기총회 및 제3차 학술발표회
    • /
    • pp.12-13
    • /
    • 1993
  • 십자화과 채소에는 여러종류의 glucosinolate가 존재하며 이들 중 특히 indolw형 glucosinolate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분해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들을 생성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다라 우리나라 농가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십자화과 채소인 배추 및 무에서 항암전구물질인 indole glucosinolate를 포함한 glucosinolate를 분석 및 동정하고 가공처리조건에 따라 항암물질인 indoleacetonitrile과 indolemethan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1.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배추, 무의 품종별 ; 이들 씨에서 4-8종류의 glucosinolate를 동정하였다. 2. Thymol에 의한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배추 및 무에서는 복돌이 배추와 왕관무가 3.21, 2.0$\nu$mole/g으로 가장 많았고 배추씨, 무씨에서는 각각 6.38, 4.07$\nu$mole/g이었다. 3. 배추 및 무의 저장중 총 glucosinolate함량은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였다. 4. 열처리 시간에 따른 배추와 무의 indoleacetonitrile함량은 열처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40분 열처리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5. indolemethanol이 생성될때 방출되는 배추, 무, 배추씨 및 무씨의 Thiocyanate ion의 함량은 열처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며 40분 열처리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자가분해에 따른 함량도 분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며 30분경과시는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이는 40분 열처리시보다 많은 함량이였다.함량이였다.

  • PDF

십자화과 채소의 가공 및 저장 중 Glucosinolate의 분석과 그 함량변화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 Change of Conten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in Cruciferous Vegetables)

  • 심기환;성낙계;강갑석;안철우;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48
    • /
    • 1992
  • Glucosinolate는 배추, 양배추, 무 및 케일에서는 각각 indole glucosinolate를 포함한 6, 5, 5 및 2종류의 glucosinolate가 분리 및 동정되었고, 겨자에서는 4종류의 glucosinolate가 분리 및 동정 되었으나, indole glucosinolate는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배추에서는 glucosinolate함량이 속, 줄기 및 잎부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시료별로는 건조량으로 환산하여 배추, 양배추, 무, 케일 및 겨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상태에 따라서는 신선한 상태, 자연건조, 가열 건조 및 조리한 상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장에 따른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 PDF

국내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유전자원 내 Glucosinolate 함량 변이 (Variation of Glucosinolate Contents among Domestic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Accessions)

  • 이준구;곽정호;엄영철;이상규;장윤아;최장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43-750
    • /
    • 2012
  • 본 연구는 UPLC를 이용하여 국내 브로콜리 육성계통 95점의 화구 내 desulfo-glucosinolate를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정량 분석하고 그 함량변이를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고기능성 국내 브로콜리 품종 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브로콜리 화구에서 9종의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progoitrin, glucoraphanin, sinigr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및 glucobrassicin 등 6종의 glucosinolate가 동정되었다. 전체 브로콜리 육성계통 95점에 대해서 총 glucosinolate 함량은 $4.2-29.0{\mu}mol{\cdot}g^{-1}$ DW의 변이를 보였다. 총 glucosinolate 중 glucoraphanin의 함량은 $1.6-13.9{\mu}mol{\cdot}g^{-1}$ DW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progoitrin은 제한적인 13개의 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glucoraphanin의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정된 glucosinolate 중 glucobrassicanapin, glucoraphanin, glucobrassicin 및 gluconapin의 4종 물질이 전체 브로콜리 계통의 함량변이에 크게 영향하였고 이들 4종 물질 상호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선발된 브로콜리 유망계통에 대해서는, 향후 재배 작형 및 연차간 물질함량의 안정성 평가와 유전자원 간 추가적인 비교평가 연구를 통하여 고기능성 육종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의 glucosinolate와 indole glucosinolate 열분해산물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rmal degradation product of indole glucosinolates in radish)

  • 심기환;강갑석;안철우;서권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23-28
    • /
    • 1993
  • 무(5종) 및 무씨(왕관)에 존재하는 glucosinolate를 동정 및 정량하고 열처리에 따른 그 분해산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왕관, 태백, 대장군, 대부령, 364호 무 및 왕관 무씨의 glucosinolate 분석결과 왕관이 다른 품종보다 많은 종류의 glucosinolate가 동정되었으며 GC법에 의한 총 glucosinolate 함량은 1.25, 1.10, 0.97, 0.96, 0.90 및 2.14 ${\mu}mole/g$이었다. $100^{\circ}C$에서 20분 열처리시 무의 indoleacetonitrile의 생성량은 왕관, 대장군, 태백, 대부령, 364호 무 및 왕관 무씨에서 0.28, 0.20, 0.23, 0.21, 0.24 및 0.58 ${\mu}mole/g$으로 왕관 무씨가 무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무 품종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Thiocyanate 이온의 함량은 열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다가 30분 경과시에 최대치를 보였다.

  • PDF

콜라비 새싹 추출물과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 이영준;김재환;오지원;신기해;이종석;조주현;박진주;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1-537
    • /
    • 2014
  •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및 무에는 glucosinolate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새싹 채소의 경우 성숙한 채소보다 glucosinolate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새싹채소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아직 새싹채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새싹 추출물(KSE) 및 무순 추출물(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및 anti-adipogenic 활성을 평가하였다. K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39.50{\pm}0.67$$2.65{\pm}0.02mg/g$이며, 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76.73{\pm}2.75$$8.13{\pm}0.54mg/g$으로 KSE보다 높았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ABTS, FRAP,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KSE 및 RSE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KSE 및 RSE의 처리는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및 ROS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KSE 및 RSE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beta}$-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의 처리는 지방 축적 억제 및 ROS 생성 저감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eta}$-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이 풍부한 RSE 및 KSE는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비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암세포주 증식 저해 활성 및 Glucosinolate와 Sulforaphane의 함량 (The Glucosinolate and Sulforaphane Contents of Land Race Radish and Wild Race Radish Extracts and Their Inhibititory Effects on Cancer Cell Lines)

  • 최선주;최아름;조은혜;김소영;이건순;이수성;채희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8-563
    • /
    • 2009
  • 무의 유방암 및 폐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고, 항암 관련 지표 물질로 알려진 glucosinolate의 함량 및 sulforapha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의 하나인 MCF-7 세포주를 이용한 CCK(cell counting kit) assay분석법을 사용하여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래종 무보다 갯무의 세포 증식 저해율이 높았으며, sulforaphane 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세포주의 하나인 A-549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세포 증식 저해율을 보였으며, 총 glucosinolate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무를 이용하여 재래종 무의 품질 특성을 개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Sulforaphane is Superior to Glucoraphanin in Modulating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s in Hep G2 Cells

  • Abdull Razis, Ahmad Faizal;Noor, Noramaliza Moh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35-4238
    • /
    • 2013
  • Glucoraphanin is the main glucosinolate found in broccoli and other cruciferous vegetables (Brassicacea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glucoraphanin and its breakdown product sulforaphane, are potent modulators of various phase I and phase II enzymes involved in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 systems in vitro. The glucosinolate glucoraphanin was isolated from cruciferous vegetables and exposed to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at various concentrations (0-25 ${\mu}M$) for 24 hours. Glucoraphanin at higher concentration (25 ${\mu}M$) decreased dealkylation of methoxyresorufin, a marker for cytochrome P4501 activity; supplementation of the incubation medium with myrosinase (0.018 U), the enzyme that converts glucosinolate to its corresponding isothiocyanate, showed minimal induction in this enzyme activity at concentration 10 ${\mu}M$.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were unaffected by this glucosinolate; however, supplementation of the incubation medium with myrosinase elevated quinone reductase activity. It may be inferred that the breakdown product of glucoraphanin, in this case sulforaphane, is superior than its precursor in modulating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 systems in vitro and this is likely to impact on the chemopreventive activity linked to cruciferous vegetable consumption.

Metabolic engineering of aliphatic glucosinolates in Chinese cabbage plants expressing Arabidopsis MAM1, CYP79F1, and CYP83A1

  • Zang, Yun-Xiang;Kim, Jong-Hoon;Park, Young-Doo;Kim, Doo-Hwan;Hong, Seung-Beom
    • BMB Reports
    • /
    • 제41권6호
    • /
    • pp.472-478
    • /
    • 2008
  • Three Arabidopsis cDNAs, MAM1, CYP79F1, and CYP83A1, required for aliphatic glucosinolate biosynthesis were introduced into Chinese cabbage by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The transgenic lines overexpressing MAM1 or CYP83A1 showed wild-type phenotypes. However, all the lines overexpressing CYP79F1 displayed phenotypes different from wild type with respect to the stem thickness as well as leaf width and shape. Glucosinolate contents of the transgenic pla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ild type. In the MAM1 line M1-1, accumulation of aliphatic glucosinolates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YP83A1 line A1-1, all the aliphatic glucosinolate levels were increased, and the levels of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were elevated by 4.5 and 2 fold, respectively. The three CYP79F1 transgenic lines exhibited dissimilar glucosinolate profiles. The F1-1 line accumulated higher levels of gluconapoleifer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 glucobrassicin. However, F1-2 and F1-3 lines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levels of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and an increased level of 4-hydroxy glucobrassicin.

Effect of cultivars on hairy root induction and glucosinolate biosynthesis in a hairy root culture of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 Sang Un Park;Sook Young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1호
    • /
    • pp.51-60
    • /
    • 2022
  • Cruciferous vegetables are rich in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such as glucosinolates and have various health benefits. Among these vegetables,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leafy vegetables due to the presence of the highest amounts of numerous vital phytonutrients, minerals, vitamins, and antioxida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x cultivars (Chundong 102, Asia No Rang Mini, Hwimori Gold, Asia Seoul, Wol Dong Chun Chae, and Asia Bbu Ri) on hairy root induction and glucosinolate biosynthesis in the hairy root cultures of Kimchi cabbage. Seven different glucosinolates, in this case sinigrin, gluconap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and neoglucobrassicin, were detected in the hairy root cultures of Kimchi cabbage. Among the different cultivars, Asia No Rang Mini was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for hairy root stimulation, as it achieved the highest values for the growth rate, root number, root length, transformation efficiency, and total glucosinolate content. Overall, the Asia No Rang Mini cultivar of Kimchi cabbage performed best as a promising cultivar hairy root culture for glucosinolate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