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e-glycin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1초

Glycine과 Glucose의 Maillard Reaction Products에 의한 토란의 효소적 갈변 저해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by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Glycine and Glucose)

  • 이민영;이민경;김춘영;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13-1016
    • /
    • 2004
  • 토란으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Maillard reation products(MRPs)가 토란 PPO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란 PPO에 대한 MRPs의 저해 효과는 사용한 기질이 (+)-catechin, catechol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RPs의 토란 PPO 저해 효과는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생성한 MRPs 중에서 fructose와 glucose로 제조한 MRPs의 첨가시 가장 높았으며, glycine과 gluc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 효과가 증가하였다. 반응 시간에 따른 MRPs의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MRPs의 변색 정도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서 토란 PPO에 대한 저해 효과도 증가하였다.

글루코스-글리신 혼합용액의 갈색화 패턴 및 색소 (Browning Pattern and Pigment of Glucose/Glycine Model Systems)

  • 남상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8-222
    • /
    • 1984
  • 조정된 조건하에서 glucose-glycine 혼합수용액을 사용하여 browning을 발달시켰다. Browning pattern은 medium의 pH및 반응물질의 농도에 특히 영향을 받았다. Glucose- glycine수용액을 희석시켜 filter paper disks를 담갔다가 기름으로 튀겼다. 반응물질의 농도는 튀긴 filter Paper dists의 browning pattern에만 영향하고 pH영향은 고온에서 불명확하게 되였다. Glucose-glycine system의 pH 2에서는 무결정형의 갈색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본 model system에서 생성된 갈색 색소를 규명하기 위하여 기기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과 양조간장의 대사 (Metabolism of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and Soybean Sauce)

  • 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3-339
    • /
    • 1994
  • The metabolic transit of three samples( 14C glycine-glyucose melanoidin, glycine-glucose melanoidin and soybean sauce ) were studied on rats. The radioactivity of various organs and excreta intubated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on rats at various intervals(1, 3, 8, 12, 24, 48, 72 and 96 hrs were detected . And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in the excreta which is obtained from three samples were detected during the 7 days after intubated. The total amount of 14C excreted in the fecese were 53% meaning that the rest of 47% melanoidin seemed to be retained in the body or metabolized . The radioactive compound showed a small retention in the liver and kidney.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in the urine and fece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activity of 14C. When the soybean sauce and glycine glucose melanoidin were intubated, the brown pigment contents excreted in the fece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fter 1 st day of intubation. In the urine, the model melanoidin was excreted mostly after 3 days of intubation.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of three samples of excreta agreed with each other. The soybean sauce retained longer than model melanoidin in the body is telling that it might have antioxidative activity in vivo.

  • PDF

Glucose-Ammonia 및 Glucose-Glycine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어진 Ethanol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btained from a Glucose-Ammonia and a Glucose-Glycine Browning Mixtures)

  • 이향희;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50-355
    • /
    • 1978
  • Glucose-ammonia(각 0.2M)와 glucose-glycine(각 0.2M)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의 색깔을 측정하고, 또한 이들의 ethanol 추출물(抽出物)들이 함유된 대두유(大豆油)의 POV, TBA가(價) 및 산가(酸價)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그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을 비교하였다. Glucose-ammonia 반응액(反應液)의 2, 5시간후의 absorbance (470 nm)는 각 1.88 및 3.42였으며, 후자(後者)의 경우 0.02와 0.07였다. 반응액(反應後) 2,15 및 40시간이 경과한 glucose-ammonia 및 glucose-glycine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은 추출물(抽出物)들이 들은 기질(基質)$(42.3{\pm}2.6^{\circ}C)$의 30일간 저장후의 과산화(過酸化) 물가(物價)는 15.8, 14.2, 12.6과 17.4, 16.1, 15.8였으며 control의 경우 82.1였다. TBA가(價)및 산가(酸價)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Glucose-ammonia반응액(反應液)의 ethanol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은 glucose-glycine 반응액(反應液)의 경우보다 다소 컸으며, 다같이 반응초기(反應初期)에 이미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들이 형성(形成)된듯 했다. 한편, 전자(前者)의 경우, 형성(形成)된 갈색물질(褐色物質)들은 그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는 크게 기여(寄與)하지 않는듯 했다.

  • PDF

색도를 동일하게 조정한 Model Melanoidin들의 항산화효과 및 특성 (Antioxidative Effect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odel Melanoidins with Same Color Intensity)

  • 임원용;김정상;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45-1051
    • /
    • 1997
  • Model melanoidin으로서 glucose-glycine, glucose-lysine, xylose-arginine melanoidin을 색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제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산화효과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melanoidin들은 대조군에 비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idin들의 갈색도의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도 당과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도 실험에 사용한 세 model melanoidin중 가장 커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성과 전자공여성이 관계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 관련 물질의 특성을 알기위하여 melanoidin을 Sephadex G-50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melanoidin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분리 패턴을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 xylose-arginine melanoidin이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glucose-lysine melanoidin이었으며 glucose-glycine melanoidin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어 당의 경우 glucose보다 xylose에서, 아미노산의 경우 glysine보다 lysine에서 항산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획물의 특성 중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큰 물질은 갈색도가 높으면서 ninhydrin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환원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50에서 65사이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glucose-lys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5에서, glucose-glyc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0에서 각각 강한 항산화 효과물질이 검출되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광범위한 갈색물질의 용출범위에서 환원작용을 나타내어 앞에서 model melanoidin 중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 및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을 나타낸 성질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어의 가공 및 저장중의 히스타민 생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2) Glucose, Glycine, Sucrose 및 Sorbic Acid의 영향 (Effect of Food Additives on the Histamine Formation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Mackerel (2) Effect of Glucose, Glycine, Sucrose and Sorbic Acid)

  • 강진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5-491
    • /
    • 1984
  • 적색육어류의 히스타만생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고등어를 시료로 하여 이에 glucose, sucrose, glycine 및 sorbic acid 등을 첨가하여 저장하여 두고 저장기간에 따른 히스타민함량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시료육의 성상이 히스타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육의 역쇄정도를 달리 하였을 때의 히스타민함량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1. 균질화한 시료육에 glucose, sucrose 및 glycine을 각각 $5\%$$10\%$ 첨가하여 $25^{\circ}C$에 저장하였을 때 glucose 및 sucrose를 첨가한 것은 히스타민 생성을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glycine을 첨가한 것은 히스타민생성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을 크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10\%$ 첨가한 것은 저장 5일 후에도 히스타민중독한계농도에 달하지 않았다. 2. 마쇄정도가 다른 시료육에 glucose 및 sucrose를 첨가하여 히스타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마쇄정도가 큰 것이 히스타민 생성을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시료육에 sorbic acid를 $0.1\%$$0.2\%$ 첨가하였을 때 히스타민 생성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은 크게 억제되었으며, $0.2\%$ 첨가한 것은 저장 6일째에 히스타민 함량이 최고치(275mg/100g)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on Inhibition of Burdock Polyphenol Oxidase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Kim, GyeYeong;Choi, Heesun;Park, Inshi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3-85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MRPs) on enzymatic browning of burdock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The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glucose and amino acids at $90^{\circ}C$, which served to produce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burdock polyphenol oxidase. As the reaction time of the solution containing glucose and amino acid increased at $90^{\circ}C$, the production of MRPs increased and intensity of the brown color deepened. When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at $90^{\circ}C$ for five hours, the absorbance of MRPs from glucose and lysine was 6.44, while those of glucose and glycine was 1.95. The MRPs synthesized from the glucose and lysine also reduced the pH of MRPs from 5.60 to 4.51, but those from glucose and glycine decreased slightly from 5.57 to 5.33. The Michealis-Menten constant value ($K_m$) of burdock PPO with pyrocatechol as a substrate was 16.0 mM, and MRPs were a non-competitive inhibitor against burdock PP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RPs was measured by evaluating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radicals, ABTS radicals and reducing power. The color intensity of MRPs produced by lysine and glucose were deeper than that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It was also found that MRPs produced from glucose and lysine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properties than those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Tagatose 등 여러 가지 당류와 그 몰농도가 Maillard 갈변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ugars Including Tagatose and Their Molar Concentrations on the Maillard Browning Reaction)

  • 류소영;노회진;노봉수;김상용;오덕근;이원종;윤정로;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98-904
    • /
    • 2003
  • 본 연구는 tagatose 등 당의 종류와 그 몰농도가 Maillard 갈변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당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0.2M의 tagatose, glucose, fructose, sucrose, xylose 수용액과 0.2M glycine 수용액을 혼합한 모델용액을 제조하여 $100^{\circ}C$에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Tagatose 몰농도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glycine 농도를 0.2M로 고정시키고 tagatose의 농도를 0.1, 0.2, 0.4, 0.8M로 변화시킨 후 $100^{\circ}C$에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으며, glycine 몰농도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tagatose 농도를 0.2M로 고정시키고 glycine의 농도를 0.1, 0.2, 0.4, 0.8 M로 변화시킨 후 $100^{\circ}C$에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Maillard 갈변반응은 tagatose가 가장 빨랐고 그 다음 xylose, fructose, glucose, sucrose의 순서를 보였다. Tagatose나 glycine 모두 몰농도가 증가하면 갈변이 증가하였으나 tagatose를 변화시킨 경우 총고형물 함량이 더 높아 갈변이 더 촉진되었다.

An Overlooked Effect of Glycine Betaine on Fermentation: Prevents Caramelization and Increases the $\small{L}$-Lysine Production

  • Xu, Jianzhong;Xia, Xiuhua;Zhang, Junlan;Guo, Yanfeng;Zhang, Weigu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0호
    • /
    • pp.1368-1376
    • /
    • 2014
  •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ffects of glycine betaine on preventing caramelization, and increasing DCW and $\small{L}$-lysine production. The additional glycine betaine not only decreased the browning intensity (decreased 4 times), and the concentrations of 5-hydroxymethylfurfural (decreased 7.8 times) and furfural (decreased 12 times), but also increased the availability of glucose (increased 17.5%) for $\small{L}$-lysine production. The DCW and $\small{L}$-lysine production were increased by adding no more than 20 mM glycine betaine, whereas the DCW and $\small{L}$-lysine production were decreased with the reduction of pH values, although pH had a better response to prevent caramelization than did glycine betaine. For $\small{L}$-lysine production, the highest increase (40%) was observed on the media with 20 mM glycine betaine. The crucial enzymes in glycolysis and $\small{L}$-lysine biosynthesis pathwa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al glycine betaine increases the activity of enzymes in glycolysis, in contrast to the effect of pH. 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glycine betaine can be used to prevent caramelization and increase the $\small{L}$-lysine production. By applying this strategy, glucose would not be have to be separated from the culture media during autoclaving so that factories can save production costs and shorten the fermentation period.

당의 종류, pH 및 온도가 마이야르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Sugars on Kinetic Property of Maillard reaction)

  • 전영희;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0
    • /
    • 1986
  • 마이야르 반응의 반응속도론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0.8M glycine과 0.8M당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당의 종류, 반응온도 및 반응pH가 반응속도, 활성화에너지 그리고 z-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의 종류는 glucose, fructose, lactose 및 sucrose를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70^{\circ}-100^{\circ}C$, pH는 3-8의 범위에서 반응시켰으며, 반응정도의 측정은 278nm와 400nm에서 행하였다. pH5.8과 $100^{\circ}C$에서 반응시켰을 때 초기반응 속도는 fructose혼합용액이 가장 높았으나 5.5시간 반응후부터 glucose혼합용액이 더 높은 갈색화반응을 나타내었다. 활성화에너지는 400nm에서 glucose혼합용액이 20.09Kcal/mole로 가장 높았고 fructose혼합용액이 가장낮은 11.95Kcal/mole을 나타냈다. 또한 갈색의 색상이 뚜렷한 OD0.5에 도달하는 시간을 1/10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반응온도의 상승값(z-값)는 lactose혼합용액이 $29.41^{\circ}C$로 가장 높았으며, glucose와 fructose혼합용액이 $25.64^{\circ}C$로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반응 pH의 영향은 glucose혼합용액의 경우 pH6 부근이후에 반응속도가 많이 촉진되는 sigmoid형의 곡선을 보여주었으며 활성화에너지는 pH5에서 가장 낮았고, pH8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