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amine-6-phosphat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N-아세틸글루코사민 생산을 위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의 대사공학 (Metabolic Engineering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for N-acetylglucosamine Production)

  • 김진연;김부연;문경호;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8-86
    • /
    • 2019
  • 대사공학을 이용하여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을 생산하는 재조합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개발하였다. 먼저 GlcNAc를 생산하는 기반균주를 제작하기 위하여, N-acetylglucosamine-6-phosphate deacetylase와 glucosamine-6-phosphate deaminase를 암호화하는 nagAB와 N-acetylmannosamine-6-phosphate epimerase를 암호화하는 nanE를 C. glutamicum ATCC 13032에서 순차적으로 결손하여, 최종적으로 KG208 균주를 제작하였다. 또한, glucosamine-6-phosphate synthase를 암호화하는 C. glutamicum 유래의 glmS와 glucosamine-6-phosphate N-acetyltransferase를 암호화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의 gna1을 각각 여러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였다. 여러 발현 조합의 플라스미드들 중에서 pCXI40-glmS와 pCEI40-gna1을 함유한 제조합균주 KG440은 삼각플라스크 발효에서 1.77 g/l의 GlcNAc와 0.63 g/l의 글루코사민을 생산하였다.

생쥐 난소에서 Glucosamine-6-Phosphate Deaminase (GNPDA)의 발현 (Expression of Glucosamine-6-Phosphate Deaminase (GNPDA) in Mouse Ovary)

  • Gye, Myung-Ch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181-186
    • /
    • 2000
  • 생쥐 난소에서 glucosamine-6-phosphate deaminase (GNPD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상에서 Mr. 31 kDa의 항원을 검출하였으며 출생 후2주에 급격한 발현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난소절편의 면역염색 결과 협막세포와 간충조직에서는 균질한 발현을 보인 반면 난포내 발현양상은 난포의 발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부 1차 난포의 난자에서 GNPDA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강소형성 난포의 난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황체화 과립세포에서의 발현은 황체발달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황체퇴화 부위에서 강한 신호가 검출되었다. 난포발달에 따른 GNPDA발현의 차이는 GNPDA가 생쥐 난소 조직 재구성에 관여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 PDF

Adipogenesis관련 유전자발현감소와 Cell Cycle Arrest를 통한 EGCG와 Glucosamine-6-Phosphate의 Anti-Obesity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GCG and glucosamine-6-phosphate through decreased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and cell cycle arrest in 3T3-L1 adipocytes)

  • 김꽃별;장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14
  • 널리 음용되고 있는 녹차의 EGCG과 우리나라 국민의 상당수가 복용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성분인 글루코사민은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왔다. 이 두 물질의 병합처리로 기대되어지는 지방세포에서의 adipogenesis 및 지방축적감소에 대한 상승효과는 검증된 바 없으며, 효과에 대한 cell cycle 차원에서의 접근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EGCG와 Glucosamine 6-phosphate는 adipogenesis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에 대한 직접적인 발현 억제 뿐아니라, $PPAR{\gamma}$, $C/EBP{\alpha}$, SREBP1와 매개된 FAS, ACSL1, LPL과 같은 adipogenic target 유전자의 발현 감소를 통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HSL과 perilipin의 발현조절을 통해 부분적인 lipolytic effet도 나타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가 개시되는데 있어 중요한 DNA의 remodeling 과정인 mitotic clonal expansion (MCE) 과정 중 G0/G1 phase 단계에서 cell cycle 정지 유도와 그로인한 S phase 및 G2/M phase로 세포주기이행의 방해를 통해 지방세포가 분화되는 것은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들은 EGCG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EGCG를 단독으로 처리한경우보다 Glucosamine 6-phosphate와 병합하였을 때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EGCG 단독처리 및 glucosamine 6-phosphate와의 병합처리는 지방세포에서 adipogenesis와 adipogenic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억제 및 MCE 단계의 cell cycle arrest를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축적을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효과는 두 성분의 병합처리에서 조금 더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두 성분의 병합처리가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었으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미더덕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s의 추출 (Extraction of Glycosaminoglycans from Styela clava Tunic)

  • 안삼환;정성훈;강석중;정태성;최병대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80-185
    • /
    • 2003
  • GAGs의 추출 방법 중 효소의 사용으로 추출 효율의 상승과 원료수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효소 사용에 따른 생산단가의 상승과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른 화장품 규격을 만족시킬 수 없음으로, 1/60 M sodium phosphate buffer로 105$^{\circ}C$로 열수 추출하는 것이 화장품 규격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추출한 GAGs의 SO$_4$ 함량은 31.2%이고 회분의 함량이 22.2%로 GAGs 추출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sodium phosphate의 사용으로 회분 함량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고 무기질 분석에서 Na의 함량이 3.0 mg%로 총 무기질의 47.6%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료를 HPLC로 분석하였을 때 chondroitin sulfate A, C와 동일한 분석시간을 나타내어 chondroitin sulfate의 함유 가능성을 나타내고, glucosamine과 galactose가 78.0% 존재하는 것을 당조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일반 성분, HPLC분석, 당 조성분석과 아미노산 분석결과로 glucosamine과 galacturonic acid가 주가 되어 threonine으로 연결된 구조를 하는 GAGs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품 원료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sulfate 함량이 35.0~45.0%, 단백질 함량은 14.0~22.0%로 유지해야하므로 제단백결과 5.0%, 10.0%, 20.0% TCA (w/v) 처리, 10.0%, 20.0%, 40.0% HCI (v/v) 처리, UF(ultra filtration)를 포함한 10.0% TCA (w/v), 20.0% SSA (w/v), 25.0% HCI (v/v) 처리 결과 5.0% TCA (w/v) 및 10.0% HCI (v/v)이 화장품 기준에 적합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고 톱밥배지의 성숙도와 자실체형성 포텐셜 (Culture Maturity of Lentinula edodes on Sawdust-Based Substrate in Relation to Fruiting Potential)

  • 오가 쇼지;민두식;구창덕;최태호;안드레 레오노비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00
  • 본 연구는 표고의 톱밥재배시 재배배지의 숙도, 자실체 발생단계 및 버섯생산 수량을 정량화하고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지의 성숙도는 자실체 발생시기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서, 균주, 영양생장기간,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이 관여하며, 배지내의 성분변화, pH 변화 및 수분포텐셜 등이 영향한다. 자실체발생 초기에 배지내의 glucosamine 의 함량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자실체 발생후 신속히 감소하였다.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도 버섯원기 형성 시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자실체 발생직전 최고값에 달하였다. 따라서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이 배지의 숙도 및 자실체형성을 예측하는 주요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질내의 pH는 종균접종전 6.3으로부터 자실체형성단계에서 4.0으로 변화하였으며, pH측정으로 자실체수량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pH를 bromphenol blue(BPB)의 스프레이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질의 수분포텐셜과 관련하여, -0.5MPa 정도의 수분포텐셜감소가 생장 및 자실체형성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우수한 숙도외 버섯재배 기질이 가지는 수분포텐셜은 버섯발생 전후 각각 -0.7MPa, -4.0MPa 였다. 높은 수분포텐셜은 고밀도의 균체콜로니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균주 및 배양기간중의 상호작용이 기질의 수분포텐셜에 현저히 영향하였다.

  • PDF

대장균의 내열성장독소 생산조절기전 -I. 장독성대장균의 내열성장독소생산에 인산염, 암모니아, 포도당 및 포도당 대사산물이 미치는 영향- (Regulation of Heat-Stable Enterotoxin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1. Effeets of Phosphate, Ammonia, Glucose, and Glucose Metabolites on the Heat-Stable Toxin Production by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 김익상;홍태의;이우곤;장우현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3
    • /
    • 1985
  • Phosphate, ammonia, glucosamine, glucose, pyruvate, succinate, fumarate, malate and acetate were examined fo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 heat-stable enterotoxin (ST) production in succinate salts medium or in M9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When the initial phosphate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1.0mM, ST production was decreased to 80u/ml or less. But when the initial phosphate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64mM or 100mM, enterotoxin production was 320u/ml. 2. When the initial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medium was adjusted to 1.0mM, no ST production and cell growth were observed. But when ammonia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10mM, 19mM, 38mM or 76mM, enterotoxin production was 320u/ml. 3. Among carbon sources, glucosamine, glucose, pyruvate, succinate, fumarate, malate and acetate, acetate supported the highest specific production (928 unit/O.D.) of heat-stable enterotoxin. From this results, we could assume that heat-stable enterotoxin production is controlled by stringent control mechanism. 4. When the pH of the succinate salts medium was kept between 6.2 to 6.5, no heat-stable enterotoxin production was observed, but when the pH of the medium was kept between pH 6.2 to 6.5, 267 unit/O.D. of heat-stable enterotoxin was produced. 5. Glucose inhibited the heat-stable enterotoxin production and the mechanism was assumed due to its capacity to lower the pH of the medium during catabolysis and its high metabolic energy.

  • PDF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 균주의 인산가용화 특성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of Pseudomonas sp. CL-1 and Kluyvera sp. CL-2)

  • 권장식;서장선;원항연;김완규;노형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42-446
    • /
    • 2007
  • 토양에 고정되어 축적된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유용세균을 선발하여 생물비료로 이용하고자 고추, 토마토, 상추, 오이, 목초, 잔디의 근권토양 및 뿌리표면에서 인산가용화능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선발된 인산가용화균은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특성 등에 의해 동정되었으며, 난용성인산 가용화기능이 우수한 세균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균주를 선발하였다. Pseudomonas sp. CL-1균주는 esculin과 gelatin, casein을 가수분해하였고,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gluconate, caprate, adip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Kluyvera sp. CL-2 균주는 esculin과 CM-cellulose를 가수분해 하였고 acetoin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maltose, glucon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Pikovskaya's medium에서 선발균주의 난용성인산 $Ca_3(PO_4)_2$의 인 가용화량을 정량한 결과 Pseudomonas sp. CL-1과 Kluyvera sp. CL-2 균주는 접종후 1일, 3일에 각각 148.0, $193.4(P\;mg\;L^{-1})$와 482.8 mg, 493.6 mg의 인 가용화량을 나타내었다

미더덕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s의 추출

  • 안삼환;정성훈;강석중;정태성;최병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475-479
    • /
    • 2003
  • 미더덕으로부터 GAGs는 1/60 M sodium phosphate buffer로 $105^{\circ}C$로 열수 추출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추출한 GAGs의 $SO_4$ 함량은 31.2%, 회분 함량은 22.2%이다 회분 함량의 증가는 sodium phosphate의 사용으로 추정되며, 이것은 무기질 분석에서 Na의 함량이 총 무기질의 47.6%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으로 뒷받침한다. 일반 성분, HPLC 분석, 당 분석, 아미노산 분석의 결과로 GAGs의 주된 구조는 glucosamine과 galacturonic acid로 결합되어 있으며, 당과 단백질은 threonine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품 원료 규격에 적합한 제단백은 5.0%, 10.0%, 20.0% TCA(w/v) 처리, 10.0%, 20.0%, 40.0% HCl(v/v) 처리, UF(ultra filteration)를 포함한 10.0% TCA(w/v), 20.0% S-SAS(w/v), 25.0% HCl(v/v) 처리가 가능하며, 이중 5.0% TCA(w/v) 및 10.0% HCl(v/v)의 처리가 가장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L-glutamine:D-fructose-6-phosphate Aminotransferase as a Key Protein Linked to Multidrug Resistance in E. coli KD43162

  • Lee, Sung-Eun;Jung, Tae-Jeon;Park, Byeoung-Soo;Kim, Byung-Woo;Lee, Eun-Woo;Kim, Hye Jin;Yum, Jong Hw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27-232
    • /
    • 2015
  • A microarray study has been employed to understand changes of gene expression in E. coli KD43162 resistant to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piperacillin, piperacillin-tazobactam, cefazolin, cefepime, aztreonam, imipenem, meropenem, gentamicin, tobramycin, ciprofloxacin, levofloxacin, moxifloxacin, fosfomy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except for amikacin using disk diffusion assay. Using Sodium dodecyl sulph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MALDI-TOF MS analyses, 36 kDa of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was found to be deleted in the multidrug resistant E. coli KD 43162. Microarray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up- and down-regulated genes in relation to multidrug resistant E. coli KD43162. Among the up-regulated genes, these genes were corresponded to express the proteins as 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 tartronate semialdehyde reductase, ethanolamine utilization protein, shikimate kinase I, allantoinase, predicted SAM-dependent methyltransferase, L-glutamine: D-fructose-6-phosphate aminotransferase (GFAT), phospho-glucosamine mutase, predicted N-acetylmannosamine kinase, and predicted N-acetylmannosamine-6-P epimerase. Up-regulation of PBPs, one of primary target sites of antibiotic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multidrug resistance in E. coli with increasing amount of target sites. Up-regulation of GFAT enzyme may be related to the up-regulation of PBPs because GFAT produces N-acetylglucosamine, a precursor of peptidoglycans. One of GFAT inhibitors, azaserine, showed a potent inhibition on the growth of E. coli KD43162. In conclusion, up-regulation of PBPs and GFATs with the loss of 36 kDa OMP refers the multidrug resistance in E. coli KD 43162.

Serratia marcens Arylsulfatase의 정제와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rylsulfatase of Serratia marcescens)

  • Yim, Moo-Hyu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77-184
    • /
    • 1977
  • Arylsulfatase는 간단한 Phenols류의 황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S $O_{4}$$^{[-992]}$ - 이온의 유리를 촉매한다. 이 효소는 토양센균을 포함한 많은 미생물과 동식물의 조직등에 널리 분포하여 있으며 이와 같은 넓은 분포는 이 효소의 기본적 기능이 환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Arylsulfatase에 대한보고는 Klebsiella sp를 사용하여 몇몇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6종의 Serratia sp를 사용하여 arylsulfatase 합성조건을 검토하고 효소의 정제조건과 성질에 대하여 조사하여 Serratia marcescens를 선정하였다. Serratia mrcescens는 탄소원으로서 xylose rhamnose, glucosamine 그리고 arabinose등과 같은 몇몇 당을 이용하지 못했으며 glucose와 mannitol을 잘 이용하였으나 glucose methioniue의 경우 효소 합성을 억제시키었다. 유황원으로서는 무기유황염과 methionine의 첨가는 억제되었으며 tyramine의 첨가에 의해서 효소 함성의 억제효과는 해제되었다. 효소의 정제는 황산암모늄 포화용액의 분획과 DEAE-Cellulose, CM-Cellulose 그리고 DEAE-Sephadex A-25로 연결되는 구분 분획에 의해서 행하여졌다. 효소의 분자량은 SDS-gelelectrophoresis와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각각 46,000과 49,000으로 측정되었고 최적 PH는 6.8이었다. P-Nitrophenyl sulfate를 사용한 Km과 Vmak치는 각각 2.5$\times$$10^{4-}$M과 20 nmoles/min/mg protein이었다. 기질에 대한 특성은 phenylsulfte와 ο-, p-nit-rophenyl sulfate 그리고 p-nitro catechol sulfate에 대해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Hydroxylamine, inorganic fluoride, sulfide 그리고 Phosphate등은 강한 효소 저해작용을 나타내었고 무기유산염은 저해작용을 보여주지 않았다. Tyramine, octopamine그리고 dopamine과 같은 amino acid 또한 강한 저해 작용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