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no delta-lacton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응고제 종류가 감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oagulants on Quality of Tofu Incorporated with Persimmon Fruit Powder)

  • 이윤래;정헌식;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78-683
    • /
    • 2011
  • 떫은감 분말 첨가 두부의 수율, 품질 및 저장성에 응고제의 종류(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calcium sulfate, glucono-${\delta}$-lactone)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lucono-${\delta}$-lactone으로 응고시킨 두부가 가장 높은 수율, hardness, chewness, crispness, overall acceptability 및 가장 낮은 L값, b값, pH, 침지저장액 탁도, 총균수를 보였다. Calcium sulfate와 calcium chloride으로 응고시킨 두부는 비교적 높은 L과 b값을 나타내었다. Magnesium chloride로 응고시킨 두부는 관능적 품질특성(firmness, taste, overall acceptability)이 glucono-${\delta}$-lactone 응고 두부와 상호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glucono-${\delta}$-lactone과 magnesium chloride가 떫은감 분말 첨가 두부 제조에 적합한 응고제로 판단된다.

식품첨가제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37-943
    • /
    • 1996
  •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최근 식품 보존제로 주목을 받고있는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를 첨가하여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 중 pH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pH 증가를 억제하였다. 젖산생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젖산 생성을 저해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일에 일정수준유지 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증가하여 숙성 15일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sykeeper첨가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VBN 및 TMA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 명란젓의 생성량이 제일 낮았으며 그 다음이 glucono $\delta-lactone이었다.$ Sykeeper 는 숙성 초기 단계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미생물의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 첨가는 저염명란젓의 shelf-life를 각각 2일 및 5일 정도 연장하였다.

  • PDF

Glucono Delta-lactone의 첨가가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cono Delta-lactone on the Quality of Cooked Rice)

  • 김재훈;오상희;이주운;이창용;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98-1702
    • /
    • 2004
  • 쌀밥의 저장기간 연장과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glucono delta-lactone(GDL) 및 acetic acid(AA)를 첨 가하여 취반한 후 3$0^{\circ}C$에 저장하면서 미생물학적, 물리적 색도, 조직감을 평가하였다. 대조구와 아세트산 0.05% 및 GDL 0.05% 첨가구가 저장 중 미생물 생육으로 인해 부패된 것과 달리 아세트산 0.1% 첨가구와 GDL 0.1%∼0.2% 첨가구는 저장 72시간까지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아세트산과 GDL 첨가에 의해 명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경도는 아세트산과 GDL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점착성은 아세트산 첨가구가 감소한 것과 달리 GDL 첨가구는 증가하여 밥의 조직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GDL은 쌀밥의 저장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밥의 색과 조직감 등 쌀밥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응고제에 따른 두부의 Texture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9
    • /
    • 1979
  • Five kinds of soybean curd were propared with five coagulants, such as, calcium sulfat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glucono delta lactone and acetic acid. The products were evaluated by the sensory and objective examination. Optimal concentrations of each coagulant were determined. Soybean curd preparation was also standardiz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 soybean curds which were made by the standard recipe were measured by a Texturometer and a Penetr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rom the proliminary stud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oagulants for the soybean curd preparation, as determined by the sensory evaluation was 1.84% of calcium sulfute, 1.05% of calcium chloride. 1.84% of calcium sulfute, 1.05% of calcium chloride. 1.84% of magnesium chloride, 1.97% of glucono delta lactone and 0.48% 11of acetic acid. 2. As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cceptable soybean curd was determined to be one with acetic acid. Next, in order of accetability , wer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glucono delta lactone, calcium sulfate soybean curds and commerical soybean curd. 3. Through the objective examination of the five soybean curds by a Texturometer and a Penetrometer, it was found out that, calcium sulfate soybean curd was the hardest and the hardness decreased in order of glucono delta lacton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and acetic acid soybean curd. Acetic acid soybean curd, the most acceptable , was 0.47 TU ; and calcium sulfate soybean curd, the least acceptable, was 1.73 TU.

  • PDF

김치의 재래보존법 검증 (Verification of Conventional kimchi Preservation Methods)

  • 허은영;이명희;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07-813
    • /
    • 1997
  • Various additives(glucono-$\delta$-lactone, glycine, chitosan, Chinese pepper extract+msutard oil, cinnamon oil+ginger oil+mustard oil, Chinese pepper extract), used in the Korean patents singularly or in combination, were tested for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Addition of glucono-$\delta$-lactone or chitosan was somewhat effective in delaying the fermentation rate, however no such effect was seen by other additives. Chitosan at the concentrations of 0.5, 1.0, and 1.5% was similarily effective in delaying the fermen-tation rate. Mustard oil or cinnamon oil tend to delay the fermentation rate by singular addition at the concern tration of 0.5% or 1%. Soaking of the salted and washed Chinese cabbage in 0.5% chitosan solution resulted in delay of the fermentation rate of kimchi.

  • PDF

이성분 혼합응고제에 의한 두부의 물성 변화 (Effect of Mixed Coagulant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 홍정화;김진우;이재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96-1101
    • /
    • 1997
  • Soy curd was prepared using imported soybean(U.S.grade A) and changes in quality were evaluated using different types and mixtures of coagulants(CaCl$_2$, CaSO$_4$, MgCl$_2$, MgSO$_4$, and glucono-$\delta$-lactone). Quality of soy curd was determined by rheological properties, yield, and color.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agulant, mixtures of two coagulants were prepared in various ratios. The mixture of CaSO$_4$or MgCl$_2$with glucono-$\delta$-lactone(GDL), and that of CaSO$_4$or MgCl$_2$with MgSO$_4$resulted in soy curd of good quality in terms of rheological properties and yield.

  • PDF

Stereospecific Synthesis of the (2R,3S)- and (2R,3R)-3-Amino-2-hydroxy-4-phenylbutanoic Acids from D-Glucono-δ-lactone

  • Lee, Jin Hwan;Kim, Jin Hyo;Lee, Byong Won;Seo, Woo Duck;Yang, Min Suk;Park, Ki 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8호
    • /
    • pp.1211-1218
    • /
    • 2006
  • The enantiomerically pure (2R,3S)- and (2R,3R)-3-amino-2-hydroxy-4-phenylbutanoic acids (AHPBA) 1 and 3 are readily obtained from D-glucono-a-lactone. Both AHPBAs are the structural key units of KMI derivatives which are the potent inhibitors of BACE 1 ($\beta$-secretase) and HIV protease. Additionally, the obtained AHPBAs 1 and 3 are converted to dipeptides of bestatin stereoisomers 2 and 4.

소금과 Glucono-$\delta$-Lactone의 첨가 및 초고압 처리가 재구성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Glucono-$\delta$-Lacton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structured Pork)

  • 홍근표;박성희;김지연;고세희;민상기
    • 육가공
    • /
    • 통권34호겨울호
    • /
    • pp.26-39
    • /
    • 2007
  • 본 실험은 소금 및 GdL의 첨가가 세척 및 가압 처리된 재구성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소금 및 GdL의 첨가는 재구성육의 결착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켰고, 저염농도 또는 소금이 무첨가 되어도 소량의 GdL의 첨가에 의한 결착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GdL의 첨가는 색도를 가열처리와 유사하게 변색시켰고, 이러한 변색은 GdL의 증가와 더불어 현저하였다. 그러나 이들 단점은 세척이나 기타 첨가물에 의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소량의 소금 및 GdL의 조합을 통하여 바람직한 결착강도 및 변색 저하를 기대할 수 있었고, 첨가된 인산염과 carrageenan에 의한 보수력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발효 소세지의 숙성 중 Starter Culture, Glucono delta Lactone 및 소금첨가량이 Staphylococcal Enterotox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ucono delta Lactone, Starter Clulture and NaCl on the Produc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gn A in the Processing of Fermented Sausage)

  • 신현길;진용구;이영진;박우문;김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0-156
    • /
    • 1991
  • 발효 소세지의 제조 중 staphylococcal enterotoxin A의 생성에 미치는 첨가제(Glucono delta Lactone, starter culture 및 NaCl)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GdL의 첨가량은 높아짐에 따라(0, 0.25, 0.50 및 0.75%) 현저히 enterotoxin 생성량은 줄어들었다(p<0.01). Starter culture(L. plantarum)는 $10^6\;cells/g$수준으로 접종되어 졌는데 0.5% GdL이 첨가되지 않았을 때 starter culture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40 ng/10g과 80 ng/10g을, 그리고 0.5% GdL 첨가되었을 때 starter culture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는 최대 50 ng/10g과 30 ng/10g를 생성하여 starter culture의 enterotoxin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NaCl은 2.7%와 1.7% 처리구에서 2.7% NaCl 처리가 오히려 더 많은 enterotoxin을 생성 하였다.

  • PDF

소금과 Glucono-${\delta}$-Lactone의 첨가 및 초고압 처리가 재구성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alt, Glucono-${\delta}$-Lacton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structured Pork)

  • 홍근표;박성희;김지연;고세희;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211
    • /
    • 2006
  • 본 실험은 소금 및 GdL의 첨가가 세척 및 가압 처리된 재구성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소금 및 GdL의 첨가는 재구성육의 결착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켰고, 저염농도 또는 소금이 무첨가 되어도 소량의 GdL의 첨가에 의한 결착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GdL의 첨가는 색도를 가열처리와 유사하게 변색시켰고, 이러한 변색은 GdL의 증가와 더불어 현저하였다. 그러나 이들 단점은 세척이나 기타 첨가물에 의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소량의 소금 및 GdL의 조합을 통하여 바람직한 결착강도 및 변색 저하를 기대할 수 있었고, 첨가된 인산염과 carrageenan에 의한 보수력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