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merulonephriti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3초

사구체신염에서 MIB-1을 이용한 Ki-67 항원의 발현 (Expression of the Ki-67 antigen Using Monoclonal Antibody MIB-1 in Children with Glomerulonephritis)

  • 정우영;송민섭;김영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104-109
    • /
    • 1998
  • 목 적 : 증식성 핵 항원인 Ki-67의 발현은 조직 표본에서 세포증식의 활성도를 나타내어 주는 매우 유용한 표식자로 이용되고 있다. MIB-1은 포르말린에 고정되고 파라핀 포매된 조직에서 Ki-67항원을 인식해 낼 수 있는데, 단클론성 항체 MIB-1을 이용하여 각종 사구체신염에서 사구체 및 신세뇨관의 MIB-1발현 정도를 알아보고, 특히 메산지움의 증식을 가지는 사구체신염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 사이에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질환이 의심되어 신생검을 시행한 환자 중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15세 이하의 환자 4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Ki-67에 대한 MIB-1(Immunotech, 505)항체를 이용하였으며, 판정은 모든 사구체의 세포수에 대해서 세포의 핵에 적갈색의 과립이 보이는 세포수를 백분율로 구하여 MIB-1 표지지수로 난타내었다. 결과 : 1. 미세변화 신염과 막성 신염에서는 전례에서 사구체 및 신 세뇨관에서 MIB-1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2. IgA 신증의 경우에는 18례에서 단지 2례 ($11.1\%$)에서만 사구체의 메산지움 세포와 신 세뇨관 세포에서 MIB-1이 발현되었으며, 7례에서는 신 세뇨관 세포에서만 MIB-1이 발현되었다. 3.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에서는 4례중 2례에서 사구체내에 MIB-1이 발현되었다. 4. 연쇄상 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의 경우에서는 5례중 4례에서 사구체 와 신 세뇨관 세포에서 MIB-1항원이 발현되었다. 결 론 :각종 신질환에서 사구체내 MIB-1의 발현은 사구체 및 신 세뇨관 세포의 증식상태를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IgA 신증의 경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메산지움 세포에서의 발현율은 낮아서, 메산지움의 증식을 보이는 사구체신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로서의 의미는 제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 연쇄상 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의 임상양상의 변화 (Changes of Clinical Finding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 최병호;추미애;홍은희;황현희;조민현;고철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157-163
    • /
    • 2008
  • 목 적 : 최근 연쇄상 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APSGN)의 빈도가 증가됨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 APSGN으로 진단된 환아의 임상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APSGN으로 진단받은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000년을 기준으로 1992-2000년에서 발병한 33례와 2001-2006년에 발생한 30례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나이, 성별, 단백뇨 정도, 육안적 혈뇨 유무, 항생제 사용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63명 중 남자는 41명, 여자는 22명이었고 발병 당시 연령은 평균 7년 11개월이었다. 전체의 87%에서 인후염이 선행하였고 평균 12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이행되었다. 육안적 혈뇨는 40례에서, 고혈압은 41례에서 있었다. 신염 발생 후 고혈압은 평균 7.8일, 육안적 혈뇨는 11.3일, 현미경적 혈뇨는 3.5개월 후 소실되었다. 2000년 전후 발병군을 비교하면 2000년 이후 발생군의 ASO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9) 다른 임상 양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 성별, 단백뇨 정도, 육안적 혈뇨 유무, 항생제 사용 여부 등은 신염 후의 고혈압과 혈뇨의 지속기간, 혈청 보체의 회복 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2000년 이후 발병된 APSGN은 ASO치의 차이를 제외하면 2000년 이전 발병군의 임상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ASO 값의 차이와 APSGN의 빈도 증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의 임상 양상 변화에 대한 연구 - 최근 5년과 이전 5년 동안의 임상 증상 비교 - (The Study of Clinical Characteristic Change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tritis - Comparisi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between Recent 5 Years and Past 5 Years -)

  • 윤혜원;박경수;이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01-1205
    • /
    • 2005
  • 목 적 : 최근 10년 동안 발생하였던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을 5년 단위로 I군과 II군로 나누어 기간에 따른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들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995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10년 동안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되어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아들 중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74례를 대상으로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I군(31명), 2000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II군(43명)으로 나누어 임상 및 검사 소견들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I군과 II군에 대한 비교연구 결과 두 군 모두에서 남아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겨울에 빈발하였으며 1-2주의 잠복기를 나타낸 상기도 감염이 선행 질환으로 가장 많았다. 발생 연령은 II군(7.4세)에서 I군(9.2세)보다 낮았다. 육안적 혈뇨 증상의 발생 빈도는 I군과 II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두 그룹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임상 증상의 경과에서 부종과 고혈압은 2주내에 I군과 II군 모두에서 완해되었다. 단백뇨 증상의 발생 빈도는 II군에서 I군보다 높았으며, 육안적 혈뇨와 단백뇨 증상의 발현 기간도 II군에서 I군 보다 오래 지속되었다. 결 론 : 최근 2000년대에는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의 발생 연령이 이전보다 낮아지고, 높은 발생 빈도를 나타낸 육안적 혈뇨 증상의 발현 기간이 연장되면서, 단백뇨 증상의 발현 빈도가 증가하면서 단백뇨가 완해되는 기간도 연장되었다. 그러나 임상 경과와 예후는 차이가 없었다.

개똥쑥에서 분리(分離)된 artemisinin이 가토(家兎) IgG에 의해 유발(誘發)된 생쥐의 현독성(賢毒性) 혈청사구체현염(血淸絲球體賢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artemisinin on the rabbit IgG accelerated nephrotoxic serum glomerulonephritis in mice)

  • 주전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35-336
    • /
    • 1996
  • Artemisinin, a new antimalarial to treat patients infected with strains of Plasmodium jalciparum, derived from the plant Artemisia annua Linn, has immunopharmacologic actions such as enhence the PHA -induced lymphocyte transformation rate, increased the weight of spleen but reduced the weight of thymus, reduced phagocytic function of peritoneal macrophage, remarkably reduced the level of serum IgG and hemolysin fonning capacity (sentitized with SRBC), inhibited the activity of Ts cells of donor mice by supraoptimal immunuization(SOI), but enhenced activity of Ts cells of recipient mice by SO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s cells may be the target cells of artemisinin. To the serum complement C3 level of plasmodium berghei-infeted mice, artemisinin (i. m,) could remarkly increase it. The artemisinin also obviously reduced the prostaglandin E(PGE) in the mouse hind paw swelling induced by carrageenin.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harmacologic doses of PGE attenuate the development of immunocomplex nephritis. Some autologous immune mechanisms may be invoolved In the pathogensis of some types of glomurulonephritis. Glomerular abnormalities can be induced in animals by variety of immunological manipulations. The resulting disorder has many clinical and pathogical similarities to the disease in human. Our purpose was therefore to test the ability of the artemisinin to lessen the severity of rabbit IgG accelerated nephrotoxic serum glomerulonephritis in mice model. Mice which had treated with rabbit IgG and NTS, administrated with saline, showed Significant inceases of urinary protein, cholesterol level, and decrease of serum albumin in NS group. On the contrary, By i.g. adminstration of artemisinin at dose of 12.5, 25 and 50 mg/kg for 14 days after NTS injection, shown that artemisinin inhibited the nephritic changes in some parameters by means of urinary protein(p<0.05, p<0.01) and serum choleterol(p<0.05, p<0.01) and albumin (p<0.05, p<0.01), blood urea nitrogen (p<0.05, p<0.01), serum albumin(p<0.05, p<0.01); Cyclophosphamide(i.p. 10mg/kg for 14d) had almost same effect as the artemisinin had. Morphological studies shown that The picture of kidney from the mouse with NTS-nephritis accerated with rabbit IgG, treated with i.g. saline as the control, the mesangiocapillary were enlarged and proliferated; There wer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The ethelial cell were proliferated in the wall of Bowman's capsule. Histopatholological picture of kidney from the NTS-nephritis accerated with rabbit IgG mouse treated with i.p. 10mg/kg cyclophosphamide as the positive control. No siginicant histopathological evidence were found. Treaded with i.p. 12.5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mesangiocapillary were lightly proliferated; There wer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Treaded with i.p. 25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the mesangiocapillary were lightly proliferated; Treaded with i.p. 50mg/kg artemisinine, The picture shown that both the mesangiocapillary proliferated and the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ng around the glomeruli are less than treated with saline, 12.5 and 25 mg/kg artemisinine.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we conclude that the artemisinin can relieve pathological change caused by NTS-nephritis aacerated with rabbit IgG.

  • PDF

실험적으로 유발한 개 신증후군의 진행 및 치유과정에서의 임상병리학적 변화 (Description of Clinicopathologic Changes during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Resolution of Experimentally induced Canine Nephrotic Syndrome)

  • Eun-wha, Choi;Chang-woo, L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1-436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험적으로 유발한 면역매개성 사구체 질환이 신증후군으로 진행하는 과정과 치유과정에서 단백뇨 배설에 근거한 조기진단 및 치유과정의 감시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두당 endotoxin 1 $\mu$g과 native bovine serum albumin 5mg 을 9두의 건강한 개에 정맥주사하여 감작시키고, 그 후 1주일부터 양이온화한 bovine serum albumin 120mg을 주 5회 반복 정맥주사한 결과 5두에서 면역매개성 사구체신염과 신증후군이 발생하였다. 사구체신염이 발생한 실험동물에서는 요단백질/ 크레아티닌 비의 증가 (>1.0), 저알부민혈증 (< g/이), BUN 증가 (>40 mg/dl), 부종 등이 나타났다. 이것은 임상병리학적으로 평가 가능한 면역매개성 사구체시염 및 신증후군 모델견이 제작되었음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사구체신염의 유발과 신증후군의 진행과정에 요단백질/크레아티닌 비의 증가가 저알부민혈증, BUN 증가, 고콜레스테롤혈증보다 1-4주 먼저 출현하였다. 사구체신염에 의해 신증후군이 유발된 실험동물 모두에서 prednisolone 을 2.2 mg/kg씩 1일 2회 경구투여한 결과 혈중 알부민 농도의 증가와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가 먼저 일어나고, 그 후 1-4 주에 요단백질/크레아티닌 비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종합적으로 볼때, 면역매개성 사구체신염성 신증후군의 조기진단에는 요 단백질/크레아티닌 비가 유리한 지표로, 그리고 초기 치유과정의 감시에는 혈청 알부민, 콜레스테롤이 더 유리한 임상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Liuweidihuang-tang on Alcohol-induced Decrease in New Cell Formation in Rat Dentate Gyrus

  • Bahn Goon Ho;Yoon Doh Joon;Park Jin Kyung;Lee Taeck Hyun;Jang Mi Hyoon;Shin Min Chul;Kim Chang Ju;Paik Eun Kyung;Park Jae Hyung;Cho Son Hae;Lee Choong Yool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55-1059
    • /
    • 2002
  • Liuweidihuang-tang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elayed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in children,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glomerulonephriti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Liuweidihuang-tang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dentate gyrus of alcohol-intoxicated Sprague-Dawley rats was investigated via 5-bromo-2' -deoxyuridine (BrdU) immunohistochemistry. Alcohol administration was shown to decrease the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in the dentate gyrus, while Liuweidihuang-tang treatment increased new cell formation in the dentate gyrus under normal conditions and alcohol intoxication. It was thus demonstrated that aqueous extract of Liuweidihuang-tang exert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lcohol-induced decrease in new cell formation.

A case of regression of atypical dense deposit disease without C3 deposition in a child

  • Kim, Min-Sun;Hwang, Pyoung-Han;Kang, Mung-Jae;Lee, Dae-Yeo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7호
    • /
    • pp.766-769
    • /
    • 2010
  • Dense deposit disease (DDD)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abnormal electron-dense material within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of the kidneys. The diagnosis is made in most patients between 5 and 15 years of age, and within 10 years, approximately half of the affected patients progress to end-stage renal disease. We report a rare case of regressive DDD without C3 deposition after steroid therapy in an 11-year-old boy. The patient presented with edema, gross hematuria, and nephrotic-range proteinuria. Laboratory testing revealed a serum creatinine level of 1.17 mg/dL, albumin level of 2.3 g/dL, and serum C3 level of 125 mg/dL (range 90-180 mg/dL). The results of the renal biopsy were consistent with DDD without C3 deposition. After 6 weeks of steroid therapy, the nephrotic syndrome completely resolved. The follow-up renal biops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mesangial proliferation and disappearance of electron-dense deposits in the GBM.

A Case of Azathioprine Induced Severe Myelosuppression and Alopecia Totalis in IgA Nephropathy

  • Kim, Jae Choon;Kim, Ye Kyung;Hyun, Hye Sun;Park, Eu Jin;Kang, Hee Gyung;Ha, Il Soo;Cheong, Hae 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35-39
    • /
    • 2017
  • Azathioprine is commonly used as immunosuppressive therapy for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chronic glomerulonephritis. Myelosuppression is a common side effect of azathioprine, resulting in the need for dose reduction. However, severe pancytopenia or alopecia is not often encountered. Here, we report a case of severe myelosuppression, and alopecia totalis that occurred after azathioprine treatment in a patient with IgA nephropathy. A 10-year-old boy with IgA nephropathy was treated with oral deflazacort and later with azathioprine. After 4 weeks, the patient complained of hair loss, and despite a dose reduction in azathioprine, he developed bone marrow suppression and alopecia totalis in two weeks. The blood indices and alopecia of the patient had returned to normal after azathioprine withdrawal and 3 consecutive doses o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We suggest that physicians remain vigilant to the side effects of azathioprine. Unusual hair loss after azathioprine treatment might suggest a defect in the metabolism of the drug, warranting the discontinuation of azathioprine to prevent more severe side effects.

가족성 IgA 신병증 1례 (A Case of Familial IgA Nephropathy)

  • 김유진;김운곤;윤신애;이진석;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1호
    • /
    • pp.81-85
    • /
    • 2011
  • IgA 신병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발성 사구체 질환으로 성인의 경우 30% 정도가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며 소아의 경우 10% 정도가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다. IgA 신병증은 전신증상이 없이 현미경적 혈뇨와 간헐적인 육안적 혈뇨를 특징으로 하며 심한 경우 단백뇨를 동반한다. IgA 신병증의 원인이나 발병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국외에서는 IgA 신병증이 유전되는 가계에 대한 보고와 함께 관련 유전자 연구가 활발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증례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가족 내유전된 IgA 신병증에 대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mmunotoxicological Effects of Mouse CpG Oligodeoxynucleotides in Lupus-prone NZB/NZW F1 Mice

  • Kim, Bo-Hwan;Seo, Dong-Jin;Jung, Soon-Hee;Kim, Soo-Ki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3호
    • /
    • pp.207-215
    • /
    • 2009
  • Despite wide therapeutic use of CpG ODN against infection, allergy and cancer, the safety and toxicity of CpG ODNs were poorly delineated. Thus, we investigated whether optimal dosing of CpG ODN would affect immunotoxicological parameters in NZB/NZW F1 mice. Comparisons were made among control, non-CpG ODN and mouse CpG ODN ($10{\mu}g$)-treated groups for 4 weeks. To gauge the immunotoxicity of CpG ODNs, we measured nonspecific parameters, degree of lupus nephritis, proteinuria, or autoantibody, and cytokine expression in mRNA level of lymphocytes. We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nonspecific immunotoxicological profiles and in evaluation profiles of glomerulonephritis. However, titer of anti-dsDNA and anti-cardiolipin antibodies in mouse CpG ODN group rose three or eight-fold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Collectively, CpG ODN might be clinically less immunotoxic in terms of clinical profiles in lupus-prone NZB/NZW F1 mice, in spite of high autoantibody titer in CpG ODN treated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