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ionomer cement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9초

심미수복재의 수복방법과 광조사기기에 따른 치질과의 인장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BOND STRENGTH TO TOOTH STRUCTURE OF TOOTH COLORED MATERIALS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AND LIGHT CURING UNITS)

  • 황호길;김영관;오행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652-66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to tooth structure of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cement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and light curing units. In this study, two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 of each tooth of 140 extracted human molar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with 40 teeth and control group with 20 teeth. And then, each experimental groups subdivided into 2 groups(A,B) according to light curing units. The cavities of each group were filled with the CLEARFIL FII self curing resin(Control Group), Z-100 light curing resin(Group 1), Vitremer$^{TM}$ light curing glass ionomer cement(Group 2) and Z-100 light curing resin over the Vitrebond$^{TM}$ liner(Group 3). And subdivided A Group used Argon Laser(SPECTRUM$^{TM}$, U.S.A.), B Group used XL 1,000 curing light (3M, U.S.A.). The specimens underwent temperature changed from $5^{\circ}C$ to $55^{\circ}C$ five hundred times. After thermocycling, specimens were stored in 100% relative humidity at $37^{\circ}C$ for 24 hours. And then,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specimens were calculated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AGS-100A,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2-B showed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18.89{\pm}7.80$) and the group 1-A showed the lowest tensile bond strength ($11.68{\pm}2.28$).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2-B and group 1-A(p<0.01). 2. Between the light curing units, the XL 1,000 unit showed higher tensile bond strength ($16.63{\pm}3.20$) than that of the Argon Laser unit ($13.73{\pm}2.3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XL 1,000 and Argon Laser(p<0.01). 3. About filling methods and materials, the group 2 showed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17.56{\pm}1.89$) and the group 1 showed the lowest tensile bond strength($13.03{\pm}1.9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group 1,3(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ass-ionomer cement that cured by XL 1,000 light curing unit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tensile bond strength than other curing unit and filling methods.

  • PDF

코어 형태와 시멘트 종류에 따른 전부주조금관의 유지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RE TYPE AND LUTING CEMENTS ON COMPLETE CAST CROWN RETENTION)

  • 백상현;장익태;이선형;양재호;허성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9-1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tention of complete cast crown over amalgam ores, composite resin cores, and cast gold cores when cemented with three different luting agents. Eighteen core specimens each of amalgam(Bestaloy, Dong Myung, Seoul, Korea), composite resin (Z100, 3M Dental product, st. Paul, Minn) and type IV gold alloy (Ba-4, Heesung Engelhard Corp., Korea) were made in a customized milling stainless steel die. A wax pattern with a loop attached to occlusal surface was made for each core and a type II gold alloy casting was fabricated. The castings which had clinically acceptable marginal fit were used as test samples. The following luting cements were used to cement cast crowns on each core material : (1) zinc phosphate cement (Confi-dental Products Co., USA) (2) glass-ionomer cement (Fuji Plus, GC Industrial Corp., Tokyo, Japan) (3) resin cement (Panavia 21, Kuraray Co., USA). All cements were mix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A static load of 5kg was then applied for 10 minutes on the crowns.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saline solution for 24 hours at $37^{\circ}C$ and thermocycled for 500 cycles. After storage and cycling, the tensile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Corp., Canton, Mass.) at a crosshead speed of 0.5mm/m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tentive strength of resin cement was the highest of alt three types of cement for resin core (p<0.05).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retentive strengths of three cements for amalgam core (p>0.05). 3. The retentive strength of resin cement was higher than that of zinc phosphate for cast cor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etentive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 and those of rein and zinc phosphate cement. 4. The retentive strength of the zinc phosphate cement for amalgam core was the highest of all type of cores.

  • PDF

브라켓 접착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의 접착강도 및 항우식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NTICARIOGENICITY OF GLASS IONOMER CEMENT FOR BRACKET BONDING)

  • 강용주;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38-553
    • /
    • 1999
  • 고정성 교정장치에 의한 법랑질 탈회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교정용 불소 유리 복합 레진과 교정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여 각 재료의 법랑질과의 결합 강도와 항우식효과를 측정하여 교정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와 교정용 불소 유리 복합 레진, 일반 교정용 복합 레진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한 80개의 상악 소구치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중 전단강도 측정을 위하여 각 군당 10개씩 5군으로, 항우식 실험을 위하여 각 군당 10개씩 3군으로 무작위로 분배하였다. 전단강도 실험을 위하여 I군은 일반 교정용 레진을, II군은 불소 유리 레진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각 치아의 협면에 부착하였으며, III군은 치면 처리를 시행하지 않았고, IV군과 V군은 각각 폴리아크릴릭산과 35% 인산으로 치면처리를 시행한 후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를 사용하여 부착하고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 강도를 측정한 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하였다. 항우식 효과 실험을 위하여 전단 강도 실험에서 I, II, III군과 동일한 재료와 방법으로 브라켓을 부착하고 인공 우식을 유발시켜 얻어진 연마 표본을 편광현미경으로 우식 유발 부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화상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접착강도 실험에서는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III, IV, V)과 레진 군(I, II) 사이에선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이 레진 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고, II군과 V군간을 제외하고는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레진 접착 군간의 비교에서는 I군이 다소 높은 접착강도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5). 글라스 아이어노머 접착 군간의 비교에선 V군이 가장 높고 그 다음 IV군, III군의 순으로 낮아졌으며, III군과 V군간에서만 유의차를 보였다(p<.05). 파절 양상의 관찰 시 I, II군에서는 주로 응집성 파절 양상이, III군에서는 대부분 부착성 파절 양상이 특징적이었으며, IV군과 V군에서는 이상의 파절 양상이 혼합되어 관찰되었다. 평균 우식 병소의 깊이에선 글라스 아이어노머 접착군인 III군이 레진 접착군인 I군, II군에 비해 얕았으며(p<.05), 레진간에서도 역시 불소 유리 레진 접착군인 II군이 I군에 비해 얕았다(p<.05).

  • PDF

광경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두께 및 시간경과에 따른 경도의 변화 (HARDNESS CHANGE OF LIGHT-ACTIVATED GLASS IONMER CEMENT WITH THICKNESS AND TIME)

  • 이경진;오원만;김선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1호
    • /
    • pp.303-315
    • /
    • 1995
  • An adequate and homogeneous cure of light-activated restroative material is very important for improvement of marginal adaptation and prevention of marginal leakage, secondary caries and pulpal irritation as well as expressing natural physical property of that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surface hardness and cure uniformity of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s. Restorative(Fuji II LC, Vitremer) and lining(Baseline VLC, Vitrebond)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s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 surface hardness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nd cure uniformity of each 1mm, 1.5mm, 2mm, 2.5mm & 3mm in the thickness of specimen were measured immediately, at 1 hour, 24 hours and 1 week after light activation. The surface hardness change and cure uniformity of all the specimens were measured by Knoop hardness tes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rface hardness of top and bottom surfaces in all groups increased with time(p<0.01). 2. Both top and bottom surfaces hardness of Vitrebond group measured immediately after light-activ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p<0.01). 3. The surface hardness of top and bottom surfaces of restorative light -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lining materials at 1 week(p<0.10). 4. Surface hardness of Vitremer group decreased as the specimen thickness increased, except top and bottom surfaces hardness of the specimen at 1 week(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hardness of Fuji II LC with changes in the thickness except bottom surface hardness of specimen at 24 hours and 1 week (p>0.05). 5. Surface hardness of Vitrebon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pecimen thickness increased(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hardness of Baseline VLC group with changes in the thickness except bottom surface hardness of specimen measured immediately after light -activation(p>0.05). 6. The hardness ratio of top against bottom surface in all groups decreased with time(p<0.05).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rdness ratio of top against bottom surface with changes of the thickness except Vitrebond group, 24 hours and 1 week of Vitremer group and 1 week of Baseline VLC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face hardness of restorative ligh-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s were highter than those of lining light-activated materials. In all groups, the surface hardness and cure uniformity continuously increased with time.

  • PDF

글라스 아이오노대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Tensil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s)

  • 변승민;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4
    • /
    • 1996
  • 브라켓 접착제로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복합레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교정영역에서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사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lonomer Cement(Shofu Co., U.S.A.)와 GC Fuji I(GC Co., Japan), KETAO 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 하였다가 증류수에 침 적 하여 $37^{\circ}C$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말-액 비율을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 (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Shofu Glaslonomer Cement와 GC Fuji I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2.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때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 (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 PDF

3종 시멘트로 접착한 소아용 기성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유치 상아질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ing Strength of Three Cements Luted on Pediatric Zirconia Crowns and Dentin of Primary Teeth)

  • 이정은;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4-32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3종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고 열순환 시행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소아치과에서 사용되는 소아용 기성 지르코니아 전장관($NuSmile^{(R)}$ ZR crown)의 내면과 유사한 디스크 형태의 지르코니아 시편(Zirconia discs)을 제작하였다. 소아용 기성 지르코니아 전장관의 내면과 지르코니아 시편의 표면이 동일하도록 같은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60개의 지르코니아 시편과 60개의 유구치 상아질 시편을 3종의 시멘트 $Ketac^{TM}$ Cem Permanent Glass Ionomer Luting Cement(KGI), $RelyX^{TM}$ Luting Plus Cement(RLP), $RelyX^{TM}$ Unicem Self-Adhesive Universal Resin Cement(RUR)에 따라 20개씩 나누고, 열순환 시행 유무에 따라 다시 10개씩 2개의 하위그룹으로 나누었다. 하위그룹 A는 열순환을 시행하지 않았고 하위그룹 B는 5500회의 열순환을 시행하였다. 만능 재료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파절 양상을 주사전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지르코니아 시편 및 유구치 상아질 시편에 접착한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는 RUR이 KGI와 RLP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 < 0.05). RUR의 전단결합강도는 열순환 시행하지 않은 군과 열순환 시행한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불소함유 레진의 불소유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 CEMENTS AND A FLUORIDE-CONTAINING RESIN)

  • 김미경;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9-407
    • /
    • 1998
  • 불소를 유리하는 치과재료인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불소함유 레진을 대상으로 경화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1일간 불소유리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경시적 변화추세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서 치과교정용 브라켓 접착제($Orthobond^{\circledR}$)와 충전응(Fuji GC $LC^{\circledR}$),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서 충전용 (Fuji GC $II^{\circledR}$)과 아말감 합금이 첨가된 충전용(Miracle-$Mix^{\circledR}$) 및 광중합형 불소함유 충전용 레진($Heliomolar^{\circledR}$)을 실험재료로 하여 중합 1일, 3일, 7일, 14일, 42일, 70일 경과후 각각 불소유리량을 측정하고, 변화추세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 실험기간에 걸쳐 불소함유 레진의 1일간 불소유리량은 글라스 아이포노머 시멘트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2. 중합 70일 경과후 1일간 불소유리 량은 Miracle-$Mix^{\circledR}$는 평균 $3.4{\mu}g/cm^2$, Fuji GC $II^{\circledR}$가 평균 $2.7{\mu}g/cm^2$, $Orthobond^{\circledR}$가 평균 $2.3{\mu}g/cm^2$, Fuji GC $LC^{\circledR}$이 평균 $1.4{\mu}g/cm^2$였고, 불소함유 레진인 $Heliomolar^{\circledR}$은 평균 $0.1{\mu}g/cm^2$이었다. 3. 1일간 불소유리량은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사미에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제조회사의 제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말감 합금이 첨가된 Miracle-$Mix^{\circledR}$은 아말감 합금이 첨가되지 않은 다른 시멘트에 비해 현저히 많은 양의 불소를 유리하였다. 4. 모든 실험재료의 1일간 불소유리 량은 중합 3일이전까지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중합 3일경과이후 중합 14일 이전까지 완만한 감소를, 중합 14일이후부터 중합 70일경과까지 매우 완만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 PDF

수종의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충전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Properties of Several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 이동연;김종수;한미란;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6-204
    • /
    • 2020
  • 이 연구는 두 종류의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alkasite' 계열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충전 양상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X GP와 Riva Self Cure, 'alkasite' 수복재인 Cention N, 복합레진 Filtek™ Z350XT의 시편을 직경 10.0 mm, 높이 2.0 mm의 원반 형태로 제작하였다. 총 28일간 불소 유리량을 측정한 이후, 각 재료별로 시편을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에는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을 1분간 도포하고, 이후 7일간의 불소 유리량 측정을 통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재료의 불소 재충전 여부를 평가하였다. 불소 유리량은 Riva Self Cure, Fuji IX GP, Cention N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Cention N의 불소 유리량은 Fuji IX GP의 약 49%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Riva Self Cure, Fuji IX GP, Cention N에서 1.23% APF gel의 도포 후 불소 유리량의 증가가 관찰되어(p < 0.05), 글라스 아이오노머뿐 아니라 Cention N에서도 불소의 재충전 양상이 확인되었다.

컴포머의 재석회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COMPOMERS)

  • 정회민;김용기;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8-508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심미수복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포머의 불소 유리양상과 수복물 인접 우식법랑질에 대한 재석회화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복합 레진인 Z-100을 I 군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글라스 아이오노머인 Fuji II LC를 IV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Dyract AP와 F-2000을 II군과 III군으로 설정하였다. 불소 유리량의 측정을 위하여 각 군에 따라 동일한 디스크를 제작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1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또한 협면이 건전한 우전치를 대상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시킨 후 각 군별로 수복물을 충전한 다음 가철성 장치에 이를 부착하여 구강 내에서 2주간 유지시킴으로써 수복물 주위 우식법랑질에 대한 각 수복재의 재석회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I군은 불소 유리를 하지 않았으며, IV군에서 가장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은 IV군보다 낮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p<0.05), III군이 II군보다 불소 유리량이 많았다(p<0.05). 편광 현미경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가 거의 소실되거나 흔적만 남아있는 양상이 다수 관찰되어 각 군 공히 상당한 재석회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I군과는 달리 II, III, IV 군에서는 수복물의 변연부에 Inhibition zone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II, III, IV 군으로 갈수록 재석회가 충실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미세경도 측정 결과 우식부위가 대조부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II, III, IV 군의 경우 수복물 인접부의 미세경도치는 대조부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수복물 변연에서 멀어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글래스아이오노머에 대한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최적 첨가 비율(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첨가 비율에 따른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의 결합강도와 탈회저항성의 변화 비교) (The Optimum Addition Ratio of Nano Hydroxyapatite to Glass Ionomer Dental Cement (Changes in Demineralization Resistance and Bonding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after the Addition of Nano Hydroxyapatite in Various Ratio))

  • 김남혁;김성오;송제선;이제호;손흥규;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9-16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인 Fuji II $LC^{TM}$를 대조군으로 삼고 다양한 비율의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 hydroxyapatite)를 첨가하여 최적의 물성을 나타내는 HA의 첨가비율을 알아보는 것이다. 각각 무게비로 5~30%의 나노 HA를 첨가하여 HA-5, HA-10, HA-15, HA-20, HA-25, HA-30의 여섯 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으며 ISO 9917-2:2004 기본 규정에 따른 물리적 성질과 탈회저항성, 결합강도 실험을 시행하고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해 탈회양상과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합강도 실험 결과 HA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결합강도는 증가하여 HA-15 군에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p < 0.05). 탈회 저항성 실험으로 4일간의 탈회 후 CLSM을 이용하여 탈회면을 관찰한 결과, HA 첨가군에서 탈회 구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HA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 탈회면을 관찰한 결과에서는HA 입자가 탈회된 법랑질의 미세공극을 채우고 있는 양상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