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bead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9초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Bakjimeure Site in Asan, Korea)

  • 김나영;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5-216
    • /
    • 2012
  • 아산 밖지므레 유적 마한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 65점은 포타쉬유리군이 13점, 소다유리군이 52점으로 소다유리군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색상별로 세분하면, 감청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과 소다유리군이 공반되는 반면 자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이고 적색, 벽색, 녹색, 금박유리는 소다유리군으로 나타났다. 감청색 유리는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LCA계이고 이중에 소다유리는 MgO와 $K_2O$ 함량이 낮은 LMK형으로 천연탄산소다가 원료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 유리는 균질한 유리가 LCA-B계/HMK형이고 불균질한 유리가 HCLA계/LMK형으로 각각 해양 식물 재와 천연탄산소다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벽색과 녹색 유리는 환옥이 LCA-A계/LMHK형이고 연주옥이 LCA-B계/HMK형으로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금박구슬은 19.9~22.6K의 순도를 갖는 금박과 HCLA계/LMK형의 소다유리로 제작되었다. 즉, 아산 밖지므레 유적 유리구슬 대부분은 백제시대 타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리 조성과 유사성이 높은 편이나 벽색 및 녹색 연주옥과 일부 적색 환옥은 다른 화학 조성을 보이므로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고대유리의 교역 체계 이해를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신의 고정화(固定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moblization of Pepsin)

  • 박종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66-173
    • /
    • 1985
  • ��신을 DEAE-cellulose, CM-cellulose, Sepharose-4B와 porous glass beads을 사용(使用)하여 고정화(固定化)시켰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M cellulose와 DEAE-cellulose의 ��신 흡착량(吸着量)은 건조된 bead 1 gr에 대하여 각각 10 mg와 15 mg이었고 glutaralde을 사용(使用)함으로서 20 mg와 27 mg로 흡착량(吸着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용해성효소(溶解性酵素)에 비해 각각 22%, 24%로 나타났다. 2. Sepharose-4B을 cyanogen bromide을 사용(使用)하여 활성화(活性化)시킨후 glutaraldehyde을 사용(使用)하여 공유결합을 유도하였던 바 건조된 bead 1 gr에 ��신 19 mg가 통합(統合)되었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23%로 나타났다. 3. Porous glass beads의 표면(表面)을 succineamido - propyl glass beads의 형태(形態)로 유도체를 만든후 ��신을 고정화(固定化)시켰을 때 bead 1 gr가 ��신 40 mg을 통합(統合)할 수 있었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용해성효소(溶解性酵素)에 비해 45%로 나타났다.

  • PDF

마이크로 캡슐화된 Glass bead 충전 HDPE 복합재의 제조와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and Preparation of HDPE Filled with Microencapsulated Glass Beads)

  • 김동국;김광호;임승순;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3권3호
    • /
    • pp.430-439
    • /
    • 1992
  • 입자무기물 충전 복합재료에 있어서 계면의 친화성과 충전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분자 수지로 마이크로캡슬화된 glass beads를 제조하였다. Glass beads의 마이크로 캡슐화에는 상분리법을 이용하였으며, 벽막수지로는 EMAA와 EAA를 사용하였다. 캡슐화 형성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열분석과 SEM을 이용하였다. HDPE에 캡슐화 glass beads를 10~30중량 퍼센트까지 충전시켜 HDPE/마이크로캡슐화 glass beads 복합재를 제조하고 벽막수지종류와 캡슐화 비율에 따른 인장강도, 인장탄성율 및 동역학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의 경우 캡슐화 glass beads로 충전시킨 경우 복합재의 인장강도저하가 현저하게 둔화되었으며, 인장탄성율의 경우 캡슐화 glass beads로 충전시킨 경우 30~40% 정도의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 동역학적 물성측정에 있어서는 계면접착력과 분산성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벽막수지의 종류에 따른 복합재의 물성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음파 촉매 공정에서 주파수와 고정된 고체 촉매가 라디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quency and Fixed Solid Catalyst for Radical Production in Sonocatalysis)

  • 조은주;나승민;이세반;김지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3
    • /
    • 2012
  • The fixed solid catalysts such as glass bead, steel mesh, and $TiO_2$ coated ceramic bead were used to investigate effect of radical produc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The radical production rate at 300 kHz was faster than that at 35 kHz without solid, but the tendency was changed with the presence of glass bead. The presence of glass beads create non-continuous points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phases leading to increased formation of cavitation bubbles. However, the radical production decreased when steel mesh was used at 35 kHz although the surface area of contact with liquid was same when glass bead was used. Hence the solid catalyst did not always enhance the radical production. The radical production using $TiO_2$ coated ceramic bead was dramatically increased at 35 kHz due to the breakage of $TiO_2$ coated ceramic bead. Therefore the radical productions at 300 kHz using fixed solid catalysts generally increased while at 35 kHz the result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Reduction of Concrete Pavement Using Glass Bead Materials

  • Pancar, Erhan Burak;Akpinar, Muhammet Vef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0권1호
    • /
    • pp.39-46
    • /
    • 2016
  • In this study, different proportions of glass beads used for road marking were added into the concrete samples to reduce the temperature gradient through the concrete pavement thickness. It is well known that decreasing the temperature gradient reduces the risk of thermal cracking and increases the service life of concrete pavement. The extent of alkali-silica reaction (ASR) produced with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by glass bead was investigated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amples with different proportion of glass bead in their mix designs were measured in this study. Ideal results were obtained with less than 0.850 mm diameter size glass beads were used (19 % by total weight of aggregate) for C30/37 class concrete. Top and bottom surface temperatures of two different C30/37 strength class concrete slabs with and without glass beads were measured. It was identified that, using glass bead in concrete mix design, reduces the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op and bottom surfaces of concrete pavement. The study presented herein provides important results on the necessity of regulating concrete road mix design specifications according to regions and climates to reduce the temperature gradient values which are very important in concrete road design.

세라믹과 유리에 코팅한 TiO2 광촉매를 이용한 가스상 벤젠의 제거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enzene in the Gas Phase using TiO2 Coated on Ceramic and Glass Beads)

  • 손현석;양원호;김현용;이소진;박종래;조경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6
    • /
    • 2003
  • TiO$_2$ sol was prepared by sol-gel method, and this sol was coated in ceramic and glass bead by dip-coating method. The coated catalyst was applied to degrade benzene in the gas phase by exposing to UV -lamp (365 nm) in a batch react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benzene was compared by chang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kind of chemical additives, the coating beads (ceramic and glass), solution pH,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iO$_2$ sol, UV intensity, and benzene concentration. The physical structure of TiO$_2$ sol us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pu-rely anatase type from XRD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eramic bead was effective as the coating agent rath-er than glass bead.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benzene removal efficiency of benzene did not occur with chang-ing coating frequency and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iO$_2$ sol. The removal efficiency of benzene increased with increasing UV intensity, and with acidic treatment of TiO$_2$-coated ceramic bead.

보물 제634호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검증 연구: 디자인과 문화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Study on the Treasure #634 of Silla Face-Inlaid Glass Bea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ultural Symbolic Elements)

  • 최미숙;이효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71-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슬 문양 디자인의 상징성과 의미 및 신라문화와의 연관성, 유리구슬 제조의 제반 여건을 조사하여 예술성과 기술성이 뛰어난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신라 자체 제작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분석 이외에 고문헌과 신화, 유리 유물, 유리 및 금속의 생산기술, 실크로드 교차로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산문화 유물, 다른 상감 유리구슬의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마한, 부여, 신라인은 구슬을 보배로 삼고 장신구에 애용하였는데, 구슬 속의 인면상 상투와 금관장식, 새와 꽃나무의 모든 디자인 요소가 김알지, 김수로, 박혁거세, 주몽 등 위인들의 난생설화, 북방의 새 및 신수 숭상 등과 밀접하였고, 디자인 요소와 배치가 신라의 다른 유물에서도 동일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슬과 인면상의 기원은 홍산문화였으며 하가점하층문화의 고조선 북표에서는 구슬용 석범이 발견되었다. 또 경주 식리총의 상감 유리구슬과 일본 토간모리 고분의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출토는 신라 자체 제작설을 확증시켜주는 것이다. 백제인이 5세기 일본에 유리구슬 제작소를 둔 사실은 신라인이 인도네시아 자바에도 제작소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신라와 밀접한 관계였던 인도네시아 자바는 신라의 해상실크로드 교차로, 원석 및 노동력 제공지이고 유리구슬의 소비 지역이나 기원지는 아니었다. 이에 구슬에 대한 신화와 전통을 보유하고 머리에 상투와 금관을 착용하였으며, 금속 및 상감 기술 등 난이도 높은 기술을 보유했던 신라가 자체 제작한 것이 틀림없다.

유리구슬형 재귀반사기의 광학적 특성 해석 (Analysis on Glass-Bead Type Retroreflector's Optical Characteristics)

  • Lee, E.H.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5-173
    • /
    • 1994
  • Retroreflector is different from other reflecting surfaces as it mades reflection in which radiation is returned in directions close to its incoming direction.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s, retroreflectors find many applications in traffic safety related areas. Retroreflectors are usually made using comer cubes, or partially coated glass beads. These glass beads can be made very small, so that they can be coated on sheets or mixed with paints. The design of glass type retroreflector depends on glass bead's shape and material, and its optic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refractive index of glass. In this paper, a method of anlyzing glass bead type retroreflector's sptic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shape and optica property of the glass, is presented. First, the coefficient of retroreflection, which is a measure of retroreflector's optical characteristics, is derived analytically using geometrical optics method. And the result is plotted using numerical methods. The results show good match with those obtained experimentally, which were supplied from a commercial retroreflector manufacturer.

  • PDF

$UV-TiO_2$ 광촉매 반응기에 의한 미생물의 살균효과 (Killing Effects of $UV-TiO_2$ Photocatalytic System on Microorganisms)

  • 김중곤;신용국;이영상;김용호;김시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0-136
    • /
    • 2001
  • 두가지 형태(1단 반응기와 2단 반응기)의 UV-$TiO_2$광촉매 시스템과 3가지 형태의 $TiO_2$가 코팅된 촉매를 이용하여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살펴보았다. 첫번째 형태는 석영관에 $TiO_2$가 박막증착된 것이고 두번째 형태는 glass bead 표면에 $TiO_2$가 코팅된 형태이며 세번째는 alginate bead에 $TiO_2$가 혼합된 형태이다. 1분동안 UV를 조사하였을때 1단 반응기에서 $TiO_2$가 박막증착된 석영관과 $TiO_2$가 코팅된 glass bead의 살균효율은 각각 63.2%와 89.9%이었다. 반응기에 기포를 주입했을 때의 살균효율은 glass bead의 경우 95%로 기포를 주입하지 않았을 때의 90.6%보다 휠씬 효과적이었다. 기포를 주입하면서 광촉매로 alginate bead에 $TiO_2$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을 경우의 살균효율은 86%이었다. $TiO_2$가 코팅된 glass bead를 이용한 반응기에 기포를 주입하면서 $H_2$$O_2$를 처리하였을 때의 살균정도는 미량농도에서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1단 반응기보다 2단 반응기에서의 살균효율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E. coli에 대한 살균효과가 S. cerevisiae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도로표시 규정 및 글라스비드 동향과 자율주행차량 시대를 대비한 제언 (Trend in glass bead and regulation of road marking, and suggestions for preparing an autonomous vehicle age)

  • 강병국;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29-237
    • /
    • 2019
  •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높은 도로의 차선인식률을 유지하기 위해, 통상 재귀반사(retro-reflectivity) 특성이 뛰어난 고 굴절률의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도로표시 페인트 위에 도포한다. 국가별로 일반 도로표시의 재귀반사 기준이 다르며, 국내는 백색광 기준으로 $240mcd/m^2{\cdot}lux$, 선진국들은 $250{\sim}300mcd/m^2{\cdot}lux$로 규정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표시 관련 규정과 글라스비드에 대한 동향에 대하여 고찰하고, 향후 자율주행차량 상용화에 대비하여 규정 기준치 및 글라스비드물성 향상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