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b2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26초

인삼성분 D-O-ANa이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 및 작용기전에 관한연구 (FURTHER PURIFIED GINSENG EXTRACT FRACTION (D-O-ANA) FOR INSULIN RELEASE AND ITS MODE OF ACTION COMPARED WITH THE ISOLATED RESIDUAL COMPONENTS)

  • KIMURA Masayasu;SUZUKI Jun;WAKI Isami;KIMURA Ikuko;TANAKA Osamu;MATSU-URA Hiromich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91-197
    • /
    • 1984
  • 인삼의 저혈당성 분획 (DPG-3-2)이 적출한 랑겔한스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일전에 본 저자들이 발표하였다. 근래에 이와 같은 DPG-3-2 분획으로부터 사포닌, 뉴크레오사이드, 뉴크레오타이드, 아미노산, 당 등을 완전히 제거시켜 더욱 정제한 D-O-ANa 성분을 추출하였다. D-O-ANa 유발성 인슐린 분비효과를 DPG 3-2 분획과 그외 잔여성분과 비교 검토하였다. D-O-ANa는 글루코우즈 농도의 고저에 무관하게 인슐린 분비를 가장 강하게 촉진하였다. 특히 D-O-ANa는 제 2 차증 글루코운즈 유발성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였다. DPG 3-2 분획은 당뇨병 쥐로부터 떼어낸 랑겔한스섬에서 세포외 체액의 칼슘이온이 증가됨에 따라($0.16{\~}6.25$mM) 글루코우즈 유발성 인슐린 분비를 더욱 현저히 증가시켰다. 칼슘이온 흡수와 인슐린분비의 상호관계가 뚜렷이 밝혀졌다. 이 관계는 single sucrose gap 방법에 의해 주의 적출 간 문맥에서 칼슘주파수가 증가되는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 PDF

ERP 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 2000/ KS A 9001:2001)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SO 9001 : 2000/ KS A9001 : 2001) based on ERP)

  • 김용직;강창욱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3-41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품질경영시스템의 ISO 9000:2000/KS A 9000:2001 개정 규격 내용 및 요구사항을 살펴보는 한편,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전환규격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ERP PACKAGE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 PROCESS와 품질 기록을 중심으로 ISO 9000:2000/KS A 9000:2001 개정 규격을 ERP PACKAGE에 접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적용 사례로서 기계 제조업체의 구매업무를 중심으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화된 업무 체계를 갖추어 업무 담당자간 혹은 부서간의 업무 마찰을 줄이고 여러부서에서 발생하는 업부 DATA를 중앙집중식으로 공유하여 동일한 DATA의 수집과 작성에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등에서 업무의 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ERP PACKAGE를 이용한 품질경영시스템(ISO 9000:2000/KS A 9000:2001)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전환 규격의 충분한 이해가 요구된다. 2)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파악한 후 ERP PACKAGE에서 제공하는 개선된 업무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개선된 업무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를 ERP PACKAGE 모듈에서 품질기록으로 유지한다. 4) 새로운 품질경영 정보 시스템을 업무 전반에 적용하기 위한 기업인프라 구축과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ISO 9000:2000/KS A 9000:2001 개정 규격요구사항을 이해하고 ERP PACKAGE를 이용하여 최초로 개정규격을 적용하거나, 전환규격으로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 시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업무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의 수와 생존율면에서 볼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TEX>개월 투여하게 되면 HDL 콜레스테롤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양, 동맥경화지표,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과산화지방은 현 저히 감소하였다.- 결론 - 홍삼과 진세노사이드는 사람과 흰쥐에 있어 과지혈증을 호전시켰다. 실험적으로 과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서, 혈중 아포단백질, 지방단백질 및 프로스타글란딘 상호성을 개선시켰다.었다.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Rb_{2}$, G-Rc, G-Re의 순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 PDF

인삼(人蔘)의 가열추출(加熱抽出) 과정(過程) 중 사포닌의 가수분해(加水分解) 특성(特性) 및 유기산중화(有機酸中和)에 의한 분해억제(分解抑制) (Property and Inhibition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Organic Acids Neutralization in Ginseng Extract Preparations)

  • 정승일;이용구;김천석;이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5-310
    • /
    • 1998
  • 인삼(人蔘)을 열수추출방법(熱水抽出方法)으로 추출(抽出), 농축(濃縮)하여 엑스를 제조(製造)할때 인삼(人體)에 무해(無害)한 탄산수소(炭酸水素)나트륨, 탄산(崙酸)나트륨 등(等)의 약염기(弱鹽基)를 수삼(水蔘)과 백삼내(白蔘內) 유기산(有機酸) 당량비(當量比)로 첨가한(添加) 결과(結果),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 citric acid 4.12, 13.05 mg/g, malonic acid 0.68, 2. 18 mg/g, succinic acid 0.13, 0.46 mg/g, malic acid 2.68, 8.62 mg/g)을 중화하여 주된 유효성분(有效成分)인 사포단의 분해(분해) 없이 추출(抽出)할 수 있었으며, 갈색화 반응(反應)을촉진(促進)하여 추출물(抽出物)의 갈색도(褐色度)를 높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가수분해(加水分解) 현황(現況)은 $C_{20}$ 위치(位置)의 가수분해(加水分解)가 주(主)된 요인(要因)이었으며, protopanaxadiol과 protopanaxatriol의 $C_3$$C_6$에 결합(結合)된 glucoside 결합(結合)은 전자밀도(電子密度) 계산결과(計算結果)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가 -0.223으로 낮은 2차(次) 탄소(炭素)에 결합(結合)되어 대채로 안정(安定)하였으나 $C_{20}$ 위치(位置)의 glucosidp 결합(結合)은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가 -0.295로 높은 제(第) 3차(次) 탄소(炭素)에 결합(結合)되어 약산용액(弱酸溶液) 가열조건(加熱條件)에서 산가수분해(酸加水凉解)가 용역(容易)하였으며, 사포닌의 3번(番), 6번(番곯)과 20번(番) 탄소(炭素)의 산(酸)과 효소(酵素)에 의한 가수분해(加水分解)와 차이는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와 입체장애(立體障碍)에 의한 차이(差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논토양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방법이 인삼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Using Plastic-Film House on Yield and Quality of Ginseng in Paddy Field)

  • 김동원;김종엽;유동현;김창수;김희준;박종숙;김정만;최동칠;오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6
    • /
    • 2014
  • The average and maximum temperature were $29.5^{\circ}C$ and $33.2^{\circ}C$ at 2:00 p.m. respectively,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and both of temperature were lower $0.6^{\circ}C$ and $1.3^{\circ}C$ than those of conventional shade. Light transmittance was 14% in the plastic-film house, while 9.9% in conventional shade during growing season from May to October. Withering time of aboveground part was on October 3rd in conventional shade with 60% of withering leaf, while it was on November 10th with 3.7% of withering leaf in the plastic-film house, about 40 days longer survival. The main disease incidence were 15% of anthracnose, 17% of leaf spot, 5% of phytophthora blight and 3% of gray mold in the conventional shade, while 0 ~ 0.1% disease incidence and 95% of emergence rate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growth i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part of ginseng was totally better,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affecting yield such as root length, main root length and diameter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fresh weight was increased by 128%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nd harvested roots per $3.3m^2$ were 36 roots in the conventional shade and 58 roots in the plastic-film house and futhermore yield per $3.3m^2$ was increased by 21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s covering materials, the rice straw in the plastic-film house was excellent. The ginsenoside contents affecting the quality of ginseng were higher in the plastic-film house indicating 0.333% of Rg1, 0.672% of Rb1, 0.730% of Rc and rate of red rusty root was less than 4.0 ~ 6.1%. Above the results, the quality of ginseng grown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hade.

인삼성분이 살서제(Vacor)로 유발시킨 쥐의 당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RODENTICIDE VACOR-INDUCED DIABETES MELLITUS IN RATS)

  • 이민화;이태희;안봉환;박병주;양성열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3-88
    • /
    • 1984
  • 고려홍삼에서 추출한 성분(RGF-3)이 살서제 Vacor로 유발된 당뇨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흰쥐에서 관찰하였다. 홍삼 RGF-3 분획의 복강내투여 (20mg/kg)는 allo-xan-유발고혈당을 저하시키고 소량(10mg/kg)의 Vacor로 유발된 당불내성을 개선시켰다. 소량의 Vacor로 중독된 흰쥐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혈중 insulin치를 나타내는 경향이었으며, Vacor투여 3시간 전에 복강내 투여한 RGF-3은 정상대조군에 있어서보다 더 높은 혈중 insulin치의 증가를 가져 왔다. 흰쥐의 부고환지방세포의 glucose대사[(1-$^{14}C$-glucose 의 $^{14}CO_{2}$에로의 전환]와 glucose로부터의 지방합성 [(1-$^{14}C$) glucose로부터의 $^{14}C$-lipid에로의 전환]은 Vacor중독에 의하여 저하되었으나, RGF-3 투여에 의하여 정상수준까지 회복되었으나, 그러나 정상지방세포에 대해서는 RGF-3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아니하였다. 한편 이상과 같은 말초지방세포의 glucose 대사는 insulin의 in vitro 첨가에 의하여 촉진되었으나, Vacor 중독에 의하여 감약되었고, RGF-3은 Vacor 중독에 의한 감약된 반응을 어느정도 회복시켰다. 홍삼의 수침추출물 (30mg/kg)과 RGF-3분획 (20mg/kg)의 $10{\~}20$일간 격일 투여는 그 후 대량(25mg/kg)의 Vacor 중독으로 유발되는 고혈당 발생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아니하였다. 이와 간은 실험결과에 비추어 홍삼의 RGF-3분획은 Vacor 중독으로 저하된 말초조직의 당대사를 개선시켜 소량의 Vacor 중독시의 당불내성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라 사료되었다.\alpha}$-tocopherol의 항 산화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촉진 시킬 것으로 생각된다.-L(독성 호르몬-L)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암환자의 체중 감소를 방지하고, 식욕감퇴를 개선할것으로 생각된다.해되었으며, $Rb_{1}$은 장내의 효소와 tetracycline-resistantant bacteria에 의해 Rd와 2 종류의 미확인 물질로 분해되었다.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Rb_{2}$, G-Rc, G-Re의 순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

  • PDF

고온고압증기멸균이 우황청심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on Woohwangchungsimwon)

  • 조창영;이인희;이재웅;김은지;이진호;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2
    • /
    • 2015
  • Objectives To check marker content for appropriate quality control of Woohwangchungsimwon steriliz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and to observe antioxidant activity for any changes in efficacy. Methods To measure any effects of sterilization on the effective compounds, 8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were screened for any changes in marker content using HPLC-DAD. Using the colorimetric method on the microplate reader any changes i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levels were observe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DPPH, ABTS, and FRAP. Results Of the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8 were subject to quantit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21.6 mg and 1.93 mg of Glycyrrhizin was found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pre and post sterilization, respectively. Decursin found in Angelica gigas Nakai increased from 0.16 mg to 0.29 mg after sterilization. Bilirubin found in Gallstone of Bostaurusvar. domesticus increased from 0.24 mg to 0.33 mg. Cinnamic acid found in Cinnamomum cassia Blume increased from 0.02 mg to 0.05 mg. Ginsenoside Rb1 found in Panax ginseng C. A. Meyer decreased from 0.02 mg to 0.14 mg. Paeoniflorin found in Paeonia lactiflora Pallas increased from 1.05 mg to 1.13 mg. Amygdalin found in Armeniacae Amarum Semen increased from 2.68 mg to 2.83 mg. L-muscone found in Musk increased from 0.63 mg to 0.76 mg. As for total phenolic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re was a 1.22 and 4.15-fold increase. DPPH and ABTS increased by 20.45% and 20.69%, respectively. FRAP activity was 2.78 times more active post stabil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a method us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of Woohwangchungsimwon, does not affect marker content; in other words, does not affect quality of the Woohwangchungsimwon. It could also be seen that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increased after sterilization. An antioxidant activity tes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y of antioxidants.

발효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p. Strain KYH를 이용한 진생베리 추출물 최적 발효 공정 확립 및 생성물의 특성 분석 (Process Optimization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sp. Strain KYH isolated from Fermented Kimchi and Product Analysis)

  • 하유진;유선균;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8
    • /
    • 2016
  • 인삼의 열매인 진생베리는 항암, 항염증, 혈당저하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오고 있다. 진생베리와 같은 약리활성의 물질들은 생체이용률이 높을 때 높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효는 세포내 조직에 결합되어 있던 생리활성 물질들을 유리시키기 때문에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이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적합한 생체친화성 균주를 선발하여 최적의 발효공정을 확립하고, 발효생성물의 영양성분 및 진세노사이드의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발효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Lactobacillus sp. strain KYH로 동정되었다. 최적 발효 공정을 수행한 결과, 최적 발효조건은 온도 $30^{\circ}C$와 pH 7로 결정되었다. 발효는 회분식 및 유 가식 공정으로 수행을 하였다. 회분식 발효에서는 고농도의 진생베리 추출물의 증식속도가 낮아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발효 후 영양성분 및 진세노사이드의 변화와 항산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산은 발효 전 진생베리 추출물의 경우에는 lactic acid 와 acetic acid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발효 후 진생베리 추출물에는 citric acid 및 oxalic acid 등이 주종을 이루었다. 발효 후에 당의 함량이 감소되었고, 구성 당은 glucose와 fructose가 주종을 이루었다. 진생베리 발효 추출물에는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histidine, arginine과 같은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아졌다. 진세노사이드 Re는 발효에 상관없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나, 발효 전 진생베리 추출물에는 발효 후 진생베리 추출물에서 보다 진세노사이드 Rb1, Rc, Rd의 함량이 많았다. 반면에 진생베리 발효 후 추출물에는 진생베리 발효 전 추출물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진세노사이드 Rh1와 Rh2가 확인되었다.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발효 전 후에 변화가 있었는데, 총 페놀량은 43.8% 증가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9.8% 감소 하였다. DPPH 소거능 및 총 항산화 능력은 발효 후에 각 각 27.2%와 19.4% 증가하였다. 따라서 Lactobacillus sp. strain KYH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 하에 발효된 진생베리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등 생리활성 성분 변화와 증대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Korea red ginseng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 association of gut microbiota with liver function

  • Hong, Ji Taek;Lee, Min-Jung;Yoon, Sang Jun;Shin, Seok Pyo;Bang, Chang Seok;Baik, Gwang Ho;Kim, Dong Joon;Youn, Gi Soo;Shin, Min Jea;Ham, Young Lim;Suk, Ki Tae;Kim, Bong-S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316-324
    • /
    • 2021
  • Background: Korea Red Ginseng (KRG) has been used as remedies with hepato-protective effects in liver-related condition. Microbiota related gut-liver axis plays key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chronic liver disease. We evaluated the effect of KRG on gut-liver axi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statohepatitis by the modulation of gut-microbiota. Methods: A total of 94 patients (KRG: 45 and placebo: 49)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KRG (2,000 mg/day, ginsenoside Rg1+Rb1+Rg3 4.5mg/g) or placebo during 30 days. Liver function test, cytokeraton 18, and fatigue score were measured. Gut microbiota was analyzed by MiSeq systems based on 16S rRNA genes. Results: In KRG group, the mean levels (before vs. after)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53 ± 19 vs. 45 ± 23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75 ± 40 vs. 64 ± 39 IU/L) and fatigue score (33 ± 13 vs. 26 ± 13) were improved (p < 0.05). In placebo group, only fatigue score (34 ± 13 vs. 31 ± 15) was ameliorated (p < 0.05). The changes of phyl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both groups. In KRG group, increased abundance of Lactobacillus was related with improve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 and increased abundance of Clostridium and Intestinibacter was associated with no improvement after KRG supplementation. In placebo group, increased abundance of Lachnospiraceae could be related with aggravation of liver enzyme (p < 0.05). Conclusion: KRG effectively improved liver enzymes and fatigue score by modulating gut-microbiota in patients with fatty liver diseas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mprove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lnicalTrials.gov: NCT03945123 (www.ClinicalTrials.gov).

사포닌 함량 및 품질의 증진을 위한 백삼 물추출액 추출 조건 (Saponin Content and Quality for the Promo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ion Conditions)

  • 한진수;이상국;박용준;강선주;김정선;남기열;이기택;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8-463
    • /
    • 2009
  • 본 연구는 백삼 추출액의 사포닌 함량을 높이고 품질과 관련된 특성을 증진 시킬수 있는 최적 추출 시간 및 온도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백삼의 물 추출액의 총 ginsenosides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액 8.32 mg/10ml, $85^{\circ}C$에서 6시간 추출액 5.93 mg/10 ml, $95^{\circ}C$에서 6시간 추출액 4.92 mg/10 ml으로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 $Rb_2$와 Re을 합한 최고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액 1.76 mg/10 ml, $85^{\circ}C$ 6시간 추출액 1.34 mg/10 ml, $95^{\circ}C$ 6시간 추출액 0.56 mg/10 ml이었으며, 항암 작용을 나타내는 $Rg_3$의 함량은 $75^{\circ}C$에서 36시간 추출액 1.67 mg/10 ml, $85^{\circ}C$에서 36시간 추출액 3.13 mg/10 ml, $95^{\circ}C$에서 24시간 추출액이 3.56 mg/10 ml이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른 이화학성의 변화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낮아 졌으나 환원당, 탁도, 당도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백삼추출액을 제조할때 1차 추출에서는 사포닌 최고 함량 추출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한 다음 다시 온도를 높게 2차 추출 하여 맛을 증진시켜 혼합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Aeration 공정 처리가 홍삼분말 추출물의 프로사포게닌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ation process on changes of prosapoge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d ginseng powder extract)

  • 류희정;정철종;서정균;이선;유영은;백경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76-5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의 유효성분 함량을 확인하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eration 처리 유무에 따른 추출액의 색상 변화에서는 aeration 공정처리를 하지 않은 추출액과 aeration 공정처리 한 추출액 모두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L값과 b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eration 공정 처리 36시간 추출액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가장 낮은 결과를 얻었다. a값은 non-aeration 처리에서는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aeration 처리할 경우에는 적색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aeration 공정 처리를 할 경우에는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 황색도, 적색도 모두가 감소되면서 갈색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non-aeration 홍삼추출액은 추출시간에 따라 0.62, 0.67, 0.72, 0.79 mg GAE/mL로 나타났으며 aeration 공정을 거친 추출액은 0.62, 0.70, 0.84, 0.96 mg GAE/mL로 추출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eration 공정을 거친 24, 36시간 추출액에서 21.77, 21.93 mg GAE/mL의 최고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non-aeration 홍삼 추출액은 80.50-82.00% 범위에서 확인되었으며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의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 시간에 따라 82.10, 81.90, 87.30, 87.10%로 나타났다. 이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aeration 공정을 거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24, 36시간에서 non-aeration 추출액이 96.80, 77.60%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떨어졌으나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은 70.86, 98.60%로 추출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 12, 24, 36시간 동안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 추출액은 65.40, 65.03, 65.61, 63.26%의 hydrogen peroxidase 소거율을 보였고, 또한 0.87, 0.99, 1.04, 0.99로 환원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PPH, ABTS의 경향과 유사하게 aeration 공정을 거침으로서 non-aeration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Aeration 공정을 처리한 홍삼추출액으로부터 얻어진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non-aeration과 비교 했을 때 Rg3에서 현저히 차이가 나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aeration 공정을 처리한 홍삼추출액에서 166.55, 219.71, 526.67, 581.13 ㎍/mL로 non-aeration 보다 많은 양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aeration 공정을 거친 홍삼추출액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향후 특정유효성분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정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