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win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9초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II) - 특별음식 - (Food culture research of Gwangju and Chollanamdo area(II) - In Particular Food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1-196
    • /
    • 2003
  • Investigated kinds and utilization frequency for traditional food and Particular food to systematize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traditional food culture. Awareness for traditional food had pride because taste is various, and did that must use much when was festive day. Investigation subject were feeling necessity about accession,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and manufacture of traditional food, succession did that must take charge in home. Characteristic of taste for Gwangju city, Chollanamdo food was deep taste. Difference between variable was significant that age, religion that have pride about traditional food, attainments in scholarship, monthly income that used time much traditional food, degree that give from traditional food to snack is age, attainments in scholarship, years of married life, religion, reason that give snack to traditional food is daughter-in-law order, kind of traditional food that give to snack is age, monthly income mouth, opinion about a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is age, religion, daughter-in-law order, reason that must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food 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time that eat much traditional food is attainments in scholarship, a person, medium that learn cuisine of traditional food is age, opportunity that is been interested to traditional food is age, attainments in scholarship, years of married life. By utilization rate of food-tasting food subdivisions of the season, used much by rice-cake soup, fermented rice punch, order of cake made from glutinous rice New Year's Day, by herbs, Gimgui, Ogokbap's order January Full Moon Day on the lunar calendar. By a cake made in the shape of a flower, azalea honeyed juice mixed with fruits as a punch order to Samjitnal, by beans panbroiling, dropwort raw order Buddha's Birthday, Tano Festival uses Charyunbyeong and used Tteoksudan in Yudu and used much by young chicken soup with ginseng and other fruits, watermelon order period of midsummer heat. Used songpyon and fermented rice punch in Full-moon Harvest Day, and Junggujeol used Chrysanthemum griddle cakes made in flower Pattern, and red-bean gruel taken on the winter solstice, and Nappyeongjeolsik was utilizing Goldongban. Pyebaek food utilization ratio was high the utilization rate by chestnut, jujube, chicken, wine order. The contributiveness food utilization rate was high the utilization rate by rice cake, dried croaker, fruit, oil-and-honey pastry order. The large table food utilization rate was high the utilization rate by fermented rice punch, fruit, steamed short-ribs order.

오디 식초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Morus alba) vinegar)

  • 임은정;조승화;강현진;오효빈;김영수;정도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1-70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부가가치 오디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품 미생물인 효모와 초산균을 사용하여 오디를 발효하고, 품질의 표준화는 물론 우수한 생리기능성을 함께 갖춘 식초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오디의 최적 발효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균주를 달리하여 발효를 진행하고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오디 발효 시 알코올과 초산 생성능이 뛰어난 S. cerevisiae SRCM101756과 A. pasteurianus SRCM102419를 발효용 균주로 최종 선발하였다. 제조된 오디 와인에 선발된 초산균을 사용하여 오디 식초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오디 식초는 발효 9일 차에 pH 2.98, 총산도 4.70%로 측정되었고, 𝛼-glucosidase 저해 활성은 100배 희석 시에 발효 전 13.22%에서 발효 후 19.19%로, 50배 희석 시에 발효 전 42.35%에서 발효 후 46.11%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배 희석 시에 발효 전 44.82%에서 발효 후 63.88%로, 50배 희석 시에 발효 전 30.10%에서 발효 후 37.24%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고,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 후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배 희석 시료에서 발효 전 30.01%에서 발효 후 40.25%로, 25배 시료에서는 발효 전 42.51%에서 발효 후 55.33%로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오디식초는 식품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생리활성이 증진된 고부가가치 식품이며, 향후 다양한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존료의 가공식품 유형별 사용 현황 연구 (A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Preservatives to Processed Food Types)

  • 정은정;진경남;최현정;정유상;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1-270
    • /
    • 2020
  • 식품첨가물 중 주용도로 보존료가 제시되어 있는 발색제 3품목, 보존료 17품목 및 표백제 6품목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유형별 사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발색제 3품목 중 아질산나트륨이 257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양념젓갈(71.21%), 즉석섭취식품(7.78%), 빵류(7.00%) 등에 사용하였다. 보존료로 사용되는 안식향산류 중 안식향산나트륨의 사용 건수는 1,215건으로 안식향산류(총 1,236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음료베이스(39.51%), 혼합음료(22.47%), 인삼·홍삼음료(8.89%) 등 음료류에 81.16%를 사용하였다. 데히드로초산나트륨은 총 57건 중 빵류(49.12%)와 마가린(21.05%)에 주로 사용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은 3,291건 사용되어 보존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몽종자추출물은 소스(54.65%), 액상차(10.46%), 기타가공품(5.15%), 인삼·홍삼음료(3.83%) 등 가공식품 식품유형 44종류에 사용되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의 사용 건수는 2,957건으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소스(92.15%), 혼합간장(2.77%), 절임식품(1.52%) 등의 식품유형에 96.44%를 사용하였다. 프로피온산류 3종은 거의 대부분 빵류에 사용되었다. 소브산칼륨은 789건 중 절임식품(40.43%), 어묵(34.09%), 조미건어포(7.22%), 소스(4.06%) 등 주로 절임식품과 수산물가공식품류(총 47.15%)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브산은 27건의 사용사례 모두 어묵(100%)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백제로 사용되는 아황산염류 6품목 중 산성아황산나트륨과 차아황산나트륨은 주로 과자류, 빵류 또는 떡류에, 메타중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및 무수아황산은 주로 과실주 등 주류에, 아황산나트륨은 절임식품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존료를 주용도로 하는 식품첨가물을 가공식품에 사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