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leaf te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고려인삼 엽록차의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Leaf Tea)

  • Joong Ho Kwon;My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6
    • /
    • 1992
  • Chemical composition was determin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Panel ginseng-leaf tea over green teas. Ginseng-leaf tea was shown to contain higher contents of soluble matter, ascorbic acid and lower contents of tannins, as compared to tea leaves. The profiles of ginsenoside and sugar of ginseng-leaf tea were noticeably different from those of ginseng roots and the sample maintained high levels of these components under the manufacturing process.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were estimated to be decreased in ginseng-leaf tea as compared to those of ginseng leaves.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s and minerals in ginseng-leaf tea were similar to those of tea leaves and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calcium, potassium, sodium, and copper were found to be major components.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인삼 엽록차의 관능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 윤혜진;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1-188
    • /
    • 1996
  • Chemical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by harvested months and produced methods. The level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of ginseng leaf tea harvested in July was slightly higher than it harvested in September. However, the level of crude fat and carbohydrate of ginseng leaf tea harvested in September were higher than it harvested in Ju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arvest month influenc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inseng leaf tea. Also, the level of free sugar was increased when the ginseng leaf team harvested in September was produced by FHT(fermented and then hot-air dried) or HHT(heated and then hot-air dr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s were preferred the color of ginseng leaf tea which was harvested in July. However, they were preferred the aroma and ginseng's aroma which was harvested and produced by HHT in September. Because they responded that the ginseng leaf tea tasted too bitter, it suggested that the taste of bitterness needed to remove. Also, the astringent, the savory, after aroma, and after say cry of the ginseng leaf tea was improved with FHT or HHT, and those results obtained from September's harvest rather than July's. Therefore, the overall quality of ginseng leaf tea which was harvested in September and produced with FHT or HHT were evaluated better than it of DHT(dried on the shade and then hot-air dried).

  • PDF

장뇌삼 및 장뇌삼엽차의 생리활성평가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Mountain Ginseng and Korean Mountain Ginseng Leaf Tea)

  • 예은주;김수정;남학식;박은미;배만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0-356
    • /
    • 2010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장뇌삼엽차의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이 장뇌삼엽차와 발효장 뇌삼엽차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하였다. SOD 유사활성도 측정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할 때 모든 군이 SOD 유사활성도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의 조건에서 1 m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이 장뇌삼엽차, 발효장뇌삼, 장뇌삼, 발효장뇌삼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H 6.0의 조건에서는 모든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a cell에서 시료 중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3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는 각각 약 24%, 22%로 분석되었다. MCF-7 cell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27%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비슷하였고, 장뇌삼 추출액이 21%로 가장 낮았으며, 발효장뇌삼엽차 추출액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각 시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한 다류제조(茶類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Ginseng-leaf' tea)

  • 양희천;이석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1979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백삼포(白蔘圃)에서 부산물(副産物)로 생산(生産)되는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다류(茶類)로 조제(調製)하는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인삼엽(人蔘葉) 중(中)에는 다엽(茶葉)에서보다 가용분(可溶分)이 훨씬 많으며 열탕추출(熱湯抽出)이 아주 잘된다. 2. Tannin함량(含量)은 평균(平均) 2.2% 정도로 다엽(茶葉)의 7.89%보다 훨씬 적어 수감미가 적다. 3. 인삼엽(人蔘葉) 중(中)의 비타민 C량(量)은 다엽(茶葉)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50{\sim}110$배(倍))로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4. 인삼엽(人蔘葉)의 dammarane계(系) glycoside 함량(含量)은 $5.7{\sim}8.5%$로서 많은 함량(含量)을 가지고 있고 panaxadiol과 panaxatriol의 비는 $0.54{\sim}0.75$로서 panaxatriol계(系) saponin이 훨씬 많다. 5. 가용분(可溶分), 착색도(着色度)등을 고려할때 인삼엽(人蔘葉) 제품(製品) 2g을 200ml의 물에 넣어 3분간추출(分間抽出)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6. 기호적(嗜好的) 특성(特性)으로 볼때 또한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면(含量面)에서도 증자(蒸煮)${\rightarrow}$건조(乾燥)${\rightarrow}$배소(焙燒)과정을 거치는 D제품(製品)이 가장 우수하다.

  • PDF

인삼엽차(人蔘葉茶) 제조방법(製造方法)이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Ginseng Leaf Tea)

  • 김상달;도재호;오훈일;이송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7-272
    • /
    • 1981
  •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여섯가지의 다른 제조공정(製造工程)으로 인삼엽차(人蔘葉茶)를 제조(製造)하여 그 품질(品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완전추출(完全抽出)에 대한 30분(分) 추출물량(抽出物量)의 비(比)는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컸으며 인공건조차(人工乾燥茶), $25^{\circ}C$ 발효차(醱酵茶)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2. 황색 색상, 오렌지 색상 및 적색 색상의 강도(强度)는 배집차(焙集茶)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0^{\circ}C$ 발효차(醱酵茶), $25^{\circ}C$발효차(醱酵茶)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추출(抽出)된 saponin 함량(含量)은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차(茶)에 비해 가장 많았으며 또한 관능검사 결과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인삼엽록차 성분의 추출특성과 살균방법에 따른 영향 (Extraction Properties of Constituents in Ginseng Leaf Tea As Influenced by Decontamination Methods)

  • 권중호;변명우;김석원;조한옥;이영주;김종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1990
  • 인삼엽록차의 살균공정 개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살균법인 ethylene oxide 훈증제와 비교시험으로서 2.5~10kGy의 감마선 조사가 녹차성분의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녹차의 주요성분을 5분간 열탕 추출하였을 시 추출률은 가용성 고형분(83 %), 탄닌(82 %) , 당(73 %), 및 사포닌(66 %)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 성분의 추출률에 대한 살균 방법의 영향시험에서 5kGy 이하의 감마선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EO 훈증제 처리와 10 kGy 조사는 가용분과 탄닌의 용출을 촉진시겼고 추출액도 명도(L값)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살균처리가 인삼엽록차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contamination Treatments on Chemical Components of Panax Ginseng-Leaf Tea)

  • 권중호;변명우;최강주;권대원;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5-69
    • /
    • 1992
  • 수출용으로 제조되고 있는 인삼엽록차에 대하여 위생적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처리된 ethylene oxide(EO) 훈증제와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 가지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삼엽록차에 함유된 사포닌과 지방산은 상업적 조건의 EO 처리나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5kGy 범위)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당과 아미노산에서 glucose, lysine 및 histidine은 EO 처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p<0.05) 살균방법 중 EO gas는 감마선조사에 비해 엽록차 성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화인되었다.

  • PDF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05
  • 인삼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인삼엽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인삼엽차를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등 3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환원당 함량은 HPT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DRT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serine 이 309.6∼336.6 mg%로 가장 높았으며 valine, leucine, isoleucine, aspar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DRT에 비하여 ACT, HPT에서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가 2,115 mg%로 가장 많았고 K, Mg, P, Na, Mn, Fe, Zn, Cu 순으로 제조방법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찻물의 무기질 함량을 좌우하는 침출율은 HPT가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Zn, Mn, Mg등은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무기질로서 이들 함량이 높다는 점은 인삼엽차의 우수성의 하나로 평가된다. 인삼엽차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HPT가 424.4 mg%로 가장 많았으며 침출율도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제조방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인삼엽차의 색도는 DRT에 비해 AGT, HPT 에서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여 갈색 물질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은 열처리법(HPT)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인삼엽록차의 살균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Leaf Tea As Affected by Decontamination Treatment)

  • 김영회;권중호;변명우;이수정;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6
    • /
    • 1991
  • 인삼 엽록차의 위생화를 위한 화학 훈증제 처리 및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의 품질에 관련된 가용성분, 사포닌 및 탄닌성분은 상업적 조건 ethylene oxide 처리와 10kGy 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그러나 비타민 C 및 클로로필은 5kGy 이상 조사와 훈증 처리시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녹차의 휘발성 성분, 추출액의 색도 및 pH는 살균선량 범위인 5kGy 조사군에 비해 훈증처리군에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

  • PDF

The necrotroph Botrytis cinerea promotes disease development in Panax ginseng by manipulating plant defense signals and antifungal metabolites degradation

  • Chen, Huchen;Zhang, Shuhan;He, Shengnan;A, Runa;Wang, Mingyang;Liu, Shou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790-800
    • /
    • 2022
  • Background: Panax ginseng Meyer is one of the most valuable medicinal plants which is enriched in anti-microbe secondary metabolites and wid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Botrytis cinerea is a necrotrophic fungus that causes gray mold disease in a broad range of hosts. B. cinerea could overcome the ginseng defense and cause serious leaf and root diseases with unknown mechanism. Methods: We conducted simultaneous transcriptomic and metabolomic analysis of the host to investigate the defense response of ginseng affected by B. cinerea. The gene deletion and replacement were then performed to study the pathogenic gene in B. cinerea during ginseng - fungi interaction. Results: Upon B. cinerea infection, ginseng defense responses were switched from the activation to repression, thus the expression of many defense genes decreased and the biosynthesis of antifungal metabolites were reduced. Particularly, ginseng metabolites like kaempferol, quercetin and luteolin which could inhibit fungi growth were decreased after B. cinerea infection. B. cinerea quercetin dioxygenase (Qdo) involved in catalyzing flavonoids degradation and ∆BcQdo mutants showed increased substrates accumulation and reduced disease development. Conclusion: This work indicates the flavonoids play a role in ginseng defense and BcQdo involves in B. cinerea virulence towards the P. ginseng. B. cinerea promotes disease development in ginseng by suppressing of defense related genes expression and reduc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biosyn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