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kgo seedcoa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은행 잎, 종실 및 외종피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Seed and Outer Seedcoat)

  • 박샛별;조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3
    • /
    • 2011
  • 천연 항균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은행잎, 은행종실 그리고 은행 외종피를 methanol, ethanol, water 추출물을 얻은 후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은행잎,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된 반면,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물추출물, 은행 종실의 모든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되지 않았다. 은행잎의 경우 모든 균에 있어 methanol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methanol 추출물은 K. pneumoniae와 B. cereus에서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은행 외종피의 경우 m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L. monocytogenes 균에, 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K. pneumoniae균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성이 우수했던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각각의 균주에 대해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에서 항균효과가 검색되었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추출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 용매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각각의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낮은 MIC 값을 보였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물은 B. cereus에 대해 $62.5{\mu}g$/mL로 본 실험 내에서 가장 낮은 MIC를 보였다.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 m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물($2,000{\mu}g$/mL)을 각 균주의 생육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세포가 팽윤되거나 일부 세포벽이 완전히 파괴된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Antifungal Action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 on Rice Sheath blight

  • Oh, Tae-Seok;Koo, Han-Mo;Yoon, Hei-Ryeo;Jeong, Nam-Su;Kim, Yeong-Jin;Kim, Cha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61-66
    • /
    • 2015
  • From study of antifungal actions on the rice sheath blight by using the extract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s, we found that the extracts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s of all treatment concentrations had inhibited the rice sheath blight. Among them,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was 250 mg/l at which the growth of microbe was 26 mm and even at the packaging test, when sprayed the G. biloba outer seedcoats at the level of 250 mg/l, the damage rate of the rice sheath blight was identified as 13%. As a result investigating the antifungal activity by separating polysaccharides from G. biloba outer seedcoats, it showed that the clear zone of 14 mm or more was formed at the concentration of 250 mg/l or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G. biloba outer seedcoat is a natural substance with the antifungal activity on the rice sheath blight.

은행 외종피로부터 살선충 물질의 순수 분리와 활성 (Purification Nematicidal Substance and Nematicidal Activity from Ginkgo biloba L. Outer Seedcoat)

  • 장유주;황현정;김근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9
    • /
    • 2021
  • 은행 종자와 잎은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외종피는 알러지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을 기피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버려지는 은행 외종피로부터 작물재배에 많은 피해를 주는 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천연물을 찾고자 했다. 은행 외종피 유기용매추출물의 H2O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에서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였고, EtOAc 분획물에서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EtOAc 분획물을 0.1 mg/mL 농도 처리에서 74%의 살선충 활성이 나타났다. 4차례의 TLC를 실시하여 살선충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으며, prep-TLC 에서 Rf 0.5에 single spot을 확인하였고, HPLC 분석에서 Rt 8.609에서 single peak를 확인하였다. 순수 분리한 물질을 GB4-3으로 명명하고, 살선충 활성을 조추출물과 농도별 비교하였다. 은행 외종피 조추출물 10 ㎍/mL 처리 후 18시간 후에 약 45%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냈고, 20 ㎍/mL 처리한 곳에서는 55%의 활성을 보였다. 은행 외종피 추출물로부터 순수 분리한 물질 GB4-3을 20 ㎍/mL 처리한 곳에서는 18시간 후에 약 69%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나 살선충제 개발 후 보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식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과 식물기생 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의 유의성은 선행 보고에서 볼 수 있으나, 은행 외종피를 이용한 선충방제제 개발을 위해서는 식물기생성 선충류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농산물재배와 식물생육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선충 방제를 위한 친환경적 방제제의 개발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의 생물소재를 이용하거나 천연소재의 부산물을 이용 또는 이들을 혼용한 혼합제제로 개발한다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냉습적(冷濕積)에 따른 은행나무종자내(種子內) 생장조정물질(生長調整物質)의 변화(變化) (Alteration of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Cold-moist Stratified Seeds of Ginkgo biloba L.)

  • 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
    • /
    • 1978
  • 휴면기간(休眠期間)이 긴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냉습적처리(冷濕積處理)에 따른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과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증감(增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고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처리종자(無處理種子)는 배(胚), 배유(胚乳), 종피(種皮)의 각추출물(各抽出物)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을 볼 수 있었으며, 특(特)히 종피(種皮)에서 가장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냉습적처리종자(冷濕積處理種子)의 배(胚)와 종피(種皮)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현저(顯著)한 감소(減少)가 있었으나,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은 배부분(胚部分)에서 증가(增加)가 약간 나타났다. 3.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휴면(休眠)에는 종피(種皮), 배(胚), 배유(胚乳)의 각부분(各部分)이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이 존재(存在)하며 발아(發芽)에 관계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4. 은행나무 종자(種子)와 발아촉진(發芽促進)과의 관계는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의 증가(增加)보다는, 배(胚)와 종피(種皮)의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감소(減少)에 영향된다고 추측(推測)된다. 5.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인 Gibberellin은 자외선형광검사등검정(紫外線螢光檢査燈檢定)에서 Rf 0.26, 에서 나타났고,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인 Abscisic acid는 Rf 0.62, Rf 0.70, Rf 0.78에서 각각(各各) purple, gray, blue의 형광색(螢光色)으로 나타났다.

  • PDF

벼멸구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활성과 기피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äl))

  • 김연국;이종진;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5-74
    • /
    • 2008
  • 식물추출물(20과 35종)을 사용하여 미량국소처리방법과 분무방법으로 벼멸구 암컷성충에 대한 살충활성과 기피효과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살충활성과 기피효과의 결과는 식물종과 그 부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인면과수, 구리광, 미국자리공의 줄기 추출물, 그리고 취춘과 석류나무의 잎+줄기 추출물이 벼멸구에 대하여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식물추출물들의 기피효과는 남학슬의 전부위 추출물, 캐슈나무의 열매추출물, 석류나무와 등나무의 잎+줄기 추출물이 높은 기피활성을 보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들에서 기피효과가 높은 식물추출물들의 살충활성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 기피효과와 살충률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처리된 식물추출물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활성과 기피 효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