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kgo see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견과류의 지방산, 트리아실글리세롤, 토코페롤 및 파이토스테롤의 조성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 of Triacylglycerol Specie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from the Selected Nuts)

  • 성민혜;류현경;이선모;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6-383
    • /
    • 2010
  • 견과류 중 sunflower seed, cashew nut, walnut, pistachio, pumpkin seed, ginkgo, hazel nut, pecan을 원료로 하여 지방산 조성 분석 및 sn-2 position 분석, triacylglycerol species의 분석, tocopherol,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hazel nut에서 약 39.60 wt%로 가장 높았으며, walnut 35.25 wt%, pistachio 30.22 wt% 등의 순이었다. GC에 의한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oleic acid의 함량이 많은 견과류는 cashew nut, pistachio, hazel nut, pecan 이였으며, 특히 ginkgo의 경우 특이적으로 oleic acid의 이성체인 vaccenic acid가 10.72 wt%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linoleic acid 등이 높은 견과류는 sunflower seed, walnut, pumpkin seed 이었다. 견과류들의 TAG species의 PN값은 40∼52 사이에 존재하였다. Tocopherol의 함량은 ginkgo, sunflower seed, pumpkin seed 등에서 각각 48.57, 38.35, 31.43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phytosterol의 경우 88.60∼947.20 mg/100 g 사이에 함량을 나타내었다.

은행 잎, 종실 및 외종피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Seed and Outer Seedcoat)

  • 박샛별;조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3
    • /
    • 2011
  • 천연 항균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은행잎, 은행종실 그리고 은행 외종피를 methanol, ethanol, water 추출물을 얻은 후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은행잎,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된 반면,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물추출물, 은행 종실의 모든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되지 않았다. 은행잎의 경우 모든 균에 있어 methanol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methanol 추출물은 K. pneumoniae와 B. cereus에서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은행 외종피의 경우 m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L. monocytogenes 균에, 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K. pneumoniae균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성이 우수했던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각각의 균주에 대해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에서 항균효과가 검색되었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추출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 용매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각각의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낮은 MIC 값을 보였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물은 B. cereus에 대해 $62.5{\mu}g$/mL로 본 실험 내에서 가장 낮은 MIC를 보였다.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 m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물($2,000{\mu}g$/mL)을 각 균주의 생육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세포가 팽윤되거나 일부 세포벽이 완전히 파괴된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은행나무 종자의 발아에서 탄수화물 대사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Germination of Ginkgo (Ginkgo biloba L.) Seed)

  • 김명란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33-338
    • /
    • 1992
  • 다양한 발달단계에 있는 은행종자의 자성배우체, 자엽 및 유근에서 탄수화물의 함량과 여러 가수분해효소(아밀라제, 인버타제 및 인산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종자의 초기발아시에 아밀라제의 활성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자성배우체의 전분이 현저한 감소를 보인 반면 수용성 당들은 증가하였다. 인버타제의 활성은 건조한 종자에서는 매우 낮았으며 바라된 자엽과 유근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인산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은 유근이 신장되는 단계에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가 알카리성-인산가수분해효소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

은행 열매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 김윤석;이용화;이진영;이용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3-389
    • /
    • 2015
  • 본 연구는 은행 열매 오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은행나무 열매 오일은 DPPH assay와 FRAP assay를 사용하여 라디컬 소거능을 시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은행나무 열매 오일은 DMSO를 용매로 0.06% 녹였을 때, DPPH assay에서 9.96%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FRAP는 1.33 mM의 ferric sulfate ($FeSO_4$)를 생성하였다. 은행 열매 오일은 tyrosinase inhibition assay에서 37.72%의 억제력을 가졌고 B16/F10 세포에 멜라닌 생합성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은행 오일 0.06%에서 ${\alpha}$-MSH 처리 구에 비해 48.0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유전자 발현 수준은 control군에 비해 0.04%와 0.06% 농도 군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은행 열매 오일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은행나무 추출물의 생물활성 및 천연물농약으로 이용 가능성 (Bioactivities of Korean Ginkgo (Ginkgo biloba L.) Extract and Its Potential as a Natural Pesticide)

  • 이향범;김한나;김미경;김창진;권오성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99-103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산 은행나무(Ginkgo biloba) 뿌리, 열매껍질, 가지 등 부위별 추출물의 진균류, 일반세균 및 해충에 대한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푸른곰팡이 병균(T.harzianum) 및 대장균(E.coli) 등에 대해 200 ug/disc 농도에서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줄기부위가 더 높은 항미생물활성을 보였다. 특히 버섯 배양상 표면에 1mg/ml 수준으로 처리할 경우 푸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은행나무 부위별 추출물을 500 ug/ml으로 공시 해충을 처리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추출물이 살충활성을 보이며 벼멸구, 배추좀나방, 두점박이응애에 대해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벼멸구에 대해서 8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국내산 은행나무 추출물이 항미생물 및 살충활성이 확인되었는 바 식물유래 병해충 방제용 천연물 농약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여주었다.

Phenolic plant extracts are additive in their effects against in vitro ruminal methane and ammonia formation

  • Sinz, Susanne;Marquardt, Svenja;Soliva, Carla R.;Braun, Ueli;Liesegang, Annette;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66-976
    • /
    • 2019
  • Objective: The methane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lant-based polyphenol sources is known, but effects of combinations have rarely been tes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inary and 3-way combinations of such phenol sources affect ruminal fermentation less, similar or more intensively than separate applications. Methods: The extracts used were from Acacia mearnsii bark (acacia), Vitis vinifera (grape) seed, Camellia sinensis leaves (green tea), Uncaria gambir leaves (gambier), Vaccinium macrocarpon berries (cranberry), Fagopyrum esculentum seed (buckwheat), and Ginkgo biloba leaves (ginkgo). All extracts were tested using the Hohenheim gas test. This was done alone at 5% of dry matter (DM). Acacia was also combined with all other single extracts at 5% of DM each, and with two other phenol sources (all possible combinations) at 2.5%+2.5% of DM. Results: Methane formation was reduced by 7% to 9% by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nd, in addition, by most extract combinations with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cacia also reduced methane proportion of total gas to the same degree. The extracts of buckwheat and gingko were poor in phenols and promoted ruminal fermentation. All treatments except green tea alone lowered ammonia concentration by up to 23%, and the binary combinations were more effective as acacia alone. With three extracts, linear effects were found with total gas and methane formation, while with ammonia and other traits linear effects were rare.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methane and ammonia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henolic plant extracts and showed a number of additive and some non-linear effects of combinations of extracts. Further studies, especially in live animals, should concentrate on combinations of extracts from grape seed, green tea leaves Land acacia bark and determine the ideal dosages of such combinations for the purpose of methane mitigation.

은행나무 종자 추출물의 미백효능 분석 (The Analysis of Whitening Effects on Extracts from Ginkgo (Ginkgo biloba L.) Seeds)

  • 최은영;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29-1240
    • /
    • 2021
  • 은행나무 종자인 백과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미백 효능을 규명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백과 에탄올추출물 (GBE)을 B16F10 melanoma cells에 처치하여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 활성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저해가 관찰되었고, 멜라닌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이 관찰되었다. 멜라닌 생성 관련 주요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과 mRNA 수준을 관찰한 결과,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2 (TRP-1, -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과 유전자 수준이 GBE의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백과 에탄올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 관련 핵심 전사인자인 MITF의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백과 에탄올추출물을 화장품 미백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ng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various bulking agents

  • Lee, Jae-Han;Yeom, Kyung-Rai;Yang, Jun-Woo;Choi, You-Jin;Hwang, Hyun-Chul;Jeon, Young-Ji;Lee, Chang-Hoon;Choi, Bong-Su;Oh, Taek-Keun;Park, Seong-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897-905
    • /
    • 2019
  • To compare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various bulking agents, aerated composting was performed by mixing sawdust, ginkgo leaves, insect feces, and mushroom waste at ratios of 6 : 4 (w/w). The initial temperatures (day after treatment [DAT] 3) of the sawdust, ginkgo leaves, insect feces and the mushroom waste mixtures were 39, 58, 65, and 51℃, respectively. The DAT 3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the food waste-insect feces mixture (65℃) and the lowest in the sawdust one (39℃). However, the insect feces treatment was terminated at DAT 21 because of a high water content (70.92%). The water content (DAT 56) of the composted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sawdust,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stood at 51.28, 39.81, and 44.92%, respectively. Therefore, the fully mature composts satisfied the water content requirement of less than 55% as recommended in the fertilizer standards of the RDA of Korea. The results of the CoMMe-101, Solvita and seed germination index methods indicate that the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treatments matured relatively quicker than that of the sawdust one.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are more effective bulking agents compared to sawdust and as such, are recommended as suitable replacements for sawdust in food waste composting.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은행(銀杏)나무(Ginkgo biloba L.)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I.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과 생장(生長)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I. Seed Germination and Growth)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2호
    • /
    • pp.99-108
    • /
    • 1987
  •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은행(銀杏)나무의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과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천연강우(天然降雨)를 차단(遮斷)하고 묘포토양(苗圃土壤), 혼합토양(混合土壤) 및 사질토양(砂質土壤)에 각각 분식(盆植)된 은행(銀杏)나무 종자(種字)와 유묘(幼苗)(1-0, half-sib)에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을 3:1, v/v로 혼합(混合)하여 수돗물로 희석한 pH 2.0, 3.0, 4.0 및 5.0)와 수돗물(pH 6.4)을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1985년(年) 4월(月) 28일(日)~10월(月) 19일(日) 및 1986년(年) 4월(月) 12일(日)~8월(月) 19일(日))에 주(週) 3회(回), 매회(每回) 5mm씩 처리(處理)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은행(銀杏)나무 종자(種字)의 발아(發芽)는 야외실험(野外實驗)에서는 pH 2.0 처리구(處理區)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감소(減少)했으며, 실내실험(室內實驗)에서는 pH 2.0 및 3.0 처리구(處理區)에서의 발아율(發芽率)이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졌다. 2. 2년생(年生)(1-1) 묘목(苗木)의 경우,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건중량(乾重量)은 토양간(土壤間)에 그리고 pH 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으며, 신초생장(新梢生長)은 pH 간(間)에만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3. 1년생(年生)(1-0) 묘목(苗木)의 경우, 묘고(苗高), 개체당(個體當) 총건중량(總乾重量), 수간일지조(樹幹一枝條) 건중량(乾重量)이 pH 간(間)에 각각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