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oleoresi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가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최상윤;김경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압력(100 bar, 250 bar, 500 bar)과 온도($35^{\circ}C$, $50^{\circ}C$, $60^{\circ}C$)조건을 달리 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각 추출조건에 대한 수율, 색도, 향기성분 및 유용성분을 살펴보았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수율은 추출압력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높게 나타났고,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인 조건은 500 bar $65^{\circ}C$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수율이 8.96%로 나타났다. 생강 oleoresin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감소하였고, 추출압력 100 bar 조건의 경우에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 중의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6-shogaol 및 curcumin을 분석한 결과 동일 압력 조건에서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유용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유용성분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 oleoresin 중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으로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 ${\beta}$-phellandrene, ${\alpha}{\gamma}$-curcumene, 2,3-butanediol 및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었고, 각 추출조건에 따라 향기성분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한 생강 추출액의 수율 및 품질특성 (Yield and Quality of Ginger Extracts Produced by Enzymatic Hydrolysis)

  • 정문철;이세은;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91-398
    • /
    • 1999
  • 국내산 생강의 높은 원료비를 극복하면서 품질이 우수한 중간소재성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효소적 추출기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수율 및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강을 1차 착즙하고 남은 잔사를 $\alpha$-amylase로 가수분해한 후 2차 착즙하고 다시 남은 잔사에 90% 에탄올로 $30^{\circ}C$에서 1시간 추출하여 각각 착즙액을 혼합할 경우 단순 착즙액보다 동일 $^{\circ}Brix$ 기준으로 약 2.8배 정도, 펄프보다는 건물기준으로 약 5배 이상 착즙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최종 추출액에는 착즙액 보다 조섬유가 약 62%, 전분이 48%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작업공정의 개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종 추출액은 착즙액에 비하여 유리아미노산이 약 40% 정도 소실한 반면 유리당은 약 270%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생강의 효소적 추출법은 생강 가공제품 제조시 단맛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Antioxidant and Immunoenhancement Activi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s and Compounds in In Vitro and In Vivo Mouse and Human System

  • Rungkat, F-Zakaria;Nurahman;E Prangdimurt;Tejasar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96-104
    • /
    • 2003
  •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is traditionally used as appetite enhancer, improver of the digestive system, antithusive, anti-cold,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In vitro evaluation using human lymphocyte cultures showed almost similar indication with those in in vivo mouse study, NK cell lysing activ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Proliferation activity of B and T cells, and CD3$^{+}$ and CD3$^{+}$CD4$^{+}$T cell subset were better observed using oleoresin or gingerol and shogaol fractions. Although there were higher activities in gingerol, the improvement was almost equal to that by oleoresin. Shogaol did not show better improvement except at higher concentra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treatment with single bioactive compound, such as gingerol,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compared to oleoresin, the crude extract. In human study, involving healthy male adult, the improvement of NK cell lysing activity was again demonstrated and even more apparent. The mechanism involved in the protection seemed to be throug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gerol. However, other mechanism underlying the improvement of NK cell lysing activity must be involved since this improvement seemed to be specifically toward NK cell activity. Since NK cells ave specific for the elimination of virus-infected cell and mutated cells, this positive effect on the immune system are very interesting. This work has also scientifically proved that the traditional beliefs that ginger had preventive effects on common cold appeared to be reasonable.

중국산 생강의 올레오레진 제조를 위한 극초단파 추출조건 설정 (Pr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Chinese Ginger Oleoresins)

  • 이정은;이은영;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3-277
    • /
    • 2000
  • 중국산 건생강으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고자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몇 가지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극초단파(2,450 MHz, 50 W) 추출에서 원료의 입자크기는 60 mesh 내외, 시료와 용매의 비는 1:10 (g/mL)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농도 50% 이상에서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생강 올레오레진의 성분들은 추출시간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7분 이상의 극초단파 처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생강으로부터 고품질의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추출공정 중 에찬올 농도에 따른 추출특성과 최적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김경탁;김성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9-1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추출과 초임계추출(SFE) 조건에 따른 생강 oleresin(GO) 추출물의 Gram 양성균(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과 Gram 음성균(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GO 에탄올추출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lear zone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의 항균성은 Gram 양성균이 Gram 음성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생강분말과 에탄올의 추출비율이 1:6인 E-III 처리구가 항균활성이 높았다. GO 에탄올추출물의 항균성은$80^{\circ}C$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고, 추출시간 (1시간~7시간)은 처리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초임계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초임계추출물에서는 100 bar $35^{\circ}C$, 250 bar $35^{\circ}C$, 250 bar $65^{\circ}C$ 조건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그리고 용매추출물의 경우 추출조건에 따라서 항균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초임계추출물의 경우 추출압력 100 bar, 500 bar 처리구와 추출온도 $35^{\circ}C$, $65^{\circ}C$ 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생강추출물의 열처리에 따른 항산화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heat-treatment of ginger extracts)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0
    • /
    • 1994
  • Oleoresin, 6-gingerol and 6,10-gingerol: 6-paradol= 1 : 1 mixture were extracted from ginger (Zingi-her of ficinale Roscoe) and change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by heat-treatment were studed. Oleoresin was extracted with Ethanol-Ether and 6,10-gingerol : 6-paradol(1 : 1) and 6-gingerol were extracted with Hexane and Hexan : Ether= 1 : 1, respectively, and identified on the Thin-layer Chromatograpy (TLC) plate with the solvent system of Hexane Ether(1 : 4, v/v). And oleoresin was heat-treated during 0, 10, 30, 60, 120 minutes, and 6-gingercl and 6,10-gingerol . 6-paradol=1 : 1 were heat-treated during 0, 5, 10, 20, 40 minutes, respectively, at 140$^{\circ}C$ dry oven. To compare with antioxidant activity, oleoresins were added into soybean oil at 3fo level, 6-gingerol and 6,10-gingerol : 6-paradol= 1 : 1 at 0.1% level, BHT and TBHQ at 0.02% level, respectively. All the substrates treated were stored in a incubator at 45 2$^{\circ}C$ condition. The oxidative stability was estimated by the analysises of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e value during stor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ntioxidant activity of oleoresins were considerably high and by heat-treatment were not decreased. 6-paradol was not show the antioxidant activity. 6,10-gingerol : 6-paradol=1 : 1 provided poor protection for soybean oil. Antioxidant activity of 6-gingerol was higher than 6,10-gingerol : 6-paradol=1 : 1 and by heat-treat-ment antioxidant activity was directly decreased.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RAE) of each antio-xidant was compared. RhR was found to decrease as follow : TBHQ>oleoresin》BHT TBHQ》BHT>6-gingerol》6,10-gingerol : 6-paradol=1 : 1.

  • PDF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인 MDA-MB-231의 세포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6] -Gingerol on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서은영;이현숙;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56-662
    • /
    • 2005
  • Ginger (Zingiber of oficinale Roscoe, Zingiberacea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nd heavily consumed dietary condiments throughout the world. Besides its extensive use as a spice, the rhizome of ginger has also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for the management of symptoms such as common cold, digestive disorders, rheumatism, neurologia, colic, and motion-sickness. The oleoresin from rhizomes of ginger contains [6] -gingerol (1- [4'-hydroxy-3'-methoxyphenyl]-5-hydroxy-3-decanone) and its homologs as pungent ingredients that have been found to possess many interesting pharmacolog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tipyretic, antiheatotoxic, and cardiotonic effects. However, the effect of [6]-gingerol on cell proliferation in breast cancer cell are not currently well know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effect of [6]-gingerol on protein and mRNA expression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We cultured MDA-MB-231 cells in presence of 0, 2.5, 5 and $10{\mu}M$ of [6] -gingerol. [6]-Gingerol inhibited breast cancer cell growth in a dose-depenent manner as determined by MTT assay. ErbB2 and ErbB3 protein and mRNA expression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in cells treated with [6]-gingerol (p<0.05). In addition, phosphorylated Akt levels and total hぉ levels were markedly decreased in cells treated with $2.5{\mu}M$ [6]-gingerol (p<0.05). In conclusion, we have shown that [6]-gingerol inhibits cell proliferation through ErbB2 and ErbB3, reduc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생강엑기스의 제조에 관한 연구

  • 신애자
    • 좋은식품
    • /
    • 통권94호
    • /
    • pp.37-40
    • /
    • 1988
  • 1) 본 연구에서 시료로 선정한 충남 서산산 건강(dry ginger)은 수분이 $9.4\%$, 회분이 $8.7\%$ 그리고 alcohol에 의한 추출량이 약 $9\%$이다. 이는 선진국에 채택사용하고 있는 건강의 규격기준에 의하면 양호하다. 2) Non- flavor물질의 추출을 최소화하고 특히 증류과정에서 유효성분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엑기스내의 용매 잔류량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용매는 ethyl alcohol이다. 3) 널리 사용하고 있는 관류추출(percolation)의 성능을 분석하고 이의 개선방안을제시하였다. -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강(dry ginger)의 입자를 작게하면 압력강하가 증대되어순환되는 용액의 유속을 제어하기가 힘들다. - 입자가 작을 시에는 유체의 흐름이chan-nelling현상을 나타낸다. - 위와 같은 조건에서는 물질 전달속도가 느리므로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가 없다. - 따라서 percolation추출에 사용되는 건강의 입자크기는 30mesh크기 이상이어야 운전조작이 용이하나 추출효율이 낮으므로, 추출시간 6시간에 회수된 생강엑기스양은 약 $2.5\%$이다. 4) percolation추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계적교반 추출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찾았다. - 교반형 추출에서는 고 - 액분리시 cake 저항에서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범위까지 건강의 입자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추출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작게 분쇄된 건강(30mesh통과$90\%$)을 대상으로 추출시간 3시간에 $7\%$의 회수율로 증대시켰다. 최적 운전조건은 다음과 같다. 건강시료:1kg 시료크기:-30mesh$90\%$ 용매:ethyl alcohol 3$\iota$ 교반속도:900r.p.m 추출온도:상온($15\~25^{\circ}C$) 추출시간:3시간 일차 추출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엑기스의 수율이 $2\~2.5\%$이므로 총엑기스의 수율은 건강(dry ginger)무게기준으로 $8.5\~9.5\%$이었다. 5) 교반추출의 효율이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추출물의 분리가 용이하여야만 공정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교반추출후 고 - 액분리를 위하여 정압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시 cake의 평균 비저항을 얻었으며, 이의 값은 $4.31\times10^8cm\;/\;gr$으로서 여과에는 어려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출속도와 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교반형 추출기의 가능성을 예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추출물을 농축과정에서 휘발성 oil의 손실을 최대로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증류를 하지 말고 분별증류를 수행하여야 하며, gingerol과 같은 중요성분의 열분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켜 증류조작을 원활히 수행하여야 하므로, still내의 농축물을 계속 교반시켜야 하며 감압상태에서 증류온도는 $40\~50^{\circ}C$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7) Ethyl alcohol로 추출된 엑기스내의 수분이나 회분함량은 외국산 제품에 비하여 약간 낮고, 반면에 조지방 및 조단백 성분의 함량은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어 대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엑기스내의 비풍미성분(non- fla-vour component) 함량은 외국산에 비하여 많은 차이가 없다. 8) 수입 외국산에 비하여 국산엑기스(본 연구에서 ethyl alcohol로 추출)내의 무기성분등의 함량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9) 건강에서부터 oleoresin을 얻어 paradol을 제거시킨 후 순수한 gingerol을 분리하여 IR과 NMR로 확인한 결과, 국산건강의 엑기스에는 주로 6-gingerol이고 약간의 10-gingerol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10) 순수하게 분리된 gingerol을 열분석(TGA와 DTG)한 결과 약 $75^{\circ}C$에서 gingerol의 열분해 반응이 일어남을 알수 있었다. 11) 건강 분말시료와 엑기스내의 미생물 검사 결과 건강분말에서는 세균수가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ethyl alcohol로 추출하는 공정 중 대부분의 균들이 사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12) 관능적 측면에선, 본 연구에서 제조한 엑기스와 수입엑기스를 비교한 결과 생강 특유의 맛은 비슷했으나, 수입엑기스에서는 쓴맛과 톱밥냄새를 느낀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인 종합적 풍미는 국산 건강엑기스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Bcl-2와 Bax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6]-Gingerol on Bcl-2 and Bax Express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 서은영;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1-676
    • /
    • 2006
  • 본 연구는 생강의 대표적인 비휘발성 매운맛 성분인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mRNA 수준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Bax의 단백질 발현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되어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mRNA 수준에도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세포사멸의 지표로 사용되는 Bcl-2/Bax의 비율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aspase-3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에서 [6]-gingerol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