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student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Academic stress of Gifted Student and Normal Student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 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41-853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6학년 영재학생 100명과 일반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중심 대처방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감소되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영재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커졌으며, 일반학생은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 때에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 A Study of Metaphor about Teaching

  • Seo, Hae-A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48-757
    • /
    • 2004
  • When teachers for the gifted express metaphors about their teaching, they may develop better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ing of teaching and enable to choos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for optimizing individualized learning of the gif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to explore metaphors about science teachers' teaching for the gifted in middle schools and classify into types of metaphor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and completed survey instruments by 66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 at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18 science teachers at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 described seven types of metaphors about their teaching with characteristics of student-centered (counsel, helper, etc.), teacher-centered (judge, captain, etc.), or student-teacher-interacted (painter, nurse, etc.) types. More than 60% of teachers described their teaching as either student-centered or student-teacher-interacted types. However, percentage of teachers for the teacher-centered and power-oriented type was higher for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 (33%) than science teachers for regular students (22%). It was also found that female science teachers for the gifted showed higher percentage for teacher-centered and power-oriented (35%) than male teachers (28%) and teachers with BS degree showed higher percentage for student-centered and service-oriented type (33%) than teachers with MS degree (27%). In addition biology teachers for the gifted also were appeared to be more teacher-centered and power-oriented type (60%) than physics (21%), chemistry (6%), and earth science (33%).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kills)

  • 심혜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32-54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CSPS) process amongst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think-aloud research metho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CSP,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process skills, creative thinking, and finally, the affective domain used in their CSP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scientifically-gifted 6th grade students and one average student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one gifted student with good creative thinking skills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in CSPS than the other gifted student, who had the highest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average student, in spite of her high level of factual knowledge, she had difficulty in proceeding in CSPS due to her shallow scientific knowledge along with her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given problem.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CSPS and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of scientifically-gifted children.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process, creative thinking, the affective domain, and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한 초등과학 영재의 외로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neliness)

  • 김희경;권혁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48-361
    • /
    • 2016
  • This study was done by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elly (2000),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sixth grade student from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in C University. The data were gather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 participant and her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can mak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ith regard to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cience. Firs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may make her feel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s she has with peers, siblings, and parents. Second, parent's repression makes the gifted child feels lonely. Third, the gifted child who feels lonely get consolation from her own subjective world and wants to get recognition from others.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serves as a place of education that fosters the gifte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simultaneously it is where she can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er peers, as well as being a place of emotional comfort.

수학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분석 - 중등 영재학생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Analyzing a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Output for Mentor-Independent Study - A Case Study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

  • 이헌수;박종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5-2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 사사과정에 있는 수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사사독립연구를 실시하여 수확영재의 사사독립연구에서 얻어진 산출물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산출물 발표과정에서의 영재학생의 심리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는 수학영재성 중 수학적 능력의 구성요소만 귀납적 연역적 추론 능력을 발현하게 한다. 둘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영재성 관련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중 수학적 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이 영재학생에게서 발현하게 한다. 셋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 영재성의 구성요소 중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자기 신뢰감 등과 관련된 요소를 상승하게 한다.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양식 비교 (Comparison of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 김민서;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58-56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inking style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The subjects were 191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182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invention, who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program. They were given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TSI) that standardized Korea version by Yun (1997), which constructed 13 thinking styles of 5 dimensions (functions, forms, levels, scopes, and leanings of the mental self-gover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OVA with SP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ifted in science prefer executive, oligarchic, and global thinking styles rather than the gifted in invention. Meanwhile, the gifted in invention prefer legislative, judicial, loc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rather than the gifted in science. Both of the gifted in science and invention prefer legislative, executive, monarchic, anarchic, extern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executive, oligarchic, loc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of the gifted in science.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Inventor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재준;유인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
    • /
    • 2016
  •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Factors Foun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reative Gifted Student Selection Test)

  • 손충기;김명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07-33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를 실시하여 창의성 영재를 선발하고, 선발된 창의성 영재들의 창의적 특성들이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간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창의성 영재들의 창의적 특성을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교육청 산하 17개 영재교육원 학생 중 수퍼영재교육을 희망한 594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영재를 선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창의성 요인의 차이 검증(t-test), 수학영재와 과학영재의 창의성 요인의 차이검증(t-test), 창의성 영재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요인들의 초 중학생 간 및 수학영재 과학영재 간 차이검증(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TTCT는 창의성 영재 선발과 탈락을 변별하는 역량이 있으나, 창의성 요인 중 '유창성'과 '독창성', '유창성'과 '정교성' 간에는 각각 .78, .50의 상관계수를 보여 창의성 요인의 고유성이 낮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또 중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유창성(원 그림)과 정교성 요인(그림구성, 그림완성, 원 그림), 제목의 추상성(그림구성)이 유의하게 낮으며, 과학 영재는 수학영재에 비해 독창성(그림구성)과 정교성(그림구성, 그림완성, 원 그림)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 영재 선발을 위한 검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야 하며, 학년이 높아지면서 창의성이 낮아지는 문제의 해결방법과 교과별 영재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경제적,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 주말 물리교실 하늘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actics of a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with Economic Difficulty and Physical Disadvantage: A Case Study of 'Haneul' of Saturday Physics Class)

  • 조성민;전동렬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729-755
    • /
    • 2012
  • 우리나라의 소외된 영재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가난하고 신체적 아픔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현장인 주말 물리교실을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했고, 참여자와 참여자의 어머니, 초등학교 5학년 때 담임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지문헌과 자기보고서를 추가로 활용하여 참여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참여자의 학습 특성은 내적동기와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능동적인 학습'과 배척된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배움을 향한 몸부림'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참여자의 학습 전술은 경제적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움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다양한 학습 경로'과 '메타인지적 사고', 그리고 '맞장구치기'의 세 전술을 발견하였다.

수행평가를 활용한 영재 판별 (An Applicat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오영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77-116
    • /
    • 1997
  • The paper-and-pencil multiplce choise test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gifted and talented student in Korea. Such test have several drawbacks; such~a s not being able to ass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whic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developed a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hallenged traditional methods of identification. The 5-day summer camp was held to select gifted students for the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11 student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task commitments, and cooperativeness with various performance tasks, such as essay tests, conversations, oral examinations, computer simulations, puzzles, experiments, group discussions, debates, research reports, and gam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erms of low reliability, requiring high costs and many professionals, and taking long times and large spaces. Expanding and continuing research should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