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ed rough ric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9초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 Lee, Youn-Ri;Woo, Koan-Sik;Kim, Kee-Jong;Son, Jong-Rok;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65-770
    • /
    • 2007
  •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rough rice as a health-functional food, we investigated its changes in biological activity with germina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of 'Goami2', 'Keunnunbeyo', and 'Heugkwangbeyo' were studi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ngerminated rough rice. The phytic acid level in rough rice decreased on germination, while the level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Reducing power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germinated rough rice tended to have enhanced reducing power. Among the rough rice cultivars, the germinated 'Heugkwang' rough rice tended to be the most effective, with scavenging activities for the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that were 1.6-, 1.3-, and 1.6-fold greater than those of the ungerminated 'Heugkwang' rough rice, respectively. We also found that the germination proces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all the rough rice cultivars, where activity was greatest for the 'Heugkwang' rough rice cultivar.

Some Physiological Activities Observed from Ethanol Extracts of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 Lee, Youn-Ri;Hwang, In-Guk;Woo, Koan-Sik;Kim, Kee-Jong;Jeong, Heon-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176-181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om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specialty rough rice ('Goami2', 'Keunnunbyeo', and 'Heugkwangbyeo' rough rice cultivars)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analyzed for their inhibition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The most active rough rice cultivar was 'Heugkwangbyeo' and germinated 'Heugkwangbyeo' rough rice was more effective than ungerminated rough rice, having higher inhibition activity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1.2-fold),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4-fol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1.2-fold),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1.1-fold).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increased after germination (2.1-fold) and decreased as pH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70%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Heugkwangbyeo' rough rice can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the functional food materials.

Hypoglycemic Effects of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Lee, Youn-Ri;Hwang, In-Guk;Woo, Koan-Sik;Kim, Hyun-Young;Park, Dong-Sik;Kim, Jae-Hyun;Kim, Yun-Bae;Lee, Jun-Soo;Jeong, Heon-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272-277
    • /
    • 2011
  • The hypoglycemic effects of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investigated.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abetic groups than in the normal control (NC); however, they were higher in the 1% and 3% diabetic groups given germinated Goami2 rough rice extract (DM-3%GGRRE)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DC). While food intake in all diabetic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diabetic groups. The weight percentages of liver and kidney in all diab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C. In terms of blood glucose, the diabetic group showed about a three times larger value than the normal group. Moreover, in the 3%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group, the blood glucose level became lowered. The levels of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phosphokinsae, and creatinine increased in general with the induction of diabetes using STZ; however, the 3% GGRRE-treated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levels compared to the diabetic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3% GGRRE, rather than the 1% GGRRE, was considerably more effective at reducing blood glucose and improving impaired glucose tolerance, suggesting the germinated rice extracts may play a role in preventing liver and kidney damage.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 Lee, Youn-Ri;Kim, Ja-Young;Woo, Koan-Sik;Hwang, In-Guk;Kim, Kyong-Ho;Kim, Kee-Jong;Kim, Jae-Hyun;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06-101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germinated rough ri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chemical components that were determined for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rough rice cultivars included dietary fiber,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and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ocopherols and ${\gamma}$-oryzanol. The crude protein, fat, total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s of the rough ri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ermination.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particularly increased. After the germination of the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varieties, the following increases were found: ${\gamma}$-aminobutyric acid increased 2.4, 2.5, 6.1, and 3.4 times, respectively; ${\alpha}$-tocopherol, ${\alpha}$-tocotrienols, and ${\gamma}$-tocotrienol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gamma}$-oryzanol content increased 0.8, 1.1, 1.5, and 1.2 times, respectively. Thus, germinated rough ric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healthy and functional food ingredient.

볶음 조건 및 침출 조건에 따른 발아 벼차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ough Rice Tea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Time and Leaching Condition)

  • 이상훈;이연리;황인국;우관식;김경호;김기종;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6-391
    • /
    • 2009
  • 발아 벼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발아 벼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아 벼차의 항산화 활성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0.31-1.32 mg/g과 7.06-39.40 mg AA eq/100 g 범위로 나타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시간을 달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탁도, pH 및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250^{\circ}C$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시는 2.62%로 $200^{\circ}C$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한 경우의 0.62%보다 높았다. 발아벼차의 탁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색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아벼차의 pH를 측정한 결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아벼차의 갈변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관능적 특성으로는 색, 향, 맛 및 전반적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곡류의 볶음 처리에 따른 가열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갈색화 반응 생성물은 식품에 독특한 향미를 부여하여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열처리와 발아에 따른 왕겨(Oryza sativa L.)의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함량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Contents of Rice Hull (Oryza sativa L.) with Heat Treatment and Germination)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96-7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및 발아와 발아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의 함량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열처리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3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각각 253.12 및 $208.39{\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 2일차에서 각각 118.20 및 $95.37{\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일수별 벼의 조효소액을 여과한 조효소액 및 여과 후 남은 잔여물을 접종한 결과 여과한 조효소액의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함량 차이가 없었으나 잔여물을 처리하였을 때 tricin 및 TTG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발아 벼 6일 차에서 각각 361.76 및 $308.08{\mu}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의 함량을 가장 많이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은 발아 6일차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 여과 잔여물을 처리한 경우로 나타났다.

C57BL/KsJ-db/db 제2형 당뇨병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항당뇨효과 (Anti-diabetic Activity of Germinated Ilpum Rough Rice Extract Supplement in Mice)

  • 이연리;우관식;황인국;김현영;이상훈;김윤배;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9-3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모델인 C57BLKS/J-db/db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농도별로 급여한 후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C57BLKS/J-db/db 마우스에게 급여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양에 따라 5군 즉, 정상군(Normal Control: NC), 당뇨대조군(Diabetic Control: DC), 1%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1% GIRRE), 0.5%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0.5%GIRRE), 0.25% 발아벼 추출물 급여군(DM-0.25%GIRRE)으로 나누었다. 8주 동안 매일 식이 섭취량과 음료섭취량 및 매주 체중과 공복혈당을 측정하고 마지막 주에 경구포도당 부하검사(OGTT)를 실시하였으며, 부검 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인슐린 농도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DM-1% GIRRE군에서 당뇨유발에 의한 체중감소 및 당뇨 증상 중에 다음(poly-dipsia), 다식(polyphasia) 등이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M-1%GIRRE군에서 당뇨동물의 공복 혈당, 경구 내당능 검사, 혈중 HbA1c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지만, 혈장 인슐린 농도는 당뇨실험군들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발아일품벼추출물의 급여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기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발아와 고압처리에 따른 벼(Oryza sativar L.) 추출물의 효소저해활성 (The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Derived from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r L.) Treated by High Pressure)

  • 김민영;이상훈;장귀영;박혜진;;김신제;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4-50
    • /
    • 2014
  • 고압처리가 발아벼 추출물의 성인병관련 예방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효소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발아기간은 6일로 하였고,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발아초기에 대조구에 비해 고압처리 시 높은 범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CE 및 lipase 저해활성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과 유사하였으며, 고압처리가 대조구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8시간 고압처리한 2일차 발아벼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발아초기에는 대조구보다 고압처리시 높았지만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발아와 고압처리를 병행한 벼는 무발아 및 발아벼에 비하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소재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 L.))

  • 김민영;이상훈;장귀영;박혜진;;김신제;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83-17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기간별로 발아된 벼는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48시간 고압처리를 실시한 6일차 발아벼가 5.15 mg/g으로 고압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6일차 발아벼의 1.11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15종의 페놀산 중 gallic acid 외 6종의 페놀산과 총 페놀산함량이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의 경우 발아 4일차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압처리 24시간 처리구와 48시간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환원력과 이온킬레이팅 효과는 총 폴리페놀, 페놀산 함량과 유사하게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가압을 병행처리 하였을 때 일반벼 및 발아벼에 비해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벼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압처리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 김현영;황인국;정은미;김태명;김대중;박동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25-330
    • /
    • 2010
  • 한국산 벼 6종(일품벼, 백진주벼, 설갱벼, 고아미2호, 거대배아벼 및 흑광벼)의 발아 및 무발아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를 위암세포주(MKN45), 대장암세포(HCT116) 및 폐암세포(NCI-H460)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일부 품종의 경우 발아 후에 1 mg/mL 농도에서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품종은 흑광벼로 발아 에탄올 추출물 18.89%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폐암세포주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 발아 에탄올 추출물은 5~10%의 생존율을 보였다.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일품, 고아미2호, 백진주 및 설갱벼에 대하여 5~10%의 생존율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주 증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항암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 후 벼의 성분분석 및 추후 항암실험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항암활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