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ed barle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쌀보리, 겉보리 및 밀을 이용한 엿기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alt Prepared with Covered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 서형주;정수현;김영순;홍재훈;이효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7-421
    • /
    • 1997
  • Quality of Sikhe, the Korean conventional rice beverage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accharifying activities of various amylases, intrinsic flavour, budding rate and so 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ikhe, characteristics of malt produced with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evaluated. The germination rate of wheat was 82%, but those of naked and covered barley were 69% and 56% for 6 days, respectively. Malt prepared from germinated grains with 1.5~2.0 times length of buds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when the extraction of enzyme and reducing sugar was carried out at 5$0^{\circ}C$ for 4 hr, saccarifying powe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the highest. Malt of wheat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Malt of naked barley had higher saccharifying power than that of covered barley. The amylase types of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similar to $\beta$-amylase.

  • PDF

현미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 이원종;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6-150
    • /
    • 1998
  • 발아현미의 ${\alpha}-amylase$의 활성도는 발아 보리보다 작았으나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는 발아보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식혜제조시 발아 현미는 효소활성도가 낮아 보리 엿기름 대신 사용 할 가능성은 없으나 발아 현미를 백미 대신 식혜 원료로 사용할 경우 현미 자체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당화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를 이용한 식혜 제조시의 추출물 함량과 당도는 당화 초기 1시간 동안에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현미와 무발아 현미를 이용한 식혜 제조시에는 당화 4시간까지 추출물함량과 당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현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혜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백미로 제조한 식혜에 비하여 밥알의 조직감은 떨어졌으나 향기의 강도는 더 높았으며, 당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는 백미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맥아제조시(麥芽製造時) 적색광(赤色光) 희사(熙射)에 의한 배유조직(胚乳組織)의 변화(變化) (Effect of Red Light on Changes of Embryo Tissue of Barley during Germination)

  • 김진구;신승렬;김주남;김순동;김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60-64
    • /
    • 1987
  • 보리의 발아중 호분층 및 배유조직에 미치는 적 색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적색광 조사에 의한 배유조직의 친분입자의 용해현상이 발아 3일까지는 암소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4일부터는 현저히 촉진되었다. 맥아내 전분의 blue value는 암소에서 발아 1일에 0.42, 6일에 0.13으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적색광 처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암소보다 그 값이 낮았다. 호분층 세포벽의 팽윤 및 붕괴현상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촉진되었는데 암소에 비하여 적색광 조사에서 현저하였으며 특히 적색광 조사시의 발아일에서 세포벽의 붕괴현상이 심하였다.

  • PDF

Effect of Anaerobic Treatment on Carbohydrate-Hydrolytic Enzyme Activitie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in Barley Malt

  • Yun, Song-Joong;Choi, Kyeong-Gu;Kim, Jin-Ke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9-22
    • /
    • 1998
  • Effects of acute anoxia on carbohydrate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in malt were examined. Malts were prepared with barley grains germinated for 7 days which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amylolytic and(1-3,1-4)-$\beta$-glucanase activities.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activities in malt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oxia for 5 or 10 h.(1-3,1-4)-$\beta$-Glucanase activity, however, decreased about 7 to 10% by anoxia for 5 or 10 h. Alani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changed drastically. Alanine contents in malts increased by 2.2- and 2-fold, and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s by 1.4- and 1.9-fold under anoxia for 5 and 10 h, respectively.

  • PDF

대맥에서 저온 발아 및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Capacity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Barley)

  • 천종은;이은섭;이상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156
    • /
    • 1984
  • 본시험은 저온 조건에서 우리 나라 보리 주요 품종의 발아력과 출현력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세는 온도가 $4^\{\circ}C$에서 $3^{\circ}C$씩 상승할수록 70에서 10~45 정도 증가되었고 $7^{\circ}C$에서 변이가 가장 컸으며, 저온(4$^{\circ}C$)에서 백동, 남해보리, 강보리, 부흥 등의 발아력이 좋았다. 2. 출현률은 온도가 $4^{\circ}C$에서 $7^{\circ}C$로 상승할 때 84%에서 92%로 증가하였으며 출현력(ERI)은 영산보리, 광성, 백동이 불량하였으며 부호보리, 남해보리, 오월보리, 알보리, 사천 6호 등이 양호하였다. 3. 저온에서 발아력과 출현력 및 기타 형질과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4^{\circ}C$$7^{\circ}C$구간에 출현력과 건물중은 서로 상관이 높았다. 4.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 보리 종자의 발아력과 출현력은 품종간 변이가 컸으며 발아력으로 출현역을 추정할 수는 없었다. 또한 저온 출현력을 검정하는데 ERI와 건물중을 같이 이용하면 좀더 정확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맥아의 $\alpha$-Amylase Isozyme에 미치는 Red Light의 영향 (Effects of Red Light on $\alpha$-Amylase Isozmyes of the Germinated Barley (Hordeum distichum L.))

  • 송준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4
    • /
    • 1990
  • This study carried out to changes $\alpha$-amylase activity and isozymes in barley during germination in the dark and red light The specific activity of u-amylase was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periods in the dark, giving 355.0 and 523.7 units/mg protein at 3 and 5 day, and the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red light up to 48 and 15% at 3 and 5 days of germination, respectively. The ratio of $\alpha$-amylase I and II was approximately 95:5 at both 3 and 5 days of germination in the dark while the different ratio was found by the red light i. e. 60 : 40 and 90 : 10 at 3 and 5 days of germination, respectively.

  • PDF

수분부족이 보리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Germination in Winter Barley)

  • 백형진;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9-145
    • /
    • 1994
  • 보리(Hordeum vulgare L.) 품종인 백동을 공시하여 Polyethylene glycol로 배지의 수분 potential을 0, -5bar, -10bar, -15bar, -200bar로 조절하여 종자를 침지후 초기의 발아율, 발아속도, 호흡계수, $\beta$-amylase 활성과 환원당, 종자의 생건비 등을 조사하여 발아에 미치는 수분부족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이 부족할 수록 발아율의 감소 및 발아속도 지연이 극심하였다. 2. 호흡계수(Respiratory quotient :R.Q.)는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3. $\beta$-amylase의 활성은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고 환원당량도 많아지는데 이는 종실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흡수된 수분중 상당량이 세포의 구조적 수분이나 구조유지에 사용되어지기 때문이다. 4. 흡습종자의 생건비는 배지의 수분potential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나 심한 수분부족에 처하게 되면 도리어 상승한다. 5. 배지의 수분 potential이 -10bar이상으로 유지되어야 종자가 정상적인 발아를 하며 초기생육도 왕성하게 유지될 수 있겠다.

  • PDF

보리 종자의 α-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α-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 이준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14
    • /
    • 2007
  • Effects of dimethipin on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1{\mu}M\;and\;10{\mu}M$ dimethipin, the indexes of germination were reduced to 17% and 24 % respectively. After seed germination, dimethipin was added to germinated seedlings and then the seedlings were kept to measure seedling length under illumination for 7 days. In control, the length of seedling was 5.7 cm, but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seedling lengths were 5.5 cm and 1.2 cm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methipin concentrations and ${\alpha}$-amylase activities, there was a linear curve. The more dimethipin was added to the seeds, the more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inhibited.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reduced to 33% and 71% respectively. Dimethipin also inhibited ${\alpha}$-amylase activities increased by gibberellin and the content of soluble protein.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dimethipin might inhibit directly the activities of hydrolysis enzymes including ${\alpha}$-amylase or the expression of ${\alpha}$-amylase genes a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ere severely disturbed.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able Depth in Different Soil Texture 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Grain)

  • 이홍석;구자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8-284
    • /
    • 1995
  • 본 연구는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생산물 종실의 품질 및 발아와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추구함으로서 적정지하수위와 지하수위에 따른 피해 정도를 구명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올보리와 그루밀을 공시하여 1992년 10월 ~ 1993년 6월에 걸쳐 대형포트(550 liter)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성을 식양토와 사양토로 조성하여 전 생육기에 걸쳐 지하수위가 20, 30, 40, 50, 70cm가 되도록 조절하고 비가림 재배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립비율과 종보비중은 토성과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1,000립중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토성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2. 조단백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많아졌으며 특히 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토성에 따른 조단백 함량의 변화는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보다 적었으며 사양토에서의 것이 식양토의 것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그 차이는 적었다. 3. 조지방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사양토에서의 조지방 함량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4. 회분 함량은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특히 사양토에서 그 경향이 뚜렷하였다. 5. 밀의 제분율은 토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하수위 20cm에서 종실 제분율이 65% 정도로 나타났고 지하수위 40cm 이하에서 제분율이 67% 이상으로 나타났다. 6. 2$0^{\circ}C$에서 3일 이내의 발아율에서 보면 보리와 밀 모두 모든 처리에서 9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토성에 관계없이 지하수위 20cm에서 가장 낮은 발아율을 보였고 지하수위가 낮아질수록 발아율도 높아졌다. 7. 보리에서 24시간 이내의 발아율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48시간 이내의 발아율에서는 사양토의 지하수위 20cm 처리를 제외하고는 89% 이상의 발아율로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대부분이 발아하는 발아세를 보였다. 8. 보리 맥아에서의 당화력(diastic power)은 지하수위 20cm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지하수위 30cm 이하 처리에서의 당화력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토성에 따른 맥아 당화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보릿가루 첨가 복합분의 반죽 물성 및 빵의 품질 특성 (Dough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with Barley Flour)

  • 하용밍;박양균;강정화;김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4-353
    • /
    • 2012
  • 보리를 제빵에 이용하기 위하여 새쌀보리와 새찰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의 반죽물성과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화특성의 최고점도는 새쌀보리 복합분에서는 증가하였지만 새찰보리 복합분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안정도는 1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와 동일하였으나 3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Extensograph 특성 조사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복합분의 신장도는 감소한 반면 저항도는 증가하였다. 빵의 무게와 부피는 보릿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새쌀보리 첨가구보다 새찰보리 첨가구, 무발아보리 첨가구보다 발아보리 첨가구의 비용적이 더 컸다. 빵 속살의 L값은 10%, 20%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 특성은 새쌀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경도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고, 새찰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모든 항목에서, 20% 무발아새찰보리 첨가구는 응집성을 제외한 탄력성, 점착성, 파쇄성 및 경도에서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10%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0% 첨가구도 제빵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첨가할 수 있는 수준이라 판단 되었다. 반죽의 물성과 빵의 품질 특성 조사 결과 메성보리인 새쌀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좋아졌으나 찰성보리인 새찰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