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orphology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5초

카르스트 우발라에 발달한 수리시설에 관한 연구: 강원도 정선군 남면 광덕리를 사례로 (The Drainage and Irrigation System Developed on the Karstic Uvala: The Case of Kwangduk-ri, Nam-myeon, Jungseon-gun, Kangwon-do)

  • 탁한명;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39-655
    • /
    • 2014
  • 우발라는 규모, 형성원인, 발달과정, 기하학적 구조, 수문학적 특징, 돌리네와의 관계에서 다른 카르스트 와지와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광덕리 카르스트 와지의 지질, 고도, 곡중분수계, 하천쟁탈의 증거를 분석한 결과는 우발라의 성인적, 과정적, 구조적, 수문학적 특성에 잘 부합한다. 우발라의 지형, 수문적 특성은 와지내부의 가뭄이나 용수부족 문제를 일으키는데, 우발라 내부의 주민들은 지형적 환경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 대응방식을 보였다.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와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지형을 이용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우발라 내 외곽에 존재하는 지하수와 용천수에는 우물, 펌프, 관정, 간이상수도와 같은 시설을 설치하여 용수를 취득함으로써 경관을 변화시켰다. 우발라와 같은 카르스트 와지에서의 입지와 토지이용은 지형과 수문특성이라는 환경적 조건과 관련된 것으로 단순히 공간적 규모에 의해 입지가 결정된다는 기존의 관점에 수정이 요구된다.

  • PDF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싱크홀의 위험요인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of Sinkholes with Geospatial Information)

  • 김동문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7-43
    • /
    • 2016
  • 최근 사회기반시설이 밀집한 도심지에서 싱크홀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싱크홀이 시민의 생활영역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어, 싱크홀의 주요 발생요인인 도시개발과 지하수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싱크홀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성이 깊은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에서 발생한 싱크홀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지형공간정보는 싱크홀의 발생원인을 지형학적 관점에서 구축한 정보이며, 정보의 처리와 분석은 GIS를 기초로 한 다양한 공간분석도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지형학적 요인이 싱크홀의 발생원인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지하에 설치된 각종 관망과 지하수위의의 이동특성, 기타 지형학적 특성의 관리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방재분야의 의사결정지원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수문지형학 및 공간모델링분야를 접목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Vertical and longitudinal variations in plant communities of drawdown zone of a monsoonal riverine reservoir in South Korea

  • Cho, Hyunsuk;Marrs, Rob H.;Alday, Josu G.;Cho, Kang-Hy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71-281
    • /
    • 2019
  • Background: The plant communities within reservoir drawdown zones are ecologically important as they provide a range of ecosystem services such as stabilizing the shoreline, improving water quality, enhancing biodiversity, and mitigating climate change. The aim of the study was therefore to identify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se plant communities within the drawdown zone of the Soyangho Reservoir in South Korea, which experiences a monsoonal climate, and thereafter to (1) elucidate the plant species responses and (2) compare the soil seedbank composition along main environmental gradients. Results: Two main environmental gradient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were identified within the drawdown zone; these were a vertical and longitudinal gradient. On the vertical dimension, a hydrological gradient of flood/exposure, the annual-dominated plant community near the water edge changed to a perennial-dominated community at the highest elevation. On the longitudinal dimension from the dam to the upstream, plant species composition changed from an upland forest-edge community to a lowland riverine community, and this was correlated with slope degree, soil particle size, and soil moisture content. Simultaneously, the composition of the soil seedbank was separated along the vertical gradient of the drawdown zone, with mainly annuals near the water edge and some perennials at higher elevations. The species composition similarity between the seedbank and extant vegetation was greater in the annual communities at low elevation than in the perennial communities at higher elevation. Conclusions: The structures of plant community and soil seedbank in the drawdown zone of a monsoonal riverine reservoir were changed first along the vertical and secondly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The soil seedbank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vegetation regeneration after the disturbances of flood/exposure in the drawdown z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environmental gradients affecting shorelin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he role of soil seedbanks on the rapid vegetation regeneration for conserving and restoring the drawdown zone of a monsoonal reservoir.

환경성 평가시 도시보전용도지역 확보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Criteria for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Urban Area)

  • 이상문;전영옥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6호
    • /
    • pp.403-413
    • /
    • 2005
  •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targeted zo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has been functioned as securing a ecological core in urban green spaces management. Hence,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land use planning is considered as a key task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planning. The recently introduced pre-environmental review system for the proposed urban plan, by which the conservative measures for urban ecosystem and landscape are suggested in aspect of environmental impact mitigation,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enhanc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degraded by wide range of development pressure. This study is aimed at drawing out of objectiv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zones, which can be applied to urban planning establishment and also to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dopted the following methods; pre-study review, analysis of existing official opinion statement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tents analysis of related laws, and experts' panel discussions on the finally arranged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criteria of 48 are drown out with categorizing into environment-ecological and socio-cultural sectosr. Second, the environment-ecological part is composed of 33 criteria such as vegetation, animal, geomorphology, watershed,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etc. Here, the Degree of Ecological Function, Degree of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Vegetation Map are mainly utilized. Third, the 15 socio-cultural criteria relating to the history, social ecology and landscape have such components as forest around relics, Seo-won(school), castle, tomb, landmark, skyline, natural landscape, and etc. Forth, these individual criteria can be applied to designation of each conservation zones among total of 11 conservation areas(or districts).

생태계 보호지역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방안 (Development of Designation Criteria for Ecological Protected Areas and its Application Methodology)

  • 박용하;이현우;김기경;이관규;최재용;허수진;서경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3호
    • /
    • pp.177-188
    • /
    • 2008
  • Attempts to develope designation criteria for ecological protected areas were made for rational and scientific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wetland protection areas', 'special islands protection areas', and 'wildlife protected areas' which have been designated and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the requisites and criteria of IUCN, UNESCO, Natura 2000, the Ramsar conventio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Germany as well as various academic researches, evaluation items of the protected area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ness, biodiversity, ecosystem, and scientific values. These classification titles are reflection of Korean laws concerning the 4 protected areas described above. Of these items 'naturalness' is composed of 3 factors of wilderness, geomorphology and landscape, and vegetation. 'Biodiversity' is composed of the 5 factors of species diversity, endangered species, rare species, indigenous biological resources, and habitat of wetland wild animals. 'Ecosystem' is composed of 5 factors of typicalness, diversity, rarity, restoration ability, and degree of interference. All factors are scored using a 3 point scale of high, middle, or low and are then transformed into the numerical index for designating and zoning purposes. Conclus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ethodology will be highly applicable with field verifications.

물이끼섬을 포함하는 제주도 오미 습원의 군락생태 (A Synecological Description of Ohmi Moor with Sphagnum Islet in Jeju, Korea)

  • 김종원;이경연;김윤하;엄병철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74-183
    • /
    • 2018
  •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내에는 야생 동물과 탈출 가축을 부양하는 작고 얕은 못, 이른바 오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숨은물벵뒤 오미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를 밝힌다. 오미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미소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 식물사회를 정교하게 기재하였다: 이탄소도-보그식생형의 물이끼류군락, 원수대 부엽식생형의 좀어리연꽃군락, 연안대 정수식생형의 송이고랭이군락과 좀올챙이골군락, 연안대 순간식생형의 바늘골-진땅고추풀군락과 검은곡정초-개수염군락. 이들 식물군락은 수심에 따라 대상분포하였다. 고층습원의 전형요소 물이끼섬이 오미 중앙에 발달하고 있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오미습원은 '빗물의존 약한 빈영양 환경'을 갖는 하나의 독특한 중간습원으로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속에서 높은 자연성을 갖는 핵심서식처로 평가되었다.

Earth Dam의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의 해석 (An Analysis of Outflow Hydrograph Resulting from an Earth Dam-Break)

  • 한건연;이종태;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1-50
    • /
    • 1985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earth dam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의 해석(解析)을 실시(實施)하였다. Earth dam의 파괴에 대하여 이제까지 연구(硏究), 조사(調査) 파괴양상 및 저류방정식등(貯溜方程式等) 바탕으로 DBFW(Dam Break Flood Wave)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하였고 개발(開發)된 모형(模型)을 Teton과 Buffalo-Creek 댐에 적용(適用)하여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을 해석(解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의 형상(形狀)이나 첨두유량(尖頭流量) 및 첨두발생시간(尖頭發生時間) 등에 대하여 NWS의 조사결과(調査結果)와 매우 작은 편차(偏差)로 일치(一致)하고 있어 본(本) 모형(模型)의 적용성(適用性)을 입증(立證)하였다. 파괴양상이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에 미치는 영향은 저수지(貯水池)의 지형학적(地形學的) 특성(特性), 파괴부의 형태(形態), 파괴폭 및 파괴지속시간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earth dam을 지형학적(地形學的) 특성(特性)에 의하여 4가지 type으로 구분(區分)하고 각각에 대한 수위(水位)-수표면적(水表面積) 관계식(關係式)을 도출(導出)한 후 임의의 댐 높이와 파괴지족시간에 대한 첨두유출량(尖頭流出量) 및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 구할 수 있는 도표(圖表)를 제시(提示)하였다.

  • PDF

제주도 사계 해안사구의 지형과 퇴적물 특성 (The Geomorphology and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of Sagye Coastal Dune, Jeju Island, Korea)

  • 서종철;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1-644
    • /
    • 2006
  • 시계 지역은 해안을 따라 1.7km, 폭 100$\sim$300m에 걸쳐 형성된 대규모 사구지대로서, 모래해안과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진 해빈 지역, 초본과 관목성 사구식생으로 피복된 전사구지대와 사구평지, 곰솔림이 식재된 이차사구지대와 그 후면의 경작지와 주거지로 크게 구분된다. 전사구와 사구평지는 제주도의 해안사구 가운데 자연 상태가 가장 잘 유지되어 있는 초지사구의 전형을 보이는데, 다양한 사구식물이 넓은 면적에 걸쳐 서식하고 있고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보전 가치가 매우 높다. 퇴직물의 평균입경은 $1.1{\sim}1.8{\Phi}$로서 일반적인 해안사구의 것보다 크고, 분급도와 왜도는 각각 $0.6{\sim}-1.2{\Phi}$$-2.7{\sim}1.6{\Phi}$로서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수치이다. 세립질 함량, 유기물함량 및 양이온치환용량 분석 결과 이차사구 지대에서 토양화가 빠르게 진척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Youngnam District)

  • 최희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3-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남지방에 있는 4개 전통취락의 입지를 지형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취락의 사면 경사도, 사면향, 하천과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전통취락의 입지에 담겨있는 풍수적 사고와 택리지의 복거론적 지형인식이 현대의 지형분석적 입장에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것이 시사하는 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유곡은 계곡분지의 산록부 천전은 구룡지 말단부에 입지한다. 하회는 곡류하천 범람원의 볼록한 자연제방에 입지하고, 양동은 구릉지에 입지하고 있다. 가옥들은 대체로 남향과 남동향, 남서향이 많지만, 하회는 모든 사면으로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4지역은 하상비고 $10{\sim}20m$ 범위에 입지하는데, 이 하상비고는 수해에 대비한 안전고도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과거 풍수적 관점에서 명당이라 지칭해 온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입지는 현대의 주거입지론적 측면에서도 우수한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omorphology and Volcaniclastic Deposits around Dokdo: Dokdo Caldera

  • Chun, Jong-Hwa;Cheong, Dae-Kyo;Park, Chan-Hong;Huh, Sik;Han, Sang-J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83-490
    • /
    • 2002
  • Detailed investigations on both submarine and subaerial volcaniclastic deposits around Dokdo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stratigraphy, and associated depositional processes of Dokdo caldera. Dokdo volcano has a gently sloping summit (about 11km in diameter) and relatively steep slope (basal diameter is about 20-25 km) rising above sea level at about 2,270m. We found ragged, elliptical-form of Dokdo caldera with a diameter of about 2km estimated by Chirp (3-11 kHz) sub-bottom profile data and side scan sonar data for the central summit area of Dokdo volcano. We interpreted that the volcaniclastic deposits of Dokdo unconformably consist of the Seodo (west islet) and the Dongdo(east islet) formations based on internal structure, constituent mineral composition, and bedding morphology. The Seodo Formation mainly consisted of massive or inversely graded trachytic breccias (Unit S-I), overlain by fine-grained tuff (Unit S-II), which is probably supplied by mass-wasting processes resulting from Dokdo caldera collapse. The Dongdo Formation consists of alternated units of stratified lapilli tuff and inversely graded basaltic breccia (Unit D-I, Unit D-III, and Unit D-V), and massive to undulatory-bedded basaltic tuff breccias (Unit D-II and Unit D-IV) formed by a repetitive pyroclastic surge and reworking processes. Although, two islets of Dokdo are geographically near each other, they have different formations reflecting their different depositional processes and eruptive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