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Youngnam District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location of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the Youngnam district of Korea in view of geomorphology. For this study,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se quantitatively the degree of slope, slope aspect and the relation with river/stream of these regions. Yugok is located on pediment in the valley basin. Cheonjeon is located in the end part of the hill. Hahoe is located on the convex natural levee of the flood plain. Yangdong is located on a hillside. Houses are mostly distributed with south, southeast, and southwest aspect, but in Hahoe face all sides. Also, the settlements are located on average $10{\sim}20m$ above river bed. This indicates a safe height above river bed for avoiding an flood damag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settlement is based on a scientific logic and rationale. It is thus argued that the settlements satisfy exellent geomorphic cond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theories of residential lo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남지방에 있는 4개 전통취락의 입지를 지형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취락의 사면 경사도, 사면향, 하천과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전통취락의 입지에 담겨있는 풍수적 사고와 택리지의 복거론적 지형인식이 현대의 지형분석적 입장에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것이 시사하는 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유곡은 계곡분지의 산록부 천전은 구룡지 말단부에 입지한다. 하회는 곡류하천 범람원의 볼록한 자연제방에 입지하고, 양동은 구릉지에 입지하고 있다. 가옥들은 대체로 남향과 남동향, 남서향이 많지만, 하회는 모든 사면으로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4지역은 하상비고 $10{\sim}20m$ 범위에 입지하는데, 이 하상비고는 수해에 대비한 안전고도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과거 풍수적 관점에서 명당이라 지칭해 온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입지는 현대의 주거입지론적 측면에서도 우수한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