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agnetic data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21초

우리나라의 지자기장의 변화 (Variations of Geomagnetic Field in Korea)

  • 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1-33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1918년부터 1944년까지의 지자기관측 데이터와 전 지구 지자기장 모델을 분석하여 1918년부터 2000년까지의 지자기장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1918년부터 1944년까지의 지자기 관측 데이터와 전지구 지자기장 모델(IGRF-95)는 전 세계 지자기데이터 센터에서 획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1918년부터 2000년까지의 편각의 변화량이 약 $1^\circ{50'}$으로 년 변화률은 1'20"/yr이며, 복각의 전체 변화량은 38'으로 년 변화률이 약 27"/yr로 추정되었다.yr로 추정되었다.

  • PDF

GEOMAGNETIC FIELD VARIATIONS DURING SOLAR ECLIPSES AND THE GEOGRAPHIC LOCATION OF OBSERVING SITES

  • Kim, Jung-Hee;Chang, Heon-Young
    • 천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19-127
    • /
    • 2018
  • We examine whether the solar eclipse effect is dependent on the geographic conditions under which the geomagnetic field variations are recorded. We concentrate our attention on the dependence of the solar eclipse effect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magnitude of a solar eclipse (defined as the fraction of the angular diameter of the Sun being eclipsed), the magnetic latitude of the observatory, the duration of the observed solar eclipse at the given geomagnetic observatory, and the location of the geomagnetic observatory in the path of the Moon's shadow. We analyze an average of the 207 geomagnetic field variation data sets observed by 100 INTERMAGNET geomagnetic nodes, during the period from 1991 to 2016. As a result, it is demonstrated that (1) the solar eclipse effect on the geomagnetic field, i.e., an increase in the Y component and decreases in the X, Z and F componenets, becomes more distinct as the magnitude of solar eclipse increases, (2) the solar eclipse effect is most conspicuous when the modulus of the magnetic latitude is between $30^{\circ}$ and $50^{\circ}$, (3) the more slowly Moon's shadow passes the geomagnetic observatory, the more clear the solar eclipse effect, (4) the geomagnetic observatory loc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path of Moon's shadow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greatest eclipse is likely to observe a more clear signal. Finally, we conclude b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our findings.

Installation of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in Substations and Analysis of GIC Data during Geomagnetic Storms

  • Choi, Kyu-Cheol;Park, Mi-Young;Ryu, Youngsoo;Hong, Youngsu;Yi, Jong-Hyuk;Park, Sung-Won;Kim, Jae-Hu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427-434
    • /
    • 2015
  • Coronal Mass Ejections (CME), which originate from active regions of the Sun's surface, e.g., sunspots, result in geomagnetic storms on Earth. The variation of the Earth's geomagnetic field during such storms induces surface currents that could cause breakdowns in electricity power grids. Hence, it is essential to both monitor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s (GICs) in real time and analyze previous GIC data. In 2012, in order to monitor the variation of GICs,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SWC) installed an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 at SINGAPYEONG Substation, which is equipped with 765 kV extra-high-voltage transformers. Furthermore, in 2014, two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were installed on the 345 kV high-voltage transformers at the MIGEUM and SINPOCHEON substations. This paper report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at these three substations. Furthermore, it presents the results of both an analysis performed using GIC data measured at the SINGAPYEONG Substation during periods of geomagnetic storms from July 2013 through April 2015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obtained GIC data and magnetic field variation (dH/dt) data measured at the Icheon geomagnetic observatory.

대전지자기관측소에서 측정된 지자기 값과 시간에 따른 변화 (Geomagnetism measured in DZN (Daejeon) Geomagnetic Observatory and its time-variation)

  • 임무택;박영수;임형래;구성본;이영철;나재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3-360
    • /
    • 2007
  • KIGAM has installed a FLARE+ continuous geomagnetic observation system in 1998 in Daejeon of which the IAGA identification code is DZN. The coordinates of the absolute measurement plinth precisely determined by the PDGPS(Post-Processing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is (127-21-37.19E, 36-22-43.96N, 45.93 m) in WGS84 for the horizontal and from the geoid surface for the vertical. Periodically we have conducted the absolute geomagnetic measurement on the plinth above. We have processed the continuous time-variation 3-axis geomagnetic data measured on arbitrary sensors' coordinates in the observatory and absolute geomagnetic data together to get as the results the time-variation H(orizontal), D(eclination), Z(vertical down), F(scalar calculated from 3 components) and P(Proton Precession Magnetometer Data). We have compared our own data with those calculated from the 10th generation IGRF(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All the measured data in the DZN Observatory can be acquired through the website http://geomag.kigam.re.kr.

  • PDF

한국에서의 지구자기장관측의 현황 (THE STATUS QUO OF THE GEO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KOREA)

  • 임무택;박영수;정현기;이희일
    • 천문학논총
    • /
    • 제15권spc2호
    • /
    • pp.15-20
    • /
    • 2000
  • The geomagnetic measurements on the Korean Territory began in 1918 in the Incheon (Zinsen in Japanese pronunciation) Observatory of which the annual means of total magnetic field intensity, declination, and inclination still remain for 1918-1944. From 1970s, the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NGI) and the Radio Research Laboratory (RRL) have tried independently to measure the geomagnetic field continuously. The RRL as the result of such efforts has installed 3 geomagnetic observatories, the first in Icheon and the second in Yongin in 1996, and the third in Jeju in 1997. From 1992,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IGAM) has tried also to measure the geomagnetism and as the result they have installed 2 geomagnetic observatories, one in Daejeon in 1998 and the other in Gyeongju in 2000. Nowadays, the RRL and the KIGAM collect the measured data into their own main computers by telecommunication in real time. The two institutions will cooperate in near future to link the two geomagnetic data bases so that the whole set of geomagnetic data measured on Korean Territory could be provided to the end users in Korea.

  • PDF

안동지진(2009년 5월 2일) 발생 기간 지자기장 자료의 변동성 분석 (Variation Analysis of Geomagnetic Data Observed Around the Event of Andong Earthquake (May 2, 2009))

  • 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83-691
    • /
    • 2009
  • 2009년 5월 2일 규모 4.0의 안동 지진이 발생한 시기에 기상청 청양 지자기 관측소에 기록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자기 관측자료의 주성분을 이용하여 지자기 예측을 수행하고, 지진이 발생한 전후로 예측한 지자기장과 실제 관측된 지자기장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량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지진 발생일과 다른 날의 지자기장을 웨이블릿 셈블런스 기법을 통해 상호 비교하였다. 이 결과에서는 자기장의 수직성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3성분 자료에 대한 고유값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시기 부근에 고유값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청양 관측소의 위치가 지진 발생지점과 매우 많이 떨어져 있고 규모가 작아서 명확한 전조 현상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나, 지진과 상관성이 높은 지자기 변동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양한 지자기 신호처리 기술은 향후 전조현상 탐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청양 지자기관측소에서 획득된 지자기전달함수와 분극값의 시간변동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mporal Variations of Geomagnetic Transfer Functions and Polarization Values Obtained at Cheongyang Geomagnetic Observatory)

  • 양준모;이희순;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824-833
    • /
    • 2009
  • 지진전조현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기상청이 운영하고 있는 청양 지자기관측소에서 총 6개월간 획득된 지자기장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자기 3성분 자료로부터 지하의 전기비저항 변화를 반영하는 전달함수 및 분극값을 계산하였고, 이를 동일기간 발생한 지진이벤트와 비교하였다. 전달함수의 경우 일별 전달함수 값의 변화가 상당히 심하였으며, 발생한 지진 및 Kp 인덱스와의 상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ULF 대역 자기장은 지진발생 전 뚜렷한 분극값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기간에도 이러한 변동 패턴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분극값의 변화는 지진 전조현상으로 단정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향후 타 관측소 자료의 추가적인 확보 및 분석을 통해 과거 발생한 일정규모 이상의 지진과 관련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지진 위치와 관련된 지자기장 변동성 분석: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지역 발생 지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Location which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12 to 2014)

  • 민동민;오석훈;지윤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649-660
    • /
    • 2015
  •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일어난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기술을 지진과 관련된 지자기장 변동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총자기장을 이용한 분석 결과 관측소 반경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지진의 경우 일관적인 셈블런스 변동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Z축 성분 지자기장 자료를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에서도 비슷한 변동양상을 확인하였다. 자료 질이 좋은 청양 관측소 지자기장 자료를 중심적으로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보현산 관측소의 Z축 성분 자료를 해석하여 상관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에 있어서 지자기 영년변화의 측정 (Measurement of Archaeomagnetic Secular Variation in Korea)

  • 성형미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3-38
    • /
    • 2002
  •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28기 유구의 소토에서 정방위시료를 채취하여 고고지자기 측정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과거 지자기 방향을 구하였다. 이 자료의 연대는 A.D. 3∼9세기, A.D. 1317년, A.D. 15∼16세기에 걸쳐있다. A.D. 5∼6세기의 우리나라 지자기 방향은 같은 시기 일본의 지자기 방향과 매우 유사하나, A.D. 3∼4세기의 우리나라 지자기 방향은 같은 시기의 일본의 지자기 방향보다 크게 동쪽으로 편향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A.D. 3∼4 세기경에 우리나라와 일본 부근에 현저한 국가적 지자기 이상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A.D. 3∼6세기와 A.D. 7∼9세기의 우리나라 지자기영년변화곡선의 개형이 구해졌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연대를 알 수 없는 유적에서 소토를 이용하여 대략의 연대치를 측정할 수 있다.

  • PDF

지난 3년 동안(2009-2011) 한반도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지자기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9 until 2011)

  • 오석훈;지윤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29-438
    • /
    • 2014
  • 최근 3년간 지진과 연관된 지자기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 및 웨이블릿 기반 셈블런스에 기반한 분석 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기술은 지자기 관측 자료의 주성분을 이용하여 지자기 예측을 수행하고, 지진이 발생한 전후로 예측한 지자기장과 실제 관측된 지자기장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량이 있는지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지자기자료가 지진에 의한 변동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특정 지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증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한반도 및 주변에서 발생한 총 17차례의 지진에 대해 다양한 지자기 변동성을 분석하여 지진 전조 및 지진 동반 신호를 성공적으로 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