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y investigation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8초

수치해석수법과 지질공학적 분석을 통한 NATM터널의 붕괴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Failure Mechanism of NATM tunneling using Computational Methods and Geology Investigation)

  • 이재호;김영수;최해준;정윤영;김광일;임홍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742-753
    • /
    • 2008
  • Curr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urban tunnels with small overburden are excav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NATM). Therefore, a possibility of a tunnel collapse during excavation is getting higher in a proportionate manner. This paper will analyze causes the failure mechanism of a shallow NATM tunnel for different geological conditions, ground-water and invert solutions by investigation typical collapse site during tunnel construction. In this paper, this analysis performed two phase, firstly, the field investigation considering displacement measurement, ground-water level, geological characteristic, secondly, the numerical simulation considering the exist of invert construction and the effect of ground-water. It has been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tate of underground water or construction sequences could influence failure mechanism of a shallow tunnel.

  • PDF

석회암 매장량 산출의 기초자료 계산을 위한 지구물리탐사법의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Prospecting Method to Calculate Basic Data of Limestone Deposit Production)

  • 서백수;김영화;진호일
    • 지질공학
    • /
    • 제11권2호
    • /
    • pp.131-139
    • /
    • 2001
  • 최근까지 석회암 매장량 산출은 주로 지질조사와 시추에 의존하여 계산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매장량 계산을 위하여 탄성파 및 전기탐사법을 적용하여 석회암 매장량 산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하여 기반암의 깊이를 계산하고, 전기 비저항 탐사법을 이용하여 석회암의 지층경계면을 조사하였다. 탐사결과 기반암의 깊이는 약 17m이며 지층경계면은 지질조사에 의한 경계면과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건설공사에 수반되는 지질조사 방법에 대한 제안 : 한반도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A Proposal of G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 Concomitant with Ground Construction : In the Light of Southeast Korean peninsula.)

  • 류춘길;김성욱;이현재;정성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92
    • /
    • 2002
  • Engineering ge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igneous rocks in southeast Korean peninsul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zoning in view of engineering geology in ground construction. For engineering geological implication, lithology, lineament structure and discontinuities were surveyed and analysed. Using constructed data, We compared geological and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de out the detailed engineering geological map. The map responses engineering characteristics such as weathering degrees, discontinuity systems of different rock types.

  • PDF

국내 지하수토양오염 조사 및 복원에 관한 소고 (A Short Note 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Soil in Korea)

  • 이진용;이강근
    • 지질공학
    • /
    • 제14권1호
    • /
    • pp.123-130
    • /
    • 2004
  • 최근에 들어 국내 지하수토양환경의 오염에 대한 사건기사가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빈번히 보도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우리나라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적합한 지하수토양환경오염의 조사 및 복원방법에 대한 연구(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과 수자원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등)가 국공립 연구소 및 각급 대학의 관련학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중략)

부산 신항만 건설현장의 채석장에 대한 지질공학적 고찰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for the Quarry Loc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ew Susan Harbor)

  • 최정찬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359-368
    • /
    • 2003
  • 현재 건설중에 있는 부산 신항만의 매립을 위해 채석장이 가동중에 있으나, 실제 공사 중 채석된 암석이 당초 설계와는 다른 암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당초 설계와는 달리 많은 폐석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공사추진에 애로사항이 있으므로, 현장조사 및 실내작업을 통하여 지정된 채석장에 대한 전체적인 암질을 구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측량, Schimidt Rock Hammer 시험, 절리간격조사를 시행하였고 실내에서 DIPS 및 Rockwork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절리의 방향성 및 발파 후 암괴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지역에는 절리밀도가 높아 토석 채취시 ${\Phi}100mm$ 이하의 필터사석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층이 토목구조물에 미치는 영향과 지반조사(사례 중심으로) (Influence of fault on civil structure and geotechnical investigation (Case Histories))

  • 박남서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13-133
    • /
    • 2000
  • 토목 구조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의 역할은 대상 구조물의 최적 위치를 설정하는 일에서부터 시공 방법의 선정이나 안정성을 확보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간 생활 환경의 확대에 따라 불리한 지반 조건에 공사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다양하고 복잡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해서는 토목 시공뿐만 아니라 지반 자체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여러 가지 지질 구조 중 토목 구조물의 안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단층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각 사례에 있어서 단층에 대한 대책을 분석, 요약하였다.

  • PDF

청송 주왕산 페퍼라이트의 산출상태 및 형태학적 특징 (Occurrenc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perite in Mt. Juwang, Cheongsong)

  • 우현동;장윤득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2호
    • /
    • pp.97-105
    • /
    • 2014
  • 청송 주왕산 화산암체의 최하부층인 대전사 현무암에서 산출되는 페퍼라이트는 화성활동과 퇴적작용의 동시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 조사와 이미지 분석, 편광현미경 분석, XRD 같은 실내 조사를 통해 주왕산 페퍼라이트의 형태를 분류하고 형성과정을 유추함으로써 반응 메커니즘과 고환경을 연구하였다. 야외 조사 결과, 하부에서는 구형, 중부에서는 아각형, 상부에서는 불규칙형 페퍼라이트가 대표적으로 나타나며, 노두 규모에서 페퍼라이트 영역은 판상형, 유동형 그리고 공급통로형의 특징적인 구조로 산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퍼라이트의 형태는 마그마 또는 용암과 퇴적물의 종류에 의해 좌우된다고 연구되어 왔지만, 동일한 공급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로 페퍼라이트가 산출되는 것은 형성과정이 단일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메커니즘의 복합적인 결과임을 나타낸다. 상하부에 따른 변화 중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 퇴적물비로부터 생성 당시 모퇴적물의 공급량이 페퍼라이트의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의 자력탐사 (A Review of Magnetic Exploration in Korea)

  • 박영수;임무택;임형래;구성본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3-20
    • /
    • 2008
  • 자력탐사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물리탐사법으로서, 우리나라에도 비교적 일찍 도입되었다. 일본 강점기에도 지구자기장을 관측하였고, 광상조사와 온천조사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전쟁의 혼란이 끝난 1950년대 중반부터 산업화를 위한 우라늄, 철광을 비롯한 금속 광물자원, 석탄 그리고 지하수 등을 대상으로 자력탐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1970, 80년대는 물리탐사 전문 인력이 많이 배출되었고, 탐사 장비가 현대화 되어 탐사, 자료처리 및 해석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광업의 쇠퇴는 자력탐사를 비롯한 물리탐사의 관심이 전통적인 광물, 에너지 자원에서 새로운 지하자원으로 대두한 지하수, 지열 등으로 옮겨갔다. 또한 1990년대 이후 등장한 부지평가, 지반조사, 지하 매장물, 환경오염 등의 토목.환경 물리탐사라는 새로운 문제에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 PDF

GIS를 이용한 포항시 지형 및 지질과 지하수 산출능력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Geology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at Pohang using GIS)

  • 이사로;김용성;김남진;안경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115-13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지역에서 지형 및 지질과 같이 지하수계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하수 산출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형고도, 지형고도차, 단위 지형경사, 광역 지형경사 등의 지형에 관련된 인자, 수문지질단위와 투수량계수(transmissivity), 비양수량(specific capacity), 양수량(well yield) 등의 지하수 산출 특성 인자를 공간 DB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형, 지질과 지하수 산출특성 자료들과의 상관관계를 GIS 중첩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정략적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수문지질단위의 투수량계수는 미고결퇴적물과 다공질화산암류에서 가장 높고, 쇄설성 퇴적암류에서 가장 낮았다. 지형고도와 지형고도차는 투수량계수와 비양수량에 대해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단위 지형경사와 광역 지형경사는 투수량계수와 비양수량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