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materials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3초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Its Applica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배창호;김정길;김해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41-252
    • /
    • 2002
  • Field learning have not well performed in elementary school for various reasons, in spite of the benefits of field study. Absence of suitable geological field courses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s one of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the field geology in Hampyeong region and apply them to the geological related units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5 observation sites for the field geology learning in study area include various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 such as granite, gneiss, conglomerate, sandstone, mudstone, plant fossil, fold, fault and weathering phenomenon changing rocks to soil. This study area is suitable place for the field geology learning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Kwangju and Chonnam province because of convenience access, fresh outcrops and distribution of various geological learning materials as rocks and structure.

  • PDF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해경;이경학;나경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4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7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23명, 비교집단은 24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및 기존에 비치되어 있는 암석과 화석표본 또는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소인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및 관심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자료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되어야 하고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 교사교육의 기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실내에서 지역의 지질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분포하는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야외학습으로 연결할 경우 야외 지질학습 활동의 준비단계 활동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CP/AES에 의한 지질시료 중의 희토류원소 분석 (Determi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USGS Geological Materials by ICP/AES)

  • 김정석;최광순;박용준;지광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8-81
    • /
    • 1995
  • 지질시료 중의 전 회토류원소들을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법을 이용하여 동시 및 개별정량하였다. 시료는 산처리 및 알칼리 용융으로 분해하고 TOPO(triocylphosphine oxide)를 이용하여 용매추출한 다음 HCl 용액으로 역추출하여 군분리하였다. 표준암석 AGV-1에 대한 분석결과는 US Geological Survey 및 다른 문헌상의 결과와 비교하여 양호하였다.

  • PDF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Need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4-197
    • /
    • 2019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를 통해 지질 관련 학습은 직접 체험이 가능한 형태가 학습의 높은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태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지질 관련 학습 단원의 직접 체험은 야외 지질 학습으로 지역화 자료 개발의 기본이며 핵심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이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불어 초등학교 지질 관련 단원을 학습할 수 있는 지질 장소가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지질 관련 지역화 자료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 야외 지질 학습장이 개발된 일부 지역도 학습 장소만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인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부분은 지질관련 연구자뿐만 아니라 지역에 근무하는 현장교사들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부분이다.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은 교과서의 지질 단원에 제시되고 있는 자료의 수준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교과서 자료와 개발된 지역화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는 수업의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야외 지질 학습장을 개발할 때에는 학습자들의 지질과 관련된 경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체험-사후 활동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특이 지역 환경에 대한 야외 학습 연구 -초등과학 지질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eld Trip of Specific-Region Environment -Focus on 'Geological Unit' of Elementary Science-)

  • 홍승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3호
    • /
    • pp.1-12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ways to develop field trip or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environment of Jeju seashore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field trip. To perform these purposes, the contents and concepts were analyzed from environment-related 'geological unit'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fterwards, the places having the geological features in coincidence with them are chosen, and investigated, and these regions can develop into geological teaming places for field trip. Each teaming spot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 geological environment of rock shore, gravel shore, sand shore, shellfish shore, and tideland shore among Jeju shores. When field trip is conducted at the preparatory stage, students can get advance knowledge on geological concepts from textbook. The activity record paper is presented at the field trip stage where students observe geological phenomena on their own. After field trip is finished, the summary stage is given to solve som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observed contents. The developed data from this research have its regional limits, but is surely useful for teachers who try to plan field trip when they especially choose the right field trip spots, or plan to make the process for field trip prepar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more, with this survey and activities, students can take the chanc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on environment of Jeju seashore.

  • PDF

국내 건축자재에 함유된 석면의 함량에 대한 X-선회절분석 연구 (Asbestos Determination of Some Domestic Building-Materials Using X-ray diffraction)

  • 황진연;이효민;오지호;박기남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9-131
    • /
    • 2011
  • 대표적인 일부 건축자재의 석면 함량을 일본공업표준법 (JIS)에 따른 X-선회절분석으로 측정하였고, 분석과정에서의 광물학적 성분변화와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국내의 슬레이트, 벽재, 천장재의 대표적인 건축자재에 대해 석면 함량을 정량한 결과, 슬레이트 시료가 6.87~6.93%의 온석면을 함유하여 가장 많은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다른 건축자재들에서도 1.35~3.98%의 범위로 다양한 양의 온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부 건축자재의 석면 함량에 대한 X-선회절방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이런 방법을 통하여 국내에서 최근에 개정된 규정(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제2007-26호)에서 규정한 석면의 허용기준량 0.1% 함량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료에서 온석면과 함께 투각섬석이 소량 수반되고 있음이 나타났으나, 이들의 결정형태와 그 함량과 지질학적 산출상태 등으로 보아, 석면 활용의 목적으로 첨가한 것이 아니고 온석면에 본래 수반되었던 볼순광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X-선회절분석으로 석면상과 비석면상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보조적인 관찰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사용한 X-선회절분석 방법에서는 가열처리와 산처리에 의한 소실율이 많아 석면의 농집도가 높은 건축자재 시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60° 3D 파노라마 기술을 적용한 VFT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60° 3D Panorama Technique)

  • 김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3-205
    • /
    • 2015
  • In this study, a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VFT) learning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s was developed to learn about the Gongju city 7 area located in Chungcheongnam-do, Korea. The developed $360^{\circ}$ 3D VFT program can show every face of observational points and interact as zoom-in, zoom-out and image rotation.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erials, it is provided with a compass, a protractor, enlarged images, pop-up windows, etc..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of 35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90% or more. When geological field trip problems like cost, safety, distance occur in geological learning procedure of middle school science, this VFT program can become as a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 and a solution.

지질 자료의 수요조사 및 상관성 분석 (The Demand Survey and Correlational Analysis for Geological Data)

  • 황재홍;지광훈;한종규;연영광;류근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0-72
    • /
    • 2007
  • 지질정보의 중요성은 일반적으로 국가SOC건설, 지하공간개발, 에너지자원개발 뿐 만 아니라 광해, 지반침하, 산사태와 같은 환경 재해 관련 분야에도 중요하다. 지질정보는 산업 원자재 개발, 국토관리 및 생활복지증진에 상당히 유용하지만 국가 규모로 지질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통합된 공공 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첫째, 지질자료에 대한 일반전문가용 설문통계분석 둘째, 지질자료에 대한 공공기관용 설문통계분석, 마지막 세 번째로, 지질정보 정보화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을 연구하였다. 지질정보 수요조사 결과, 우리는 지질관련 자료들의 수집 및 유통, 주제도 작성 그리고 지질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법과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통합 체계 구축과 국가차원의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지질정보관리체계의 국가적 통합에 대한 향후전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