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y and geology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18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제시된 '한반도의 지질' 내용 비교: 지구과학 II 및 한국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Content related to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Earth Science II and Korean Geography Textbooks)

  • 박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6-252
    • /
    • 2023
  • 지구과학 II 및 한국지리 교과서는 '한반도의 지질'과 관련된 내용을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 연구는 지구과학 II 및 한국지리 교과서에 제시된 '한반도의 지질' 관련 내용의 차이를 분석하고, 차이가 있다면 최신 과학 지식과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발간된 교과서 7종(지구과학 II 4종, 한국지리 3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한반도의 지체구조, 지질 연대 자료 및 지질시대별 지질학적 특성의 설명 텍스트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반도의 지체구조와 관련된 용어, 명칭, 분포 범위에서 교과서 간에 불일치 사례가 발견되었다. 한반도의 지질 연대 자료도 불일치 사례를 보였는데, 한국지리 교과서의 경우 오래된 자료를 인용하여 최신 과학 지식과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반도의 암석 분포', '평안누층군의 특징', '고생대의 대결층'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서 불일치 사례가 발견되었다. 지구과학 및 지리 교과는 중복되는 내용 요소가 많기 때문에 교과 간의 내용 차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신의 과학 지식을 반영한 적절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A Toposequence of Soils in the Karst of West-Central Florida, U.S.A

  • Banker, Laura;Reeder, Philip;Brinkmann, Robert
    • 동굴
    • /
    • 제42권2호
    • /
    • pp.41-63
    • /
    • 1995
  • An abundance of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soil horiz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Several methods can be used to gather and analyze this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nd statistical analysis, a soil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with a great deal of scrutiny. Four soil pits were excavated in Citrus County Florida an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master horizon. Through the u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se samp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unique, as well as homogeneous featur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soil profile designated Old Pit was different than other profiles because of landscape position and variations in parent material. Landscape position (ie. slope position) also influenced the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soils in the other three profiles(Profile 1, 2 and 3).

  • PDF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산정부의 식생과 경관 특성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Peaks of Mts. Seorak, Jiri and Halla)

  • 공우석;김건옥;이슬기;박희나;김현희;김다빈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01-414
    • /
    • 2017
  •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three highest summits of Republic of Korea, i.e. Seoraksan, Jirisan and Hallasan,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species composition, physiognomy,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alpine plants, along with landform, geology, soil and habitat conditions. Dominant high mountain plants at three alpine and subalpine belts contain deciduous broadleaved shrub,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31.6%), and evergreen coniferous small tree, Pinus pumila (26.3%) at Seoraksan, deciduous broadleaved tree, Betula ermanii (35.3%), evergreen coniferous tree, Picea jezoensis (23.5%) at Jirisan, and evergreen coniferous tree, Abies koreana (22.6%), deciduous broadleaved shrub,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19.4%) at Hallasan, respectively. Presence of diverse landscapes at the peak of Seoraksan, such as shrubland, grassland, dry land along with rocky areas, and open land may be the result of hostile local climate and geology. High proportion of grassland and wetland at the top of Jirisan may related to gneiss-based gentle topography and well developed soil deposits, which are beneficial to keep the moisture content high. Occurrence of grassland, shrubland, dry land, conifer vegetation, and rocky area at the summit of Hallasan may due to higher elevation, unique local climate, as well as volcanic origin geology and soil substrates. Presences of diverse boreal plant species with various physiognomy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and wide range of landscapes, including rocky, grassland, shrubland, wetland, and conifer woodland, provide decisive clues to understand the natural history of Korea, and can be employed as an relevant environmental indicator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tability.

1884년 곳체(C. Gottsche)의 조선 기행과 그 지리적 의미 (C. Gottsche's Journey through Korea in 1884 and Its Geographic Implications)

  • 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739-759
    • /
    • 2016
  • 독일인 지질학자 카를 곳체(C. Gottsche)는 1884년 당시 조선의 통리아문 협판이던 묄렌도르프의 초청을 받아 한반도 내륙을 조사하였다. 그는 138일에 걸쳐 2,550km의 거리를 주파했는데, 귀국 후 당시 답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의 지리와 지질에 관한 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들은 근대 지리학과 지질학을 정식으로 훈련을 받은 야외과학자가 한반도 전역을 실제로 답사하고 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지구과학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가 쓴 3편의 논문 중에서 특히 "조선의 지리(${\ddot{U}}ber$ Land und Leute in Korea)"(1886)는 조선의 지질과 광물에 주목한 다른 2편의 논문과는 달리, 야외과학자의 눈에 비친 조선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이 논문이 지닌 사료적 가치도 높다. 이 논문은 아직 국내 학술논문에 소개된 바 없어 19세기 말 서구인들의 조선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료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지리학 문헌이다.

  • PDF

중국의 한국지리 연구동향 (Trend of Research on the Korean Geography in China)

  • 김석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24-832
    • /
    • 2004
  • 본문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중국학자들의 한국에 대한 연구논문과 단행본을 토대로 학문 일반의 연구동향과 지리학 분양의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문일반의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기관이 많이 신설되었다. 둘째, 연구 간행물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셋째, 새로운 연구 성과가 속출하고 있다. 넷째, 학술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지리학에 관한 연구에서는 자연지리학보다 인문지리학에 대한 연구가 많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지질과 지진 및 자연자원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인문지리학에서는 경제지리학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연구 주제가 적고 이론에 입각한 연구가 적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앞으로 중국 지리학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력하는 한편 한국 지리학계에서도 중국에 한국의 지리학을 알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북한의 지질학 연구활동 분석 (An Analysis of Geological Research Activities in North Korea)

  • 김성용;윤성택;허철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4호
    • /
    • pp.373-378
    • /
    • 2002
  • Among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North Korean Academy of Sciences, geology occupies about 10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departments. An analysis of major geologic research fields in North Korea,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s of 2000-200l publications in a representative journal "Geology and Geography", shows the proportions as follows: mineralogy and petrology (31.0%),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12.3%), economic geology and geochemistry (11.6%), geophysics and structural geology (14.2%), and applied geology (31.0%). This proportion is similar to that in South Korea in 1960s and shows that geologic research activity in North Korea is concentrated for the purpose of mineral resources exploration. The academic collabo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near future should include the researches on the reconstruction of geologic history i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nd the environmental restoration from mining-related environmental pollution in North Korea. For active academic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efforts to overcome the academic gap are requisite. Frequent joint symposia, interchange programme of post-doctoral fellows, and cooperative researches on specific topics are recommended for this effort.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The Advent of Earth Science and the Change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1950s)

  • 안종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98
    • /
    • 2011
  •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 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서해안 및 남해안의 해안단구 연구와 융기율 (Study on Coastal Terrace and Uplift Rate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South Korea)

  • 박충선;김유홍;남욱현;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62
    • /
    • 2018
  • This study tries to reveal uplift rates inferred from relative and absolute ages on coastal terrace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South Korea. Uplift rate from relative ages on Pleistocene coastal terrace in the West Coast rangesfrom approximately 0.059 to 0.282 m/ky, while a range of approximately 0.020~0.385 m/ky is calculated from the South Coast, suggesting that the South Coast shows higher rate than the West Coast. Based on absolute ages on coastal terrace during MIS 5 in the South Coast, on the other hand, the uplift rates 1 and 4 have ranges of approximately 0.042~0.062 m/ky and 0.051~0.087 m/k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uplift rate in the South Coast is one-third to one-fourth to that in the East Coast. No research on absolute ages in West Coast terrace and lack of relative and absolute ages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are considered as the limit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