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features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3초

Drupal 기반 맵 응용 생성기 (MapAppGen) : 맛집탐방 응용 생성 사례 (Drupal-based Map Application Generator(MapAppGen): an Application Generation Example for Famous Restaurants)

  • 음두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3호
    • /
    • pp.229-236
    • /
    • 2012
  • 웹과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맵 응용에 대한 수요가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급증하고 있다. 웹 기반 맵 응용들은 대부분 ArcGIS와 같은 값비싼 개발 환경이나 MapServer와 같은 공개 개발 환경에서 작성되고 있고 모바일 맵 응용들은 Google Maps나 Yahoo Maps와 같은 API 수준에서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 환경들은 자동화 지원 정도가 미약하여 맵 응용 개발의 많은 부분이 아직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가 설계하고 구현한 MapAppGen은 신속한 웹 기반 맵 응용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해 Drupal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에 적용 가능한 맵 관련 모듈들을 생성해 줌으로써 맵 응용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MapAppGen으로 생성한 응용은 Drupal이 지원하는 기존의 GMap이나 NodeMap이 생성한 응용에 비해 관심의 대상인 지형/지물과 함께 이 지형/지물과 연관된 모든 정보를 검색해 표시한다. MapAppGen은 Google Maps API를 사용하며 Drupal은 컨텐츠의 생성, 구성, 관리를 지원하는 모듈 기반 시스템이다. 향후, MapAppGen을 확장하여 모바일 맵 응용의 자동 생성도 지원할 예정이다.

SAR/VIR FCC에서 삼각 트레이닝 도구에 의한 분류정확도 분포추세 평가: 태국의 송클라 호수 유역을 사례로 (Evaluating Distribution Trends of Classification Accuracy by Triangular Training Operator in SAR/VIR FCC : A Case Study of Songkhla Lake Basin in Thailand)

  • Jung Sup Um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5-388
    • /
    • 2003
  • SAR와 VIR 영상을 디지털 환경에서 통합하여 상승효과를 도출하려는 응용은 아직까지도 탐색적인 연구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SAR와 VIR을 통합한 영상에서 삼각 트레이닝 도구가 개별 클라스의 분류 정확도의 분포추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SAR 데이터와 VIR 데이터가 단일 시너지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통합되었다. 분류정확도의 향상과정이 SAR, VIR, SAR/VIR 통합영상에서 단계적으로 확실하게 도출되었다. 아울러 개별 클라스의 분류정확도가 FCC에 의거한 트레이닝 샘플의 신호(signature)값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분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 예로 FCC에서 SAR 영상 신호(signature)의 기여 때문에 구름으로 덮힌 지역과 굴곡을 지닌 지상물체가 (VIR에서는 사실상 분류가 불가능하였던) 상당한 공간 정확도를 가지고 분류되었다. 본 연구가 SAR/VIR을 통합한 응용분야에서 분류정확도의 분포추세에 대한 정량화되고 객관적인 근거가 부재하여 직면하였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SAT/VIR 원격탐사에서 개별 클라스에 대해 확보할 수 있는 분류 정확도에 대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실내디자인 분야의 교육현황 분석 - 4년제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Interior Design in Korea - Focused on the Curriculum of 4 year Universities)

  • 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3-13
    • /
    • 2003
  • Now that 15 years have passed since its introduction to 4 year college in Korea and we have 51 majors in the field of Intoner design established at 47 universities as of 2003, we are in the position to seek the improvement of its educational qualify. With a view to provide data for the setup of proper educational purpose, it has classified their divisions(departments) according to their major names and belonged colleges of the universities and considere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s, groupings of curriculum, their framing and features of a standard curriculum. 1)Divisions of the universities where the major of interior design belong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design division (design 8t arts, arts), home economics division (home economics, natural science) and architectural di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jor, universities to which circumstances permit are recommend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college of interior design following the . cases in the US. 2) Geographical preponderance of interior design major on Seoul and Gyeongsang Province is desired to be improved. 3)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which is classified into introduction, history of interior design, theory of interior design, design of interior space, digital technology, design elements of inner space, technology of interior design, behavior of environmental psychology, design management and other subjects, was made into a table by divisions. To sum up,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ncentrates on basic design theory throughout all divisions.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ion of division by high school-graduates or their parents, design division is recommended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design elements and design management, home economics division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space design and behavior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architectural division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Interior space design, interior design technology and regulations. 4)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desirable curriculum for the interior design education, thus upgrading the education level of the major in Korea.

경남 거창분지 정창리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편년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y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Jeongjang-ri, Geochang basin, Gyeongnam Province)

  • 황상일;강창혁;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9
    • /
    • 2011
  • 대자율 및 입도 분석, OSL 연대측정, 주원소, 희토류 및 미량원소 분석을 통해 거창 정장리 뢰스-고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거창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입도 특성은 하안단구를 형성하는 하천퇴적층 그리고 중국 뢰스고원과는 차이를 보인다. 뢰스-고토양 층서 가운데 L1과 L1L1은 MIS 2, L1S1은 MIS 3, L1L2는 MIS 4, S1은 MIS 5, L2는 MIS 6에 대비되므로 거창단면이 위치하는 하안단구는 MIS 7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MIS 3 시기에 남부지방이 중부지방보다 더 온난습윤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원소와 희토류 원소, 미량원소 조성은 거창의 뢰스-고토양이 중국 뢰스고원보다 풍화가 더 많이 진행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에서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이것은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조화된다.

Bandsharing Values and Genetic Distances of Two Wild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opulations from the Yellow Sea Assess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Polymerase Chain Reaction

  • Yoon, Jong-Man;Kim, Yong-Ho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23
    • /
    • 2004
  • Genomic DNAs were extracted from the muscle of twenty-two specimens of two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fippinarum populations collected in Anmyeondo and Seocheon. Genetic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populations were analys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polymerase chain reaction (RAPD-PCR) using twenty arbitrary decamer primers. Out of 20 primers, 6 generated a total of 1,111 major and minor RAPD bands from individuals of two sites, producing approximately 4.2 average polymorphic bands per primer in individuals from Anmyeondo and ranging in size from less than 50 to larger than 1,500 base pairs (bp).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of RAPD products amplified showed moderate levels of similarity among the different individuals in Seo-cheon population. The average bandsharing values (BS value) of the samples within population from Anmyeondo ranged from 0.155 to 0.684, whereas it was 0.143∼0.782 within population from Seocheon. The average BS value between individuals No. 13 and No. 14 from Seocheon was 0.782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from Anmyeondo. The single linkage dendrogram resulted from three primers (OPA-08, -09 and -20), indicating six genetic groupings composed of group 1 (No.4, 8 and 10), group 2 (No. 18), group 3 (No.2, 5 and 7), group 4 (No. 1, 3, 6, 9, 11, 12, 13, 14, 15 and 17), group 5 (16, 19 and 20) and group 6 (No. 21 and 22). In the Seocheon population, the individual No. 18 clustered distinctly from the others of this population. The observed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two populations from Anmyeondo and Seocheon was more than 0.209 (0.247 and 0.275).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0.094)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No. 13 and No. 14. Especially,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No. 22 and the remnants among individuals in two geographical populations was highest (0.275). This result illustrated that individual No.22 is distinct from other individuals within two shortnecked populations. The different geographical features of two sites may have caused the genetic diversity in two shortnecked clam populations.

신안심몰고선목재(新安沈没古船木材)의 수종(樹種)(I) -선체구성(船體構成) 목질유물(木質遺物)- (Identification of the Woods on a Sunken Old-ship in the Offing of Sinan County(I) -Woody relics of the hull construction-)

  • 박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31-41
    • /
    • 1984
  • 신안심몰고선(新安沈沒古船)의 선체(船體)를 구성(構成)하고 있는 목재(木材)의 수종(樹種)을 목재조직특징(木材組織特徵)으로 식별(識別)하고 해당수종(該當樹種)의 현존(現存) 분포지역(分布地域)을 기술(記述)하였다. 주요(主要) 선체구성목재(船體構成木材)인 외판(外板), 격벽(隔璧), 조판(助板), 현장(舷墻), 갑판(甲板), 용골(龍骨) 등(等)은 마미송(馬尾松)(중국적송(中國赤松))인 반면(反面), 선체포판(船體包板)은 넓은잎 삼나무로써 모두 장자강이남(場子江以南)에 분포(分布)하는 중국특산수종(中國特産樹種)이었다. 그외 현장지주(舷墻支柱)와 목조(木槽) 가름대에서는 녹나무류(類)와 초록나무류(類)가 식별(識別)되었으며, 분포지역(分布地域)은 중국남부(中國南部), 한국남해안(韓國南海岸), 일본열도(日本列島) 등(等)이다.

  • PDF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 코워킹 스페이스 (Coworking Spaces Being a Creative Community in a Region)

  • 정수희;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2-311
    • /
    • 2020
  • 코워킹 스페이스는 지역의 창업 및 혁신공간의 조성과 인구 유입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개념과 특징을 구체화하고,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코워킹 스페이스의 여러 유형을 살펴보았다. 일본과 한국의 중소도시에 소재하거나 계획 중인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로컬지향의 코워킹 스페이스만의 차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융합공간이자 지역혁신의 장으로서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고, 근무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지역의 코워킹 스페이스는 대안적 근무·여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의 기능과 방향성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이 공간을 통해 지역에는 새로운 삶과 근무형태를 희망하는 창조 인력이 유입되고 지역 사회의 잠재력을 활용할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독일의 실업문제와 지역노동시장정책 (Mass Unemployment and Local Labour Market Policy in Germany)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83-102
    • /
    • 1999
  • 본 연구는 독일의 실업추이와 그 공간적 전개과정, 그리고 이에 대응한 국적적.지역적 차원의 노동시장정책을 고찰한 것이다. 전후 장기 붐을 통하여 1960년대 말 완전고용을 이룩한 구서독은 70, 80년대에 거치면서 실업문제에 직면하고, 특히 90년대에 들어 통독에 따른 구조조정과정에서 대량 실업사태를 겪게 되었다. 그 동안 이러한 고용문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인식변화와 일반적 실업대책의 한계, 그리고 노동시장정책의 시행에 있어 지방정부에의 의존 등으로 말미암아 노동시장정책의 권한과 주도권이 지방자치단체로 점차 이양되어 왔다. 독일의 지역노동시장정책의 특성은 고용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네트워크화하여 합의에 바탕으로 한 정책의 의사결정 및 추진력을 제고하고, 기존 정책수단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시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며, 국지적 노동시장여건에 고려한 목표지향적 정책스펙트럼을 구성하는 데서 찾아 볼 수 있다.

  • PDF

조선산업 구조조정과 지역사회 협력구조에 관한 연구 -거제시 신현읍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Structure of Community Cooperation - The Case of Sinhyeon-eup in Geoje, Korea -)

  • 우연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02-415
    • /
    • 2005
  • 본 연구는 조선산업의 구조조정과 지역사회 협력구조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신현읍은 조선 대기업의 입지로 급격한 사회$\cdot$경제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우리 나라보다 먼저 구조조정을 경험한 일본의 경우, 분업화와 집적화를 통한 조선산업의 입지구조재편과 기업-지방정부-지역주민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우리나라 조선산업 구조조정은 대기업의 경영환경 개선이 핵심이었기 때문에 기업간$\cdot$지역간 집적화나 협력구조가 정착되지 못하였다. 기업과 지역사회의 유기적 협력구조가 대규모 구조조정 이전에 구축된 일본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 조선산업도시는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사회의 위기의식에서 기업-지역사회 협력구조가 출발하였다. 조선 대기업이 입지한 신현읍 지역은 중핵기업을 중심으로 구축된 생산영역간 연결고리는 회고하지만, 지역사회 협력구조는 미약한 현실이다. 기업, 공공기관, 지역주민, 지역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로컬 거버넌스로서의 지역사회 협력구조는 지역사회의 응집력 강화뿐만 아니라, 산업도시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항공사진의 질감 분석을 통한 김녕사구지역의 지형지물 추출 (Feature Extraction in an Aerial Photography of Gimnyeong Sand Dune Area by Texture Filtering)

  • 장은미;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9-149
    • /
    • 2006
  • 국내에서 해안사구의 생성과정 및 생물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누적되어 왔지만 원격탐사방법을 이용한 분석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준으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다. 사구지역 범위 추출을 위한 적합한 질감분석방법을 찾아보기 위하여 제주도의 김녕사구지역을 대상으로 영상분석, 야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사구는 내륙으로 깊숙이 발달하고 있으며 현무암 돌담의 색채와 대비되어 단순 영상분류 분석보다는 질감분석을 적용할 경우 뚜렷한 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상은 전처리 과정 이후에 Erdas Imagine과 ENV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과 히스토그램 분석, 형태적 특성과 질감의 최고값에 대한 비모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은 농촌지역과 사구지역에 비해 질감의 변화가 폐합된 작은 폴리곤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사구지역은 도시지역과 유사한 높은 질감 변화값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갖는 반면에 폐합된 폴리곤의 크기는 농촌지역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는 이중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이패스필터적용 이후 생성된 사구지역의 폴리곤의 장축과 장축에 대한 단축의 비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비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이패스필터와 동일성 필터를 적용한 사례가 가장 효과적으로 도심지와 사구지역을 구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