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chemic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6초

Hydrogeochemical processes and behavior of nitrate in an dlluvial aquifer: A preliminary result from Cheonan area, Korea

  • Kim, Kyoung-Ho;Yun, Seong-Taek;Choi, Byoung-Young;Kim, Kang-Jo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97-99
    • /
    • 2004
  •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processes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nitrate and other agricultural constituents in an alluvial aquifer, hydrogeological and hydro ge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an agricultural area within Cheonan. In this selected field, nitrate concentrations were very wide in range but was locally attenuated significantly down to very low levels (<1.0 mg/L). Abrupt removal of nitrate coincided with the pattern of redox change and thus indicated that geochemical processes occurring during and after recharge events control th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nitrate and other redox-sensitive chemical species.

  • PDF

화순천의 퇴적환경 및 퇴적물과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Sedimentary Environment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River waters, Hwasun-cheon)

  • 오강호;고영구;김주용;김해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9호
    • /
    • pp.881-895
    • /
    • 2002
  • Sediments and river waters form the channel of Hwasun-cheon were studied in sedimentological size and geochemical analyses of metallic elements for the purposes of identification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sizes of sediments are assigned to pebble to coarse sand in mean size and polymodal in distribution. And the sediments are poorly to very poorly sorted and positively skewed. According to the grain size distributions of the sediments, the Hwasun-cheon belongs to gravel-bed river on the basis of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sediments. The behaviors of metallic elements in the sediments mainly depend on not grain size distribution but the geology connected with geomorphological reliefs near the stream. Contamination indices(CI) of Zn, Cu and Pb are 2.83 to 6.96 with average 4.31 in the sediments. Hwasun-cheon is assigned to general stream type in accordance with water quality of physical factor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y Piper's diagram. Though meaningful values of BOD, T-N, T-P were locally depicted near Masan-ri, Hwasun-eup and Jiseok-cheon areas, artificial metal concentration do not represent in the most area of the stream. Sediments and river water are considered that the relatively more or less high metallic contents in the stream are originated from coal mine and urban area.

폐광산 인근지역에서 중금속, 비소, 안티모니의 지구화학적 오염도 평가 및 분산 특성 조사 (Geochemical Contamination Assessment and Distribution Property Investigation of Heavy Metals, Arsenic, and Antimony Vicinity of Abandoned Mine)

  • 김한겸;김범준;고명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717-726
    • /
    • 2022
  • 이 연구는 폐금·은광산 주변의 토양과 수계에서 비소(As), 카드뮴(Cd), 구리(Cu), 납(Pb), 안티모니(Sb), 아연(Zn)의 지구화학적 분산 특성을 확인하였다. 토양시료 내 각 원소의 지구화학적 오염도는 enrichment factor (EF), geoaccumulation index (Igeo), pollution load index (PLI)와 같은 지화학 지수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계의 지구화학적 오염도는 광물찌꺼기 적치장에서부터 거리에 따른 중금속 및 황산염(SO42-)의 농도 변화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지화학 지수를 이용한 토양의 오염도 평가 결과 광산 및 광물찌꺼기 저장시설과 가까운 지역에서 As, Cd, Pb, Zn의 농축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Sb는 모든 토양시료에서 높은 농축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산 활동으로 대표되는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주변의 토양으로 중금속의 분산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수계에서 중금속 농도 및 SO42-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특정 지점에서 As, Cd, Zn, 그리고 SO42- 농도의 이상점이 나타났으며, 거리에 따라 점차 각 원소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수계의 오염이 광물찌꺼기 적치장과 그 인근의 황화광물의 풍화에 기인한 것을 의미한다. 조사를 수행한 지역에서는 과거에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사업이 진행되었지만, 그 이후에도 잠재적인 오염원인 광물찌꺼기 적치장 인근에서부터 오염이 다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복원을 완료한 지역에서도 토양과 수질시료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화학 자료의 확률론적 불확실성 및 위험성 분석을 위한 지시자 지구통계학의 응용 (Application of Indicator Geostatistics for Probabilistic Uncertainty and Risk Analyses of Geochemical Data)

  • 박노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1-312
    • /
    • 2010
  • 지화학 자료는 환경 관리를 위한 중요한 환경 변수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지화학 자료는 보통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수집되기 때문에, 샘플링 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속성값 예측과 더불어 부가적인 분석을 위해 예측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지시자 지구통계학이 지화학 자료의 공간적인 분포값의 제시뿐만 아니라 의사결정을 보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고자 한다. 카드뮴 자료의 추정사례 연구를 통해 확률론적 불확실성 모델링, 위험성 분석 등 지구통계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지시자 크리깅을 통해 조건부 누적 분포 함수를 모델링한 후에, 기대값 추정치와 조건부 분산을 카드뮴의 추정값과 정량적 불확실성 추정을 위해 각각 계산하였다. 그리고 확률 임계치와 속성 임계치의 적용을 통해 오염/비오염 지역을 구분하였다. 또한 조건부 분산과 속성값과 임계치값의 차이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변동 계수를 통해 추가적인 샘플링 지점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지시자 지구통계학적 분석 틀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의사 결정과 관련하여 지화학 자료를 포함한 환경 변수의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경남부일대(聞慶南部一帶)에 분포(分布)하는 백악기(白堊紀) 화강암류(花崗岩類)의 미량원소(微量元素) 및 광물화학(鑛物化學) (Trace Element and Mineral Chemistry of the Cretaceous Granites in the Southern Mungyeong Area)

  • 윤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4호
    • /
    • pp.379-391
    • /
    • 1991
  • The studied Cretaceous granties are widely distributed at the southern Mungyeong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Ogcheon Fold Belt. From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mposi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I-type and magnetite-series and 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high oxygen fugacity. The mineral chemistry of plagioclase, alkali feldspar and biotite in the granites by EMPA, was revealed as albite to oligoclase, microcline to microcline perthite and orthoclase perthite, and annite compositions, respectively. The granites hav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nriched LREE and depleted HREE, and show Eu negative anomalies suggesting mainly due to the feldspar fractionation in the residual magma. The geochemical data of Eu, EU/$^*Eu$, Sm and Gd suggest that the granites of the area have more abundant alkali feldspar crystallization than plagioclase. From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r/Ba, La/Sm vs. Ce/Yb and other trace element evidences, the granites were the late stage products of differentiation and fractionated from a homogeneous parental granitic magma.

  • PDF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원소함량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Samcheonpo Power Plant)

  • 이두호;임주환;전병열;정년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0
  • An environmental geochemical survey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ocean of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al-ash leakage from ash pond and the associated heavy metal pollution in sedimental deposit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The X-Ray Diffractometry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leakage point of coal-ash was limited to a single site of the first ash pond. It also appeared that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metal ele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that Co, Cr, Cu, Fe, Ni, and Zn were bounded to organic ligands.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Cd, Hg, and M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diment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Cd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ate materials in the study area.

  • PDF

상동 및 울진지역 주석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 자료에 대한 다변량해석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Geochemical Data of Tin-bearing Granitoids in the Sangdong and the Ulchin Areas, Korea)

  • 전효택;정영욱;손창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37-246
    • /
    • 1994
  • Tin mineralizations in South Korea have been found only in the Ulchin and Sangdong areas. They appear to be in close spatial association with the Wangpiri granitoid in the UlChin area, and the Nonggeori and Naedeogri granites in the Sangdong area. However, previous works have reveale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geological setting,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mpositions among these granitoids concerned. The roles of discrimina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examed to establish geochemical differences among the tin-granitoids and to identify elements relating to tin mineralizations. The data set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60 observations with 29 elements which are cited from pre-existing publications. A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determined the group of variables that differentiate between samples from four training sets; Buncheon, Wangpiri, Nonggeori and Naedeogri granitoids. These granitoids were most effectively discriminated on the basis of major elements FeO, CaO and $P_2O_5$ and also by the trace elements Rb and Zr.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Sn in granitoids depends positively on ones of MnO, Rb and FeO and negatively $P_2O_5$. Graphical representation of discriminant scores on sampling locations greatly aid recognition of differences i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of granitoids examed. The application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provides a potential means of identifying and comparing geochemical characteristics.

  • PDF

대기 중 납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한 고찰 (Some Speculations on Mechanisms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Lead in the Atmosphere)

  • 김기현;김동술;이태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1-174
    • /
    • 1997
  • To provide better insights into the factors and processes regulating the geochemical behavior of airborne lead (Pb), we have investigated several important aspects of i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yung Hee University-Suwon Campus during 1989 through 1994. Although the Pb data in the area reflected the effects of many anthropogenic activities ongoing in the area, the data were quite useful to assess the geochemical facets affecting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lead as well as particulate matter (PM). The analysis of these data indicated that the Pb patterns were characteristic of enriched Pb levels during odd-numbered years relative to even-numbered years, while those of PM were exhibiting pronouncingly different patterns. Despit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und between year-to-year distribution patterns, of Pb data, it was possible to discuss the facts associated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in the years 1991 and 1993 via normalization of Pb against PM data. According to this procedure,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relative enrichment in Pb levels during 1991 was due to enhanced input of PM, while that of the year 1993 came from more chemically-oriented processes such as active adsorptive scavenging of Pb onto the PM surface. Based on ou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ze-fractionated PM and Pb data sets, we propse that two distinctive mechanisms that are both of phyical (1991) and chemical nature (1993) exerted controls over the observed distribution patterns of airborne Pb in the atmosphere of Suwon.

  • PDF

회귀 수식을 이용한 지구화학적 이상분포지역 도출기법: 경기도화강암의 예 (The Methodology for Extraction of Geochemical Anomalies, Using Regression Formula: an Example from a Granitic Body in Gyeonggi Province)

  • 황상기;신성천;염승준;문상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37-147
    • /
    • 2002
  • 자연에서 일어나는 지질작용과 환경변화는 지표 지질물질 내 원소의 존재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지구화학적 이상현상이 지질기원인지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해 내는 데에 지구통계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경기도 전역의 2,290개 1-2차 수계에서 채취한 하천퇴적물(표사, <150 $\mu\textrm{m}$)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역거리 가중 보간법으로 광역 지구화학 지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남동부에 저반상으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체를 표본지역으로 선정하여, 445개 집수분지를 대표하는 하천퇴적물 시료의 22가지 원소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CO, Cf, SC, MgO, Fe$_{2}$O$_{3}$, V, Ni 등이 서로 상관도가 높은 그룹으로 구분되며, 이들의 낮은 함랑은 화강암의 전암 조성에서의 결핍 특성을 잘 반영한다. Co, Cr, Sc을 각각 종속변수로, 이들 외 다른 6가지 성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회귀식으로 계산된 값을 바탕으로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회귀식으로 만든 분포도는 각 변수의 본래 분석치로 나타낸 분포도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이와 같이 두 가지 분포도가 유사한 것은 회귀분석에 의한 통계기법이 광역적인 지구화차 자료를 해석하는 데에 타당성을 가짐을 말해 준다. 그러나, 일부 성분에서 두 가지 분포도에서 이상대 영역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기반암의 화학조성과는 무관한 이타 요인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회귀분석에 의한 지구통계기법을 적용하여, 국지적인 지구화학적 이상현상이 지질기원이 아닌 인위적인 영향에 기인한 것인지를 효과적으로 판별해 낼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전국 지화학도 자료를 이용한 지질기원 중금속의 지화학적 발생특성 (Geochemic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Geogenic Heavy Metals in Korea Evaluated Using Geochemical Map Data)

  • 안주성;염승준;조용찬;임길재;지상우;이정화;이평구;이정호;신성천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4호
    • /
    • pp.339-352
    • /
    • 2022
  • 환경 기준 항목이 증가하거나 강화되면서 지질기원에 의한 중금속 오염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토양이나 지하수의 기준치 초과양상에서 자연적 기원인지 인위적 기원인지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화학도 자료에 대한 통계적 처리와 높은 지질축적지수 분포 지역의 지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중금속 원소들의 지질기원 발생요인을 규명하였다. 지화학도가 작성된 Co, Cr, Cu, Ni, Pb, V, Zn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염기성암 또는 초고철질암에서 기원한 Co, Cr, Ni, V이 요인 1로, 비철금속 황화광물에 기인한 Cu, Pb, Zn가 요인 2로 구분되어졌다. 특히 충청지역의 사문암체 분포지역에서 요인 1에 의한 중금속 지질기원 부화현상이 주로 나타나며 이를 포함한 인근지역에서도 오염 위험이 있다. 요인 2의 경우 태백산 및 경남 광화대 등지의 비철금속 광화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의 전반적인 금-은 광화대 지역에서도 지질기원 부화현상이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