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object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초

압밀도에 따른 굴착시 흙막이벽 수평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teral Deformation of Retaining Walls during Excavation with Degree of Consolidation)

  • 변요셉;최동찬;신승진;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43-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해안인접지역에 위치하는 연약(해성)점성토지반에서 이루어지는 굴착공사의 조사, 설계 및 연약지반과 굴착공사 시공 중 계측관리를 통하여 수집된 연구지역의 실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연약점성토에 사용되는 흙막이벽과 지지공법의 선정 및 적용성, 연약지반 압밀정도에 따른 굴착공사 진행 중 변위크기와 형태 등을 관찰하고 이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의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연약지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굴착공사가 진행될 때 발생된 수평변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수치해석에 의한 변위량과 정량적인 비교를 통하여 굴착 공사시 연약지반의 압밀도가 수평변위에 미치는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압밀이 완료된 후 굴착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압밀중인 구간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60% 이하의 변위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 PDF

수학적 형태학 처리를 통한 주행 중 과속 방지턱 자동 탐지 방안 (A Study on Automatic Detection of Speed Bump by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Image Filters while Driving)

  • 주용진;함창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5-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방위 카메라(Omni-directional Camera)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Speed Bump)을 탐지하고 Vision Based Approach 통한 실시간 과속 방지턱 데이터의 갱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메라 영상정보에서 과속 방지턱을 검출하기 위해 잡음을 제거하고 이를 구성하는 형상과 패턴으로 여겨지는 점들을 우선적으로 탐지하여야 한다. 과속방지턱은 일정한 폭과 규칙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흰색과 노란색의 영역을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침식과 팽창을 이용한 형태학적 연산과 HSV칼라 모델을 적용하여 도로상의 과속방지턱을 추출하였다. 카메라에서 거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상 객체를 검출하고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SLAMs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시스템을 구현하여 탐지알고리즘과 취득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BIM 기반의 준설매립전용 Library Browser 개발 (Developing Object Library Browser for Reclamation Based BIM)

  • 이동윤;이준호;이상웅;최차석;구본효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7-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준설매립분야의 설계자동화를 위하여 준설토 투기장 설계 시 고려되는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을 대상으로 Library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개발하였다. 개발 Library는 주요 단면제원을 변수화하여 형상의 가변성 확보가 가능한 파라메트릭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작업환경에 맞게 표준횡단 및 패밀리 Library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작성된 Library를 특성별로 구분하여 객체를 관리하고 BIM 기반 모델링 작업 시 객체의 적용이 간편하도록 C# 언어를 이용하여 브라우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브라우저를 BIM 기반의 3차원 캐드 프로그램에 연동함으로써 간편하게 3차원 모델링, 도면작성 및 물량산출이 가능하고 신규 Library의 작성 및 관리 또한 가능하다.

표층처리지반에서의 반복하중재하시험을 통한 지지력 분석 (Bearing Capacity Analysis on Cyclic Loading of Soft Ground by Surface Reinforcement)

  • 곽노경;박민철;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17
    • /
    • 2012
  • 초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중장비의 안전한 주행성 확보를 위해 제일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표층처리공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표층처리공법 설계 시 건설기계의 반복적인 주행으로 인한 소성침하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층처리공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보강재인 지오텍스타일, 인장강도가 200kN/m와 100kN/m인 지오그리드와 대나무망으로 보강한 후 1.0m의 모래로 복토한 지반에서 현장 평판재하시험과 반복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각 보강재별 지지력과 거동양상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평판재하시험 결과 대나무망을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보강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BCR값이 최대 1.5배 증가하였다.

흙 입자의 흡수율을 고려한 체적함수비와 중량함수비의 관계에 관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Gravity Water Content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Through the Absorptance of Soils Particles)

  • 이형규;이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63-67
    • /
    • 2011
  • 실무에서 불포화토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불포화토의 가장 큰 특징은 체적함수비와 모관흡수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특성곡선이다. 일반적으로 체적함수비는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중량함수비를 측정한 후 관계식을 통하여 체적함수비를 구한다. 이 경우 흙의 간극과 비중을 이용하여 관계식이 성립되는데 사실 물은 흙 입자 자체에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제 체적함수비는 중량함수비를 관계식으로 변화한 값과 다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흙 입자의 흡수율을 고려하여 체적함수비와 중량함수비의 관계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서 EPS 지오폼의 회복탄성계수에 관한 적합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Resilient Modulus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as a Flexible Pavement Subgrade Material)

  • 박기철;장용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2호
    • /
    • pp.63-70
    • /
    • 2011
  • EPS지오폼은 다양한 강도, 밀도, 그리고 크기로 생산되는 일종의 화학합성물이다. EPS지오폼에 관한 근래의 발전으로 인해서, 그것의 사용은 급격하게 늘어나고있다. 이것은 초경량 재료로서 단위중량이 약 $0.16{\sim}0.47kN/m^3$ 인데, 이것은 채움재의 용도로 가장 대표적인 흙의 단위중량 $6.3{\sim}15.7kN/m^3$와 동일한 내구성을 가진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EPS지오폼에 대한 회복탄성계수 표준측정방법은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성포장의 노반에 적용될 때의 EPS회복탄성계수의 적합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적합성연구는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성포장의 노반재료로써 EPS는 실험결과의 분석과 근본적인 회복탄성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그것의 적합성을 확인해 보았다.

국지성 집중호우 감시를 위한 천리안위성 2A호 대류운 전조 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GK2A Convective Initiation Algorithm for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Monitoring)

  • 박혜인;정성래;박기홍;문재인
    • 대기
    • /
    • 제31권5호
    • /
    • pp.489-510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detecting convective initiation (CI) using GEO-KOMPSAT-2A/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data. The algorithm identifies clouds that are likely to grow into convective clouds with radar reflectivity greater than 35 dBZ within the next two hours. This algorithm is developed using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loud characteristics, such as atmospheric instability, cloud top height, and phase, for convective clouds that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June to September 2019. The CI algorithm consists of four steps: 1) convective cloud mask, 2) cloud object clustering and tracking, 3) interest field tests, and 4) post-processing tests to remove non-convective objects. Validation, performed using 14 CI events that occurred in the summer of 2020 in Korean Peninsula, shows a total probability of detection of 0.89, false-alarm ratio of 0.46, and mean lead-time of 39 minutes. This algorithm can be useful warnings of rapidly developing convective clouds in future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I that is otherwise difficult to predict from radar or a numerical prediction model. This CI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in short-term forecasts to help predict severe weather events such as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and hail.

부두 내 중력식 구조물 내진 보강을 위한 공법의 적정성 연구 (EA Study on Seismic Resistant Method for Gravity Structure in Port)

  • 나석현;이동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1호
    • /
    • pp.13-18
    • /
    • 2022
  • 본 연구는 항만 중력식 구조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분석하여, 그라우팅공법 적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항목은 액상화, 활동, 전도 및 원호활동 등으로 공법의 적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그라우팅공법인 저유동성 모르타르 주입공법과 말뚝벽체식 보강공법인 SPC 파일 및 GRB 공법을 각각 평가하여 비교하였으며, 평가대상은 포항 구항 중력식 구조물로 선정하였다. 평가결과, 그라우팅공법과 말뚝벽체식 보강공법 모두 평가항목에 대하여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중력식 항만 구조물의 경우 시공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 부분과 유사 시공사례 등을 고려 시 내진보강 공법으로 그라우팅공법이 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산정을 위한 누적 반발각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 Cumulative Rebound Angle for the Assessment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struction Materials Nondestructively)

  • 손무락;장병식;김무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9-45
    • /
    • 2017
  • 본 논문은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재료타격 시 반발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각을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누적 반발각의 적용성에 관해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타격장치를 고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건설재료를 회전 자유낙하에 의해 초기 타격토록 하고 이 후 반발작용에 의한 반복타격이 소멸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일시멘트, 시멘트페이스트, 목재(소나무), 셰일암석 및 화강암암석의 5가지 건설재료를 대상으로 반발각실험을 실시하고 최대 반발각 및 누적 반발각을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재료별 측정된 최대 및 누적 반발각은 직접압축강도시험을 통한 재료별 압축강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시멘트에 바탕을 둔 건설재료나 암석과 같은 재료에 있어서는 최대 반발각보다는 에너지 감쇄특성이 반영된 누적 반발각이 재료별 특성을 보다 뚜렷하게 나타내어 압축강도산정을 위한 보다 적절한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재와 같이 인성이 큰 건설재료에 대해선 반발정도가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인자가 아니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환원슬래그 혼합점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Reduced Slag-Mixed Clay)

  • 조민재;윤여원;김재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33-39
    • /
    • 2012
  • 철강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로 발생하는 슬래그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현재 국내에서는 고로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강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제강슬래그 중에서도 전기로 산화슬래그에 대한 콘크리트 골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전기로 환원슬래그에 대한 연구실적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근 전기로 환원슬래그에 대한 토목용 성토 및 뒤채움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 여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바 있고, 점토지반 개량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로 제강 환원슬래그를 연약지반개량을 위한 토목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최적의 혼합비를 찾는데 있다. 환원슬래그에 대한 SEM, XRF, XRD 시험 등을 통해 성분 분석을 하고 또한 환원슬래그 혼합점토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점토지반에 환원슬래그를 혼합하였을 때의 강도증진 효과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이 시험을 통해 환원슬래그 혼합에 따른 뚜렷한 강도증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약지반처리에 있어 환원슬래그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는 산업 부산물의 활용에 따른 환경보전 및 재활용 측면과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연약지반개량용 토목재료로서의 활용에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