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liquid chromatography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6초

생활 스프레이 제품의 안전성 조사: 벤젠과 톨루엔 함량을 중심으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from spray products)

  • 조효재;김보원;김용현;이민희;조상희;김기현;김준영;박준호;오수민;이승환;김동연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68-275
    • /
    • 2013
  • 최근 생활 스프레이 제품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스프레이 제품은 크게 공기중으로 분사하거나 인체에 직접 분사하는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스프레이 제품 내 존재하는 물질들은 분사함과 동시에 인체에 흡입 및 피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10 가지 종류의 스프레이 제품 내 발암물질로 잘 알려진 벤젠과 인체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톨루엔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10 가지 제품에서 모두 벤젠과 톨루엔을 검출하였다. 피부에 분사하는 6 종의 제품에서 벤젠은 평균$ 5.64{\pm}1.95$ ppb(w), 톨루엔은 평균 $8.52{\pm}2.89$ ppb(w) 농도수준으로 검출하였다.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4종의 제품에서는 벤젠과 톨루엔이 각각 $7.30{\pm}1.31$ ppb(w), $7.19{\pm}1.78$ ppb(w) 농도로 검출하였다. 이들을 10초간 1 입방미터에 분사하여 완전 기화한다고 가정할 경우, 6 종의 제품에서 벤젠은 평균 $31.7{\pm}8.80{\mu}g/Sm^3$, 톨루엔은 평균 $50.5{\pm}17.1{\mu}g/Sm^3$ 농도수준으로 검출하였다.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4 종의 제품에서는 벤젠과 톨루엔이 각각 $24.0{\pm}4.30{\mu}g/Sm^3$, $23.6{\pm}5.83{\mu}g/Sm^3$ 농도로 검출하였다. 10 가지 스프레이제품에서 발생한 벤젠의 경우, 우리나라 대기환경 기준치인 $5{\mu}g/Sm^3$을 초과한 수치에 해당한다. 생활환경 내 스프레이제품의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느타리, 표고와 양송이버섯의 유기산 및 지방산 조성 (Composition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 홍재식;김영희;이극로;김명곤;조정익;박건호;최윤희;이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0-105
    • /
    • 1988
  •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양송이버섯 (Agaricus bisporus)의 유기산 및 지방산 조성을 GLC법에 의하여 분석하고 버섯의 종류, 크기, 부위에 따른 성분조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유기산은 3종의 버섯에서 lactic, oxalic, fumaric, succimic, malic, citric 및 pyroglutamic acid등이 확인되었고 malic, citric, pyroglutamic acid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느타리버섯 $2.4{\sim}4.0%$, 표고버섯 $1.7{\sim}3.6%$, 양송이버섯 $1.9{\sim}3.1%$이었다. 부위별로는 갓부위가 자루부위보다 많았는데 느타리버섯에서는 oxalic과 pyroglutamic acid, 표고버섯은 malic과 citric acid, 양송이버섯은 fumaric acid가 특히 많았으며 크기별로는 크기가 클수록 총유기산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citric acid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및 ole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며 부위 및 크기별로 비교했을 때는 지방산 조성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2보) -해조류 지질의 지방산조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2))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9-204
    • /
    • 1977
  • 8종의 식용해조류 지질의 지방산을 GLC로 분석하고 해조류 종속간에 어떤 특징이 있나,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해조류의 지질함량은 녹조류 $1.51\%$, 갈변류 $2.81\%$, 강조류 $1.02\%$로서 갈조류의 지질함량이 가장 높았다. 2) 지방산조성의 해조류 종속간의 함량 차이을 보면, 녹조류는 $C_{16:0}$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치를 나타내며, 동시에 $C_{18:1},\;C_{18:2},\;C_{18:3}$산의 함량도 높았다. 갈조류는 $C_{16:0}$$C_{18:1},\;C_{18:2},\;C_{18:3}$산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반면, $C_{18:0}$산은 다른 해조류에 비해 아주 낮은 함량치를 나타내고 있다. 홍조류는 $C_{16:0}$산의 함량이 높은 반면, $C_{14:0},\;C_{18:1},\;C_{18:2}$산의 함량이 매우 낮았다. 3) 조성지방산의 탄소수 $C_{14},\;C_{15},\;C_{16:},\;C_{18},\;C_{22}$의 분포를 보면, 녹조류는 $C_{16},\;C_{18}$산을, 녹조류는 $C_{16},\;C_{18},\;C_{22}$산을 각각 주요성분으로 하고 있다.

  • PDF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트리글리세리드 구조의 비교 (Comparison of Triglyceride Structures of Human Milk, Infant Formulas and Market Milk)

  • 윤태헌;임경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1
    • /
    • 1985
  •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 아실 탄소수 및 종을 박충 크로마토그래피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유에서는 단쇄 지방산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조세 분유와 시유에서는 1% 미만의 수준들로 검출되었다. 인유에 비하여 조세 분유는 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10 : 0, 14 : 0 등의 지방산들은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았고 12 : 0, 20 : 0 등이 유의하게 낮았다. $18 : 2{\omega}6$은 인유가 12.0%, 조제 분유가 15.0%로 서로 비슷한 반면 시유는 3.8%로 가장 낮았다. 탄소수 20개 이상의 ${\omega}6$계 및 ${\omega}3$계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인유에 비하여 조제 분유와 시유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인유는 아실 탄소수 44-52, 조제 분유는 50-54, 시유는 36-40 을 가진 글리세드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조제 분유에서는 아실 탄소수 50과 52, 시유에서는 42만 제외하고 나머지의 탄소수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제 분유의 saturates 는 인유의 그것에 비하여 2 배 가량 높았을 뿐 기타 종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에서도 dienes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조제 분유에서와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다.

패류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1. 소라, 대합, 전복 및 그 자건품의 비휘발성유기산 조성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1.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Top Shell, Hard Clam, Abalone and their Boiled-Dried Products)

  • 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4
    • /
    • 1985
  • 우리나라산 주요패류의 유기산조성과 이의 가공처리에 따른 변화를 밝히고져 실험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소라, 대합 및 전복 등 3종류의 패류를 시료로 하여 생체 및 이를 자건하였을 때의 유기산조성을 GLC로 분석검토하였다. 3종류의 시료중 소라 및 전복에 있어서는 8증류, 대합에 있어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 및 정량되었으며, 주요산은 소라에 있어서는 succinic, mal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유기산총량의 $89.2\%$를 차지하였고, 대합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malic acid로서 총량의 $92.9\%$를 차지 하였으며, 전복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총량의 $85.7\%$를 차지하였다. 3종류의 시료는 모두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아, 소라에 있어서는 총산량의 $46.3\%$, 대합에 있어서는 $63.5\%$, 전복에 있어서는 $34.7\%$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총량에 있어서는 대합이 744.2mg/100g로서 가장 많아 전복의 경우의 약 3배양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소라로서 546.5mg/100g로서 전복의 2배양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전복이 가장 적어 259.4mg/100g이었다. 생시료를 자건하였을 때 유기산총량의 감소율은 전복이 $63.5\%$로 가장 높고, 이어 소라의 $52.1\%$, 대합의 $38.0\%$의 순이었다. 또한, 자건처리에 의한 각 유기산의 감소율은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전반적로 볼 때 감소율이 큰 유기산은 fumaric, malic 및 citric acid등이고, 감소율이 적은 유기산은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 등이었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제3보) -산지별 건해태 지질의 지방산조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3) Fatty Acid Composition the Lipid in Dried Purple Laver Marketable Product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9-225
    • /
    • 1978
  • 남해안 해태 주산지인 목포, 완도, 하동, 등지에서 양식되고 제품화된 건해태의 지질의 지방산을 GL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산지별 건해태의 지질함량은, 목포, 완도 하동 및 장림산 중에서 하동산이 $1.80\%$ 로서 가장 높았다. 2) 각 산지별 건해태 지질의 지방산조직에서 특징은 목포산에는 $C_{16:0},\;C_{20:5},\;C_{18:1}\;and\;C_{16:1}$산, 완도산에는 $C_{16:0},\;C_{18:1},\;C_{16:1}\;and\;C_{17:0}$산, 하동산에는 $C_{16:0},\;C_{20:5},\;C_{18:0}\;and\;C_{20:1}$산 그리고 장림산에는 $C_{20:5},\;C_{16:0},\;C_{18:1}\;and\;C_{18:0}$산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다. 3) 조성지방산의 탄소수-$C_{14},\;C_{15},\;C_{16},\;C_{17},\;C_{18},\;C_{20}$-의 분포를 보면, 목포, 하동, 장림산 건해태 지질은 $C_{16},\;C_{18},\;C_{20}$산을, 완도산 건해태 지질은 $C_{16},\;C_{18},\;C_{17}$산을 각각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4) 각 산지별 건해태 중에서 장림산 건해태 지질에는 특히 $C_{20:5}$산의 함량이 매우 높았다.

  • PDF

축산식품(畜産食品)의 잔류농약(殘留農藥)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 우유(牛乳) 및 식육중(食肉中) 유기염소제(有機鹽素劑)의 잔류량조사(殘留量調査) (Studies on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Livestock Products 3.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Milk and Meat)

  • 조태행;황대우;이문한;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3-71
    • /
    • 1977
  • During the period of March, 1976 to December, 1976, 48 raw milk samples were taken from dairy cows at 48 different dairy farms in Korea analyz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to determin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amount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At the same time 80 market milk, 10 beef and 10 pork samples were analyed by the same procedure for checking residual leve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Milk samples from 17 dairy farms (36 per cent of tatal) were shown to be contaminated with various organochlorine pesticides. The residua lrate of ${\gamma}-BHC$ in tested samples were 44per cent (14 sam ples) that of aldrine was 28 per cent (9 samples) and those of pp'-DD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9.3 percent (3 samples) respectively. 2. In raw milk pp'-DDT, ${\gamma}-BHC$,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and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the market milk. Any kind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beef samples bu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pork samples. Average residual values of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in the market milk were 0.0077 ppm (0.0000~1.1100 ppm), 0.0001ppm (0.0000~0.0500 ppm) and 0.0008 ppm (0.0000~2.0520 ppm), respectively, and those of dieldrin and heptachlor in pork samples were 0.0010 ppm (0.0000~0.0100 ppm) and 0.0033 ppm (0.0000~0.0330 ppm). respectively. 3.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extremely variable; in fact pp'-DDT was detected in milk samples from A, B, C and D districts and endrin was not detected from all districts. The ${\gamma}-BHC$ and dieldrin were detected at the district of A, C and D, aldrin at the districts of A and C and heptachlor at the districts of both A and D. 4. Seasonal trends of residual val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in general, noticeable. The residual level was much higher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and showed the tendeney of decrease from spring through summer and autumn generally; in the case of pp'-DDT average residual values were 0.0121 ppm in spring, 0.0022 ppm in summer and not detected in autumn. But in winter ${\gamma}-BHC$ and aldrin residues were increased a little. Residual values in raw milk (when cow are fed on hay and silage) were appeared higher in winter than the other seasons. 5.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not related in respect to hygienic conditions of dairy farms pp'-DDT and heptachlor were, in general, detected in all farms and aldrin was more detected in milk from well sanitated farms than poor sanitated ones.

  • PDF

우리나라 소나무속(屬)의 Monoterpene 조성(組成)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of the Subgenus Diploxylon of the Genus Pinus in Korea)

  • 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60-169
    • /
    • 1976
  • 한국산(韓國産) Pinus속(屬)의 Diploxylon아속(亞屬)의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 대(對)한 류별(類別)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GLC에 의(依)한 monoterpene 조성(組成)을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의 monoterpene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 외(外)에 2개의 미지(未知)의 조성분(組成分)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의 주요(主要) monoterpene조성(組成)은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이다. 중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beta}$-phellandrene, ${\alpha}$-plnene, terpinolene 이다. 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limonene 이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서 모두 monoterpene 조성분(組成分)은 개체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중곰솔은 monoterpene 조성(組成)에 있어서 소나무와 곰솔의 중간에 해당되었다. 소나무와 곰솔을 구별(區別)하는 가장 좋은 분류적기준(分類的基準)이 되는 monoterpene의 주성분(組成分)은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이었고 소나무는 ${\alpha}$-pinene이 ${\beta}$-pinene보다 항상 많았고 중곰솔을 그 반대(反對)였다. 안면도와 치악산(産) 소나무의 산지별(産地別) 차이(差異)에서는 ${\alpha}$-pinene에서 유이성(有異性)이 보였으나 이는 개체 사이의 변이(變異)가 큰 것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디젤의 수소첨가탈황 (Hydrodesulfurization of Diesel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Applications)

  • 김민수;김현구;장성철;김영천;최선희;윤성필;한종희;남석우;최대기;함형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21-27
    • /
    • 2015
  • Hydrogen production from commercial diesel fuels is an attactive option for energy generation purpose due to the low cost and good availability of diesel fuels. However, in order to utilize commercial diesel fuels, the sulfur contents must be removed down to approximately 0.1 ppm level to protect the fuel cell catalysts from poisoning. Commercial catalysts $CoMo/Al_2O_3$ and $NiMo/Al_2O_3$ were tested for HDS (Hydrodesulfurization) of model diesel and commercial diese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250-400^{\circ}C$ and LHSV (Liquid Hourly Space Velocity) $0.27-2.12hr^{-1}$. $NiMo/Al_2O_3$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CoMo/Al_2O_3$ in removing sulfur from model diesel.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model diesel, commercial diesel fuel purchased from a local petrol station was tested for HDS using $NiMo/Al_2O_3$. The GC-SCD (Gas Chromatography Sulfur Chemiluminescence Detector) results showed that the DMDBT (Dimethyldibenzothiophene) derivatives were fully removed from the commercial diesel fuel proving that HDS with $NiMo/Al_2O_3$ is technically feasibl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Chemometric Approach to Fatty Acid Profiles in Soybean Cultivar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 Shin, Eui-Cheol;Hwang, Chung-Eun;Lee, Byong-Won;Kim, Hyun-Tae;Ko, Jong-Min;Baek, In-Youl;Lee, Yang-Bong;Choi, Jin-Sang;Cho, Eun-Ju;Seo, Weon-Taek;Cho, Kye-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184-19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profiles in 18 soybean cultivars grown in Korea. A total of eleven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sample set, which was comprised of myristic (C14:0), palmitic (C16:0), palmitoleic (C16:1, ${\omega}7$), stearic (C18:0), oleic (C18:1, ${\omega}9$), linoleic (C18:2, ${\omega}6$), linolenic (C18:3, ${\omega}3$), arachidic (C20:0), gondoic (C20:1, ${\omega}9$), behenic (C22:0), and lignoceric (C24:0) acid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Based on their color, yellow-, black-, brown-, and green-colored cultivars were denoted.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the nine major fatty acids identified (two trace fatty acids, myristic and palmitoleic,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were generated and reveale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s (r=-0.94, p<0.05), while stearic acid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rachidic acid (r=0.72, p<0.0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the fatty acid data yielded four significant principal components (PCs; i.e., eigenvalues>1), which together account for 81.4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data set; with PC1 contributing 28.16% of the total. Eige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matrix loadings of the four significant PCs revealed that PC1 was mainly contributed to by oleic, linoleic, and gondoic acids, PC2 by stearic, linolenic and arachidic acids, PC3 by behenic and lignoceric acids, and PC4 by palmitic acid. The score plots generated between PC1-PC2 and PC3-PC4 segregated soybean cultivars based on fatty acid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