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extract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7초

숙성 흑마늘 추출액 첨가가 빵용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Rheology of Flour Dough)

  • 왕숙자;이정훈;최미정;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30-435
    • /
    • 2012
  • 제빵용 밀가루인 강력분에 흑마늘 추출액을 0, 5, 10, 1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으로 Falling number, RVA에 의한 호화 특성, Farinograph, Alveograph 등을 분석하였다. Falling number는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낮아졌으나 제빵적성의 범위에 있었다. 호화도 특성에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유지강도, 최종점도, break down, set back 등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Farinograph 측정에서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강도와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반죽형성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안정도와 약화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죽의 내성(MTI)은 대조구에 비해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QN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Alveograph 측정에서 $P_{max}$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L, G 값은 흑마늘 추출액 15%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W값은 15%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흑마늘 추출액 5%까지는 첨가가 가능하나 그 이상은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을 저하시켜 제빵 적성이 나빠질 것으로 생각된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6-122
    • /
    • 2012
  • 흑마늘은 일정기간 마늘의 자체 성분과 효소 등에 의해 숙성되어 진한 흑갈색으로 변한 것으로 추출액과 같은 가공형태로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관능적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흑마늘 제품의 산지별에 따른 흑마늘추출액 4종(A, B, C, D)을 선정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68종으로 함황화합물류 21종, 알데히드류 10종, 퓨란류 7종, 알콜류 6종, 방향족화합물 7종, 케톤류 4종, 산류 4종, 질소화합물 3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4종이 검출되었다. 흑마늘추출액 모든 시료에서 fruit-sweet향의 2,6-dimethyl-4-heptanone이 높은 함량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에서는 6종, allyl sulfide, 4-methyl-1,2,4-thiazole, 1,3,5-trithiane, unknown I(RI 1564), II(RI 1565), III(R I1613)이 전 시료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마늘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aillard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3종의 알데히드류(3-methylbutanal, benzaldehyde, phenylacetaldehyde)와 4종의 furan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 alcohol), 2,6-dimethyl pyrazine, acet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들은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성분에 burnt, sweet, sour한 특징적인 냄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소플라본의 항산화능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Garlic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Isoflavones)

  • 강진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51-8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판하는 naringin, rutin 및 morin 등의 이소플라본을 시료로 하여 환원력,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등의 항산화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을 함께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을 측정한 모든 실험항목에서 대조군으로서 사용한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훨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소플라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다소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마늘을 첨가하였을 때는 그 효능이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마늘의 첨가량을 늘릴수록 그 효능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소플라본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항목 별로 특별한 경향은 찾아볼 수 없었는데 환원력에서는 naringin이,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 및 SOD 유사활성에서는 rutin이, 그리고 전자공여능에서는 morin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용은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가공을 위한 주요 소재로서도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마늘의 섭취가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에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생활의 올바른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바이다.

마늘 추출물의 항균, 항고혈압 및 항암활성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 김기주;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8-232
    • /
    • 2005
  • 국내산 마늘과 중국산 마늘을 meth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hexane으로 추출하여 항균, 항 곰팡이, 항암, 항고혈압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추출수율은 methanol추출물이 7.9-8.8 brix의 농도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마늘 용매추출물을 E. coli, B. subtilis, S. aureus, P. aeruginosa 및 S. typhimurium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와 chloroform추출물이 B. subtilis, P. aeruginosa에 대해 8-16mm의 clear zone으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 niger, M. miehei, P. rugullosum, A. oryzae, T. reesei균주의 항 곰팡이 활성은 ethyl acetate, chloroform추출물이 A. niger M. miehei, T. reesei에 대해 8-30mm의 clear zone으로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 활성은 완도 65.6%, 단양 60.4%, 서산 55.3% 및 중국산 70.1%으로 methanol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늘 용매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는 methanol 추출물이 위암세포(SNU-1)에 대해 완도 42.3%, 단양 53.8%. 중국산 50.4% 및 서산 54.5%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궁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hexane추출물에서 각각 완도 11.3%,단양 20.2%, 중국산 36.6% 및 서산 30.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Pre-Treat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 Barido, Farouq Heidar;Jang, Aera;Pak, Jae In;Kim, Yeong Jong;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36-104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improvement i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ady-to-eat (RTE) Samgyetang after adding various black garlic (BG)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meat quality indexes, and lipid oxidation rates were measured after receiving one of five different treatments consisting of conventional Samgyetang broth as a negative control, raw garlic (RG) extract as a positive control, BG, oven-dried BG, and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as treatments. Employing retort cooking, fat trimmed carcasses were added to the initially prepared broth together with a phenolic extract that was set at 5% (w/w). A significant intensification of red and yellow color was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 treated with BG extracts, regardless of pretreatment,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nd RG. The moisture percentage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G extracts, where the encapsulation group retained the highest water content after retorting. In terms of antioxidative status,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was as effective as an oven-dried extract to scavenge free radicals and showed the highest score among samples (p<0.01). The concentration of TFC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did not differ between encapsulation and oven-dried groups, followed by BG, RG, and the negative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encapsulated BG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delaying the formation of malondialdehyde among the samples. Therefore, pre-treatment of BG extract through encapsul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a higher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마늘 육질과 껍질의 건분 및 에탄올추출물이 노령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Extracts of Garlic Flesh and Peel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16-month-old Rats)

  • 신성희;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633-644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 of dried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garlic flesh and peel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16-month- old rats. Forty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618.1$\pm$6.5g were block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3 months with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5% (w/w) of dried powders of garlic flesh or peel, or ethanol extracts from equal amount of each dried powder.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3 -carotene, vitamin C, vitamin E,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levels were determined in garlic preparation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in plasma, liver and VLDL + LDL fraction, oxidative DNA damage (8-hydroxy-2' -deoxyguanosine, 80HdG) in kidney, xanthine oxidase (XO) activities in plasma and liver,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in erythrocyte and liver, and carotenoid concentration,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in plasma were measured.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in garlic preparations were highest in peel ethanol extract. Vitamin C content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preparations, but peel powder contains slightly more vitamin C. The content of $\beta$-carotene was highest in peel ethanol extract and vitmain E content was highest in flesh ethanol extract. The highest level of TAS was observed in peel ethanol extract. Plasma TBARS level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and TBARS concentration in VLDL + LDL fraction was decreased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Also levels of 80HdG in kidney in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liver XO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erythrocyte and liver SOD activities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All experimental groups also showed higher plasma TAS levels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garlic flesh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plasma and liver XO activities, and significantly higher in erythrocyte and liver SOD activities than control group. Moreover, plasma TBARS level and kidney 8OHdG level were decreased in flesh powder group. In conclusion, garlic diets showed effect of improving antioxidative capacity in 16-month old rats, especially, garlic flesh powder was prominent in inhibiting XO activity, promoting SOD activity and decreasing kidney 8OHdG level among experimental groups.

시판 흑마늘의 항산화 및 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억제 (Antioxidant and Inhibition of 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in Marketing Black Garlics)

  • 차지영;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51-162
    • /
    • 2012
  • 시판되는 남해산 흑마늘 4제품(A, B, C 및 D)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마늘 중 total pyruvate와 thiosulfate 함량은 생마늘보다 흑마늘에서 높았으며, B제품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흑마늘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흑마늘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으로 A제품에서 다소 높게 정량되었다. 항산화 활성으로 DPPH, ABTs, hydroxyl 및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흑마늘이 생마늘보다 높았으며,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A와 B제품간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소거활성과 NDMA 생성억제 활성은 항산화 활성과 동일한 경향이었으며, A제품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흑마늘의 NDMA 생성억제 활성이 항산화 활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바, 흑마늘은 생체 내 암 발생의 억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Fractionated Aged Black Garlic Extracts Enhance Growth of Anti-My-10 Hybridoma Cells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 Lee, Ji Young;Chung, Namhyun;Lee, Yong K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61-63
    • /
    • 2014
  • Aged black garlic (ABG) was extracted with 20% ethanol and water (crude extracts) and fractionated into three categories (>10, 3-10, and <3 kDa). The effect of crude extract supplements on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IgG1 antibody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suspension culture with a chemically defined protein-free medium. We observed that supplementation of ABG to the cell culture medium stimulated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particularly with fractionated ABG of low molecular weight. The stimulation depended upon the concentration and the size of the fractionated ABG. We also found that the growth-promoting activity was not correlated with high antibody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actionated ABG is a novel and promising alternative as an animal cell culture supplement.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rom Artemisia Argyi H.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강재란;강민정;최명효;변희욱;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조건(음건, 숙성, 덖음)과 추출 용매 중 에탄올의 혼합비율(30, 50, 70, 90%)에 따른 섬애약쑥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 및 추출용매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음건쑥추출물에 비해 숙성쑥과 덖음쑥 추출물이 더 높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음건쑥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열처리 시간이 가장 길었던 숙성쑥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고 에탄올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총 페놀, jaceosidin, eupatilin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50%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30%와 9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덖음쑥 추출물이 음건쑥과 숙성쑥 추출물에 비해 높았는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77.7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30%, 50% 및 70% 에탄올 추출물이 96%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은 음건한 것을 덖음 처리를 한 후 50%~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유효성분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Antiobesity Effect of Mixture of Black Garlic and Garsinia cambogia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and L6 Skeletal Muscle Cells

  • Jung, Young-Mi;Lee, Dong-Sub;Lee, Seon-Ha;Jeoung, Nam-Ho;Kim, Bok-J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1-298
    • /
    • 2012
  • The antiobesity effect of the mixture of black garlic and Garsinia cambogia extracts (BGG)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Oil red O staining and the expressions of adipogenic genes during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real-time PCR in the 3T3-L1 adipocytes. BGG reduced contents of Oil red O dye in the 3T3-L1 adipocytes. mRNA expression levels of SREBP1c, C/EBPa, aP2/FABP4, and $PPAR{\gamma}$ which are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in cells treated with BGG were also significantly down regulated. Also, the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L6 cells was more increased by BG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GG seems to be more attractive compound for application of industry than individual extracts such as black garlic and Garsinia cambogia, considering it has two effects not only inhibit the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ut also activate the phosphorylation of AMPK unlike other two comp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