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extract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3초

생강과 마늘 즙 및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에 대한 증식저해작용 (Growth Inhibition of Food-borne Bacteria by Juice and Extract of Ginger and Garlic)

  • 김미림;최경호;박찬성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0-169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hibitory garlic and ginger against the growth of food born pathogenic bacteria. Juice was prepared from the raw spices by using an electric homogenizer and membrane filter. Dry-powdered spices were treated with double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to extract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respectively.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juice and extracts of the spices were monitored by using bacterial strains such as B. subtilis, L. moncytogenes, S. aureus,E. coli O157 : H7, P. aeruginosa, and S. typhimurium. On a solid medium where E. coli and S. aureus cells were grown, ginger juice formed inhibitory zone at the concentrations of 2-10% by paper disc test. The Bone formed by ginger juice was wider and more transparent than that formed by garlic juice on the same concentration.1. monocytogenes and B. subtilis were more sensitive to garlic juice than others, and stopped growing at 2% garlic juice. Ginger juice showed the growth inhibition by 30-50% at 1.0% concentration. On the contrast, P. aeruginosa which resisted to the garlic juice was the most sensitive to ginger juice. Water extract of garlic was not effective to inhibit the bacterial growth, while 2% ginger extract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and S. aureus. Alcohol extract of ginger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at the concentration of 0.3%. This growth inhibition is almost 10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garlic extract. It was clear that ginger had more potential than garlic as an inhibitor to control the growth of the indicator organisms.

  • PDF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간장의 제조 조건 설정 (Optimization of Soy Sauce Production Conditions with Black Garlic Extrac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심혜진;강민정;김경민;이창권;김정환;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7-315
    • /
    • 2016
  • Purpose: The central composition design was used to optimize the mixture conditions of black garlic extract. Methods: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carried out from concentr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X_1$) and the amount of the black garlic extract ($X_2$)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lts ($Y_1$), reducing sugars ($Y_2$),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Y_3$)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Y_4$) as dependent variables. We confirmed the conditions that salinity was minimized and reducing sugar,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d maximum values through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Results: All results had saddle points in originally set up conditions hence, ridg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narrowing the experimental area. The minimum salt concentration was 16.03% at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14.84^{\circ}brix$ and contents of 9.26%. Reducing sugar content had maximum of value 7.30 g/mL at $24.58^{\circ}brix$ and contents of 8.08%.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d maximum values at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20.33 and $25.02^{\circ}brix$.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black garlic extract contributed to increased reducing sugar, phenolic compoun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 sauce, but the salt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RSM, the optimum ranges of addition conditions for lowering the salt concentration and, increasing the sensory and functional ability of soy sauce were as follows: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15-25^{\circ}brix$ and content of 7.8-9.3%.

Garlic extract 배합 치약의 치주질환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 (The effect of garlic extract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opathogens)

  • 장종화;박용덕;류다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31-640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mean to confirm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 garlic extract widely culturing in our region and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entifrice containing 0.1% extracts of garlic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 a double blind and clinical studies in 50 healthy adults aged from 20 to 22 years who provided a consent for their participation. Methods :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triple distilled water and the Kirby-Bauer disk diffusion method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gainst various pathogens for periodontal disease, such as P. gingivalis 381(ATCC33277), was estimated. The experimental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 used: 10,000ppm(A), 5,000ppm(B), 2,500ppm(C), 1,000ppm(D). Oral examination of subjects was performed through clinical periods and on day of baseline, 6, 12, 19, 25 days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scored by Turesky' modified index and Loe & Silness index. After 12, 19, 25 days use of their respective dentifrices, statistically decreases of plaque index, gingival index were shown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2,500ppm(C)" group against P. gingivalis 381.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the lower plaque levels and the higher levels of gingival health by the use of the dentifrices contained extract of garlic from 6 days compare with control group(p<0.05). The degree of decrease was more significant on gingivitis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p<0.05). Conclusions : Thi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oral products containing a garlic extract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and has potential value in inhibiting periopathogens.

숙성마늘 extract 의 biomarker로서 생리활성 성분 (Biological Constituents of Aged Garlic Extract as Biomarker)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8-146
    • /
    • 2009
  • 마늘은 역학조사에 의하면 각종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주요 성분인 알리신 성분은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어 새로운 형태의 유황 화합물로 만들어져 이들 성분들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중요한 생리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마늘제품 중에서 숙성마늘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숙성마늘제품은 마늘을 일정한 조건으로 숙성시킬 때 수용성 성분인 S-allylcysteine, S-allylmercaptan, steroid saponins, te-trahydro-${\beta}$-caboline derivatives 및 fructeosyl-arginine 등이 많이 증가하여 그 효능이 상승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판 마늘가공품의 품질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이들 수용성 성분을 biomarker로서 규격기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황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Yellow Garlic Extract)

  • 강재란;황초롱;심혜진;강민정;강상태;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83-9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한 마늘 가공품인 황마늘의 품질 특성과 물, 30, 50, 70 및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황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alliin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2.6 mg/g이었다.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때 alliin과 SAC 함량은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증가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10 mg/mL로 농도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 간의 활성을 비교할 때 0~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시료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93.45%와 91.46%로 가장 높았다. 미백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각각 36.52%와 48.55%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마늘 추출물은 $100{\mu}g/mL$ 처리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인 NO 및 cytokine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황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마늘 못지않은 건강기능성 소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늘 추출물의 고등어육에서의 히스타민 생성 억제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 on Histamine Accumulation in Mackerel Meat)

  • 심재훈;백현동;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57-964
    • /
    • 2017
  • 본 연구에서 고등어육을 $4^{\circ}C$$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마늘 추출물을 2.5, 5.0, 7.5%를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여 히스타민의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저장 초기에 대조구와 추출물 처리구의 일반세균수는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나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이가 있어 6일 경과 후 7.5% 첨가구는 대조구의 일반세균수 대비 1 log cycle 정도 균이 억제되었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4^{\circ}C$$15^{\circ}C$에서 저장 중 eicosapentaenoic acid(EPA, C20:5)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가 대조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마늘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다소 상승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4^{\circ}C$$15^{\circ}C$ 저장실험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해서 상승하였으나 마늘 추출물 첨가구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낮게 나타나 마늘 추출물의 첨가는 고등어의 부패지연에 효과가 있었다. 히스타민 발생은 저장 초기에는 모든 실험구에서 히스타민이 검출되지 않았고 $4^{\circ}C$ 저장 실험구의 경우 3일차에서 대조구만 42.87 mg/kg 검출되었다. $15^{\circ}C$ 저장 시에도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지속해서 히스타민이 증가하였으나 마늘 추출물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히스타민 생성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등어의 저장성 연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마늘과 부추 추출물에 의한 고추장의 알코올 생성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Alcohol Production in Gochujang by Garlic and Chives Extract)

  • 임세미;이종숙;김명희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8
    • /
    • 2023
  •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are known to produce alcohol in gochujang. To reduce alcohol production, garlic and chives were applied to gochujang solution to fi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S. cerevisiae and Z. rouxii. The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 cerevisiae and Z. rouxii, showing growth inhibition zone of 14.00±0.00~25.33±0.58 mm by disc diffusion method. In addition, the addition of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in 10% gochujang solution spiked with S. cerevisiae and Z. rouxii reduced th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below 7 Log CFU/g) and yeast (below 4 Log CFU/g), alcohol content (below 0.30%),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garlic ethanol (70%) extract or chives ethanol (70%) extract to gochujang inhibited the growth of S. cerevisiae and Z. rouxii, resulting in reduced alcohol content in gochujang.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od application experiments by using real gochujang paste.

숙성 흑마늘 추출물의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30-1335
    • /
    • 2007
  • 마늘을 발효시켜 만든 흑마늘의 지질 산화 억제 및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표준품으로서 마늘의 주성분인 alliin과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각각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흑마늘 에탄을 추출물이 효능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Cu^{2+}$유도 LDL로 산화시킬 때 그 항산화능은 각 시료를 $10\;{\mu}g/ml$$20\;{\mu}g/ml$ 씩 첨가하며 TSARS를 측정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추출물을 $10\;{\mu}g/ml$$20\;{\mu}g/ml$ 첨가한 후 J774 유도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용량 의존형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의 각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기영동 이동상은 대조구에 비하여 $10\;{\mu}g/ml$$20\;{\mu}g/ml$에서 산화를 억제하였고 공액 2중 결합에 의한 실험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흑마늘 농축액 첨가 청포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arlic extract)

  • 김애정;정경희;신승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85-2690
    • /
    • 2011
  • 본 연구는 청포묵의 기능성의 높이고자 흑마늘 농축액(0, 5, 10, 15, 20%)을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명도(L값)의 경우 흑마늘 농축액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청포묵의 색이 어두워져서 명도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의 경우는 흑마늘 농축액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흑마늘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부착성, 검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에 부서짐성, 탄성, 씸힘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흑마늘 청포묵의 맛, 색, 풍미, 물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흑마늘 농축액 15%가 첨가된 BG3시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늘즙액의 대장균 생육 저해 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 김연순;박경숙;경규항;심선택;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30-735
    • /
    • 1996
  • 마늘이 상처를 입으면 마늘중에 존재하는 alliin이 alliinase에 의해 allicin으로 분해되며 allicin은 마늘의 주된 항미생물 작용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성분에 의한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을 크게 받는 E. coli는 1%의 마늘즙액이 들어있는 TSB에서 사멸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사멸속도는 더욱 빨랐다. 마늘즙액에 의한 미생물생육 저해효과는 pH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pH 7.2에 비해 5.2와 6.2에서 저해작용이 강하게 나타났다. 초기 접종균수가 $10^{6}\;CFU/ml 이상일 때는 번식에 대한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0^{5}\;CFU/ml 이하일 때는 저해효과가 나타나서 항미생물 작용에 대한 초기 미생물 수도 중요한 변수였다. 유리 SH기를 가진 cysteine이나 glutathione을 첨가하면 마늘즙액의 번식 저해효과로부터 E. coli를 보호하였다. 결과적으로 E. coli에 대한 마늘즙액의 번식 저해효과는 마늘즙액의 농도뿐만 아니라 pH, cystein이나 glutathione같은 SH화합물의 존재여부, 접종균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