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aqueous extrac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Characterization of a New Leuconostoc Species Isolated from Fresh Garlic

  • Lee, Se-Hi;Choi, Jong-Hoon;Kim, Youn-Soon;Kyung, Kyu-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416-419
    • /
    • 2005
  • Unknown bacterium isolated from garlic was characterized using phenotypic methods, phylogenetic analysis, DNA-DNA hybridization, and cultural method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typical leuconostoc;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heterofermentative, catalase-negative and spherical. Although its 16S rRNA gene sequence showed high homology to Leuconostoc argentinum DSM $8581^T$(99.8%), DNA-DNA hybridization experiments indicated it represents novel genomic species in the genus Leuconostoc. The garlic-specific leuconostoc was more resistant to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compared to other common laboratory lactic acid bacteria, and was even stimulated by low concentrations (1-2%) of garlic extract supplemented in trypticase soy broth. Growth stimulation was concentration-dependent when tested with residual aqueous layer after solvent extraction of fresh whole garlic extract.

병원성 세균과 젖산균에 대한 마늘의 항균작용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 정건섭;강승연;김지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2-3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Virio. parahaemolyticus which are food pathogenic bacteria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coccus. lactis,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are lactic acid bacteria. An aqueous extract of garlic was bacteriocidal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in all concentrations (0.1∼2.5(w/v)%) tested in this experiment. Especially 0.5(w/v)% garlic juice inactivated completely E. coli, S. typhimurium, S. flexineri, V. parahaemolyticus and 1.0(w/v)% garlic juice perfectly reduced P. aeruginosa, S. mutans. Generally, the experiment result indicate that garlic juice restrains the growth of the pathogenic bacteria better than the lactic acid bacteria. Therefore, garlic has potential for the preservation of processed foods.

Antimycotic Activity of Allium Sativum Against Beauveria Bassiana, Pathogenic Fungus of White Muscardine Disease in Silkworm, Bombyx mori L. (Lepidoptera: Bombycidae)

  • Mohanan, N. Madana;Guptal, S.K.;Mitra, P.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81-85
    • /
    • 2007
  • White Muscardine is the most common fungal disease of silkworm, Bombyx mori L. caused by the 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creen locally available medicinal/ weed plants against Beauveria bassiana. Among the plant extracts (PE) tested, 5% aqueous crude extract of the bulb of Allium sativum (Garlic) has been found to be most effective against Beauveria bassiana. The radial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in vitro was inhibited to the tune of 54.9% in aqueous extract and 54.4% in ethanolic extract of Allium sativum and correspondingly mycelial dry weight gave rise to 110.7 mg and 108.7 mg against 201.7 mg in control 15 days post treatment. Similarly, silkworm larvae topically inoculated with the Beauveria bassiana conidia ($1.8{\times}10^6/ml$) registered survival up to 53.0% against 0.0% in control after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Allium sativum. Simultaneously, as a preventive measure, silkworm larvae were put to rear in conidia contaminated seat paper instantly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of Allium sativum that also increased survival up to 61.0% against 4.6% in control.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plant extract is absolutely innocuous to silkworm.

김치에서 분리한 호기성 세균의 생육에 대한 마늘의 영향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the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조남철;전덕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7-362
    • /
    • 1988
  • 김치로부터 호기성 세균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의 생육에 대한 마늘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된 균은 모두 21종으로서 Bacillus spp. 이 11종, Staphylococcus spp. 이 2종, Micrococcus, Flavobacterium이 1종씩 이었으며 Enterobacteriaceae와 Vibrionaceae에 속하는 균주가 각각 1종과 4종이었다. 이들 세균은 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nutrient broth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는데 저해의 정도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랐으며 마늘농도가 높으면 억제효과도 상대적으로 컸다. 이 억제작용은 마늘 추출물의 호기성 미생물에 대한 사멸작용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항균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 정건섭;김지연;김영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0-543
    • /
    • 2003
  • 본 연구는 식중독 세균과 젖산균에 대한 생마늘의 항균력을 알아보고, 또한 마늘에 열처리를 하여 항균력을 측정함으로써 마늘이 이들 균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생마늘의 경우, 식중독 세균은 0.5%(w/v) 이상, 젖산균은 1.5%(w/v) 이상에서 많은 집락 감소를 보였다. 특히, 식중독 세균 중에서 S. flexneri가 마늘에 대하여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마늘 농도 1%(w/v)가 마늘을 식품에 첨가하거나 보존제로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마늘의 경우, 전반적으로 생마늘이 보였던 항균력보다는 낮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Bifidobacteria의 경우에는 열처리 마늘을 첨가시 낮은 마늘 농도에서 일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마늘의 가공 조리방법에 따른 Lipoxygenase활성도 저해효과 -마늘 추출액이 Lipoxygenase 활성도 저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Lipoxygenase Activity by the Extract of Various Processed Garlic -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s on Soybean Lipoxygenase Activity -)

  • Kim, Mee-Ree;Mo, Eun-Kyung;Kim, Seong-Hee;Sok, Dai-E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0-285
    • /
    • 1993
  • 동물체내에서 천식, 염증, 혈소판 응고 등에 관련된 매개체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lipoxygenase작용기 전과 유사한 대두 lipoxygenase (Type IV)를 사용하여 생마늘의 수용액, 에탄올, 클로로포름 추출분획에 의한 lipoxygenase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소를 클로로포름 추출 분획과 10분 preincuba-tion시킨 후의 효소 저해 양상은 비가역적 저해(1$_{50}$값, 55mg/$m\ell$)이었으며, 수용액 추출 분획의 경우는 주로 가역적 저해 양상(1$_{50}$값, 65mg/$m\ell$)을 나타내었다. 한편, diallyldisulfide와 dimethyldisulfide의 1$_{50}$값은 각각 1.3mM, 18mM 이었으며 이들은 가역적, 비가역적 저해 현상을 모두 나타내었다. 합성품 alliin은 비교적 높은 농도(10mM농도에서 22%저해)에서 저해하였으며, alliin의 분해산물은 비가역적 저해 양상을 나타낸 반면에, S-ethylcysteine sulfoxide는 효소를 거의 저해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진 마늘 속에는 가역적 저해제가 주로 함유되어 있고, 소량(25~30%)의 비가역적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사료되었다.

  • PDF

마늘 물추출물의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이승윤;남상현;이현정;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15
  • 본 연구는 마늘의 물추출물(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S. aure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각각 24, 48 그리고 24 mg/mL이었으며, 최소살균농도(MBC)는 모든 균에 대하여 96 mg/mL이었다. AGE 24 mg/mL을 E. coli O157:H7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균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1). 그러나 AGE 24 mg/mL을 S. aureus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AGE 96 mg/mL을 투여한 경우에서는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가 나타났다(p < 0.01). AGE 48 (p < 0.05)과 96 mg/mL (p < 0.001)을 S. typhimurim에 투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늘의 물추출물은 항생제와 화학적 식품보존제의 대체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의 쿨로로포름 분획에서 동정된 항돌연변이 물질 (Antimutagenic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Chloroform Frac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 김소희;김정옥;이숙희;박건영;박희준;정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3-259
    • /
    • 1991
  • 마늘의 메타놀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층과 수층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aflatoxin $B_1(AF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서 클로로포름층이 가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클로로포름층을 다시 silica gel column 및 thin layer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리한 결과, 4개의 분획(ASC F1, 2, 3, 4)를 얻었는데, 이중 ASC F2가 $AFB_1$에 대해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컸었다. ASC F2로부터 18가지의 화합물이 GC-MS, NMR, FT-IR을 이용하여 잠정적으로 분리, 동정되었으며, 이중 methyl linoleate는 가장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이었다. Methyl linoleate 표준품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on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 김동규;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2-1288
    • /
    • 2016
  • 본 연구는 섬애약쑥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간 염증에 대한 보호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100{\sim}400{\mu}g/ml$의 농도 범위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reactive nitrogen species (ROS)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간염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cytokine인 M-CSF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AST와 ALT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섬애약쑥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200{\sim}400{\mu}g/ml$의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간 염증의 개선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단서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