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discours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언론의 게임 보도 프레임 분석 (An Analysis on the News Frame of Game by Korean Media)

  • 서성은;연준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9-102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언론 보도에 나타난 게임 관련 담론 분석을 통해 게임이라는 미디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과 지형도를 가늠하고자 하는 것이다. 미디어는 현실을 거울처럼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한다. 한국의 언론은 게임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여 재현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조선, 중앙, 동아, 경향, 한겨레 등 5대 일간지의 게임 관련 기사 479건에 나타난 게임 담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일 이슈로는 게임 중독 프레임, 중독 폐해 프레임, <포켓몬고>를 비롯한 AR게임 프레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게임의 본질인 놀이 문화와 관련된 담론은 불과 3.8%에 불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임 원작 기반 콘텐츠의 영화적 재현-게임과 영화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Cinematic reproduction of original game contents-Focusing on text analysis of games and movies)

  • 박현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7-32
    • /
    • 2021
  • 본 연구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시대의 원천 콘텐츠로 각광받고 있는 게임에 집중하여, 게임과 게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의 텍스트를 분석한 뒤 장르와 문법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변화,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심층적인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보글러의 '영웅 여정의 12단계' 및 그래마스의 '행위소 모델'을 사용하여 니드 포 스피드, 어쌔신크리드, 워크래프트의 세 작품을 교차 분석 함으로써 담화의 구조를 살펴보고, 게임에서 영화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의 변화가 가져온 유의미한 변곡점을 분석하였다.

국내 <심즈2> 플레이어들의 담론분석 (An Analysis on Discourses of SIMS2 Players in Korea)

  • 김종덕;송수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3-65
    • /
    • 2011
  • 이 시대의 청년문화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인 게임과 게임의 커뮤니티를 분석한다면 대중문화의 텍스트이해와 수용자 입장을 좀 더 의미있게 분석 할 수 있다. 미디어와 문화의 관계는 미묘한 상호작용의 중계여서 내용분석과 담론 분석을 통한 접근방법을 택하였다. 분석 대상은 플레이어들의 정체성이 투사된 육성 시뮬레이션게임 <심즈2> 에 대한 국내 커뮤니티이며 내용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내용분석을 통해 심즈2 플레이어들이 이야기 하는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커뮤니티의 내용적 특성을 본 연구는 크게 자아실현및 정체성의 공방 그리고 젠더문제에서의 실험적인 대리만족과, 참여하는 게이머로 문화재생산으로의 의미가 있으며 가상소비의 확산,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성찰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게임의 서사와 장르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and Genres of Computer Games)

  • 박태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3-32
    • /
    • 2006
  • 컴퓨터게임의 서사 개념을 이용하여 장르를 구분하는 틀을 제시하려 하였다. 게임의 서사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편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개념으로서 게임 연구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론에서는 서사의 통합체/계열체적 속성과 서사가 게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라는 두 축을 이용하여 각 컴퓨터게임의 장르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게임장르의 서사적 특성을 반영한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국내 게임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분석: 언론학, 청소년학, 심리학 분야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me and Methodology of Game Studies in the Fields of Media Studies, Youth Studies, and Psychology)

  • 이숙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25-134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게임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언론학, 심리학, 청소년학 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게임 관련 논문 총 89편을 분석했다. 언론학(미디어학) 분야 연구들은 게임 이용과 경험, 효과, 중독, 규제, 제작 기술, 공간, 담론, 통치성, 노동 등 다양한 주제로 게임을 탐구하고 있었다. 반면 청소년학과 심리학 분야 연구는 게임 중독과 게임 이용의 부정적 효과에 편중되어 있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언론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 실험연구, 심층인터뷰, 참여관찰, 데이터 크롤링 등을, 청소년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를, 심리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와 실험연구를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일상생활지장과 자아조절능력지장이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aily Living Disorder and Self-Regulation Ability Disorder on Internet Game Addiction)

  • 안현우;김성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7-120
    • /
    • 2020
  • 세계보건기구의 ICD-11 개정 이래 인터넷게임이용장애에 대한 사회적 담론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게임이용장애 혹은 중독에 대한 용어와 인과관계조차 혼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중독에 초점을 두고 만 16~18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생활과 자아조절능력에 지장이 클수록 인터넷게임중독에 빠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의 자문과 설문을 통해 2차 검증을 실시한 연구로써 학술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Intuitive Game Design as digital therapeutic tool for silver-generation

  • Hyein Kwon;Chan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305-31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game content within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Chat-GPTs, grounded in the humanistic discourse of self-reflection. This content aims to empower the dignity of the silver generation, which has been marginalized by digital technology. Simultaneously, we intend to prototype a digital psychotherapeutic tool. The development of a flexible device that adapts to the silver generation's living environment and temporal constraints is also part of our plan. However, there are still few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nd digital therapeutics developed in the form of content are virtually nonexistent. The goal is to implement game content that allows the elderly,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digital technology, to find their true dignity. Simultaneously, we plan to commercialize a prototype of digital psychotherapy that can flexibly adapt to the range of living environments and time constraints of the elderly. This study has been extended based on the game content 'Daily Run' created by Hyein Kwon, an undergraduate student at Kyungil University.

기록학의 담론을 활용한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 구축 (Foundation of Game Archiving Methodology Using Archiving Science)

  • 권대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3-106
    • /
    • 2020
  • 뉴트로가 게임 산업에 새로이 영향을 끼치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해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한국 게임 아카이빙에 주목해 그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게임 아카이빙은 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일관성과 타당성이 결여되었음을 파악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을 구축하는 시론적 연구를 행한다. 먼저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비롯한 기록학의 담론과 타 분야 문화 콘텐츠 아카이빙 연구를 분석해 방법론의 이론적 토대를 명시한다. 이후 이를 한국 게임 아카이빙에 적용하여,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을 구체화한다.

게임 거버넌스에 관한 논고: 푸코의 통치성 개념으로 바라본 게임등급시스템 (The Question Concerning Game Governance: Focusing on Game Rating System Using the Governmantality Concept of Foucault)

  • 김지연;김민규;이종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3-154
    • /
    • 2013
  • 본 논문은 게임 거버넌스의 핵심적 요소로서 게임등급시스템을 분석하고, 주요 행위자들 사이의 균형과 조정, 그리고 문제지점을 조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급시스템은 일련의 합의적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메커니즘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에서 등급분류는 사실상 게임물의 생사여부를 결정하는 사법메커니즘 또는 규율메커니즘으로 작동하고 있다. 국내의 관련 이해당사자 집단들이 대체로 자율등급시스템의 형성에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메커니즘으로의 이행이 어려웠던 기원에 대해 고찰한다면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는 게임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담론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HO의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 이후 언론의 게임 보도에 대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Games after the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in ICD-11)

  • 이숙정;육은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91-10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라는 맥락에서 게임에 대한 언론 보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 5개의 종합일간지에 보도된 게임 기사 694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게임 산업에 대한 보도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주로 산업 동향·기업사 경영 현황에 관한 보도였다. 정책 보도는 규제 정책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특히 중독 관련 정책 보도가 주를 이뤘다. WHO의 질병 코드화를 찬성하는 의견만 다룬 보도는 매우 적었고 반대하는 의견만 다루는 보도와 찬반 의견을 모두 다루는 보도량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반대 근거로는 산업계와 학계의 관점이 반영돼 있었다. 이용 효과 보도는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으나 게임을 극단적인 범죄·일탈행위의 원인으로 보도하는 기존 관행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