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밤나무 재배품종에 대한 밤나무혹벌 내충성 검정 (Resistance to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of Chestnut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 김만조;황명수;김선창;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95-299
    • /
    • 2007
  • 밤 주산지별로 최적 재배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현재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 및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신품종, 그리고 민간에서 육성된 지방품종을 대상으로 밤나무혹벌 (Dryocosmus kuriphilus)에 대한 내충성을 검정하였다. 2004년~2006년 3년간 밤나무혹벌 피해를 조사한 결과 중부지방의 공주와 충주 검정림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의 피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부지방의 광양, 산청 및 합천 검정림에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밤나무혹벌 피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는 합천지역이 밤나무혹벌 피해가 가장 심각함을 알 수 있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된 광은, 산대, 은산, 이대 품종이 저항성이 가장 높았고, 반면에 단택, 이평, 창방감율, 평기, 광덕, 세일, 신이평, 유마변이 품종은 20% 이상의 높은 피해율을 보여 상대적으로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부위별로 결과지보다는 소약지에서 피해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밤나무혹별 피해가 심한 광양, 산청 및 합천에서 주요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년차별 밤나무혹벌 피해율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 2005년을 기점으로 2006년에는 피해율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밤나무혹벌의 천적인 기생벌류의 밀도변동 등 생물학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판(市販) 담즙(膽汁) 생약(生藥)중 주요(主要) 담즙산(膽汁酸)의 분리(分離)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Major Bile Acids i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 박종대;유승조
    • 생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9-146
    • /
    • 1984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is described for the analysis of bile acids after hydrolysi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and ox and pig galls. They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with HPLC mobile phase of acetonitrile/0.5% ammonium carbonate (pH 6.7) (25.5 : 74.5) at a flow rate $(1.0{\rightarrow}1.5ml/min.)$ and differential refractometer. The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and recovery test are good by using the method. The analysis of major bile acid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using the described method is presented. Sample no. 1 of them is similar to separation pattern of ox gall. Sample no. 6 of them is supposed to be genuine bear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Sample $no.\;2{\sim}5$ and 7 of them are supposed to be pig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hyodeoxycholic acid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pig gall.

  • PDF

형질전환 인삼 Callus의 단백질, 환원당 및 Ginsenoside의 양상 (Patterns of Soluble Protein, Reducing Sugar and Ginsenosides in Transformed Calli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준;최광태;양덕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24-130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bout the transformation of ginseng tissue, identification of opine compound and protein, and saponin production from ginseng callus transformed with Ti-plasmic of AW$.$obacterium tumefaiens C58. Ginseng crown gall callus induced by pTiC58 could be continuously cultured on the Phytohormone-free medium. The transformation was reconfirmed by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opine compound, from the gall callus. The transformed ginseng callus contained higher amounts of protein than normal callus and the protein pattern of transformed callus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callus. The xylose which is not detected in the normal callus and ginseng root was identified in gall callus. The saponin contents of gall callus of ginseng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allus, and ginsenoside composition of the transformed callus was similar to that of the cultivated ginseng root, but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callus.

  • PDF

우리나라 포도나무 줄기혹병 병원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of Grapevine Crown Gall in Korea)

  • 정광진;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7-201
    • /
    • 1996
  • 우리나라 포도재배 지역인 포천, 남양주 및 수원의 포도나무 줄기혹병에 이병된 포장으로부터 채집한 줄기혹(gall), 수액(sap) 및 근권토양으로부터 56균주의 유사 Agrobacterium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7균주가 포도나무 유묘의 줄기에 혹ㅇ르 형성시키는 병원성 Agrobacterium biovar의 선택배지에서의 생장, oxidase의 생성, Na L-tartrate로부터 알칼리의 성장, 2% NaCl 첨가 배지에서 생장, 3-ketolactose의 비생산, mesoerythritol과 ethanol로부터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Agrobacterium biovar 3인 A. vitis로 동정되었다.

  • PDF

Mycophagous Gall Midges (Diptera: Cecidomyiidae) in Korea: Newly Recorded Species with Discussion on Four Years of Taxonomic Inventory

  • Ham, Daseul;Jaschhof, Mathias;Bae, Yeon J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1호
    • /
    • pp.60-77
    • /
    • 2020
  • Cecidomyiidae (Diptera) consists of six subfamilie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larval ecological habits (phytophagous, mycophagous, and zoophagous). The five basal subfamilies of Cecidomyiidae consist entirely of mycophagous species, with approximately 1500 species described worldwide and 29 previously known to occur in Korea. In this study, 37 named species (1 Lestremiinae, 29 Micromyinae, 4 Winnertziinae, and 3 Porricondylinae species) are newly reported from South Korea. We excluded Lestremia yasukunii Shinji from the list of Korean mycophagous cecidomyiids as it is a nomen nudum. Therefore, we herein officially recognize 65 species, 30 genera, and four subfamilies for the Korean mycophagous cecidomyiid fauna. We also provide diagnoses and photographs to aid species identification and discussion on the four years of gall midge taxonomic inventory in South Korea.

식생구조에 따른 솔잎흑파리개체군 동태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by Diversity of Vegetation Structure)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33-44
    • /
    • 1983
  • Vegetati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cis of pine needle gall midge were investigated from 1980 to 1982 at the southern part of Palgong mountain near Daegu.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t the areas of A (pure stand), B(30% mixed forest) adn C(60% mixed forest) were as follow; Vegeation of 3 areas were not classified by the species diversity, but by the unequal distribution of Alnus hirsuta, Robinia pseudo-acacia, Lespedeza cyrtobotrya, Quercus variabilis and vitality of Pinus densiflora at the area C was low, due to shadow by broad-leaf trees. Soil environmental factors at 3 areas not characteristic, but the average of humus contents showed high significance and the order was A

  • PDF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에 의한 등나무 혹병 (The Bacterial Gall of Wistaria floribunda Caused by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

  • 김종완;임진우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45-149
    • /
    • 2001
  • 2000년 5월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학교에 소재하는 등나무에 암종이 심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병원체를 분리하고 얻어진 병원세균으로 병원성을 확인한 후 동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 병원세균은 일반 세균학적 성상 및 병원성에 의하여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로 동정이 되었으며 이 병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으로서, 이들 병원세균에 의한 그 병명을 "등나무혹병'이라 명명하기를 제안한다.제안한다.

  • PDF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45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포도나무 뿌리혹병 발생생태 및 포도 재배포장의 Agrobacterium 속의 밀도 조사 (Ecology of Crown Gall Disease and Population of Agrobacterium spp. in Vineyard Soils)

  • 최재을;강성수;박상헌;박문규;박태진;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90-94
    • /
    • 2008
  • 한국 포도나무의 뿌리혹병에 의한 발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뿌리혹병이 발병주율 및 포도나무 재배포장에서 병원균을 측정하였다. 노지와 하우스재배 '거봉'의 뿌리혹병 발병주율은 각각 $0.4{\sim}97.9%$$1.4{\sim}3.8%$, '캠벨얼리'의 발병주율은 각각 $1.2{\sim}2.1%$$0{\sim}1.8%$이었다. Agrobacterium 속의 밀도는 뿌리혹병이 발생한 포장의 토양이 뿌리혹병이 발생하지 않은 토양보다 많이 분리되었다. 플레이트상에서 콜로니 형태와 크기로 21개의 포도나무 토양 샘플로부터 Agrobacterium spp. 480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중 포도나무에 접종하였을 때 13균주만이 뿌리혹을 형성하였다.

솔잎 혹파리의 병원미생물에 관한 조사연구 I. 특히 가잠경화병과 관련하여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of Microbial Pathogen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e I. Pathogenecity of Silkworm Muscardine to Pine Needle Gall Midge)

  • 강석권;조용섭;박호용;고성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시험은 솔잎혹파리의 미생물학적 방제대책의 일관으로서 미생물의 분리동정과 병원성을 연구 조사하고자 행하여졌다. 1. 솔잎혹파리의 유충에서 분리동정 된 균은 Verticillium psalliotae, Aureobdsidium pullulansa, Streptomyces sp., Aspergillus sp.(2종), Ascochyt, sp.의 6종이었으며 6종 전부가 병원성이 있었다. 2. 추기 양잠농가로부터 Spicaria pracina, Isaria farinosa, Oospora destructor, Aspergillus oryzae, A. flavus의 5종의 누에 경화병균을 분리 동정하여, 솔잎혹파리유충에 대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5종 전부가 강력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3. 솔잎혹파리 유충에서는 29종의 colony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Bacillus 계통이 11, coccus 계통이 9개로 구분되었으며, 현재 병원성검정은 진행 중에 있으나 No.4와 No.9-1균주는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