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actose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34초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UDP-Galactose-4-Epimerase Gene (galE) Constituting the gal/lac Operon of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 Lee, Jung-Min, Choi, Jae-Yeon;Lee, Jong-Hoon;Chang, Hae-Choon;Chung, Dae-Kyun;Kim, Jeong-Hwan;Lee, Hyo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393-397
    • /
    • 1999
  • The gene (galE) encoding UDP-galactose-4-epimerase, operative in the galactose metabolic pathway, was cloned together with the $\beta$-galactosidase gene (lacZ) from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L. lactis 7962). galE was found to have a length of 981 bps and encoded a protein with a molecular mass of 36,209 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ed a homology with GalE proteins from several other microorganisms. A Northern analysis demonstrated that galE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by its own promoter. When galactose or lactose was added into medium, the galE transcription was induced by several upstream promoters. The structure of the gal/lac operon of L. lactis 7962 was partially characterized and the gene order around galE was galT-lacA-lacZ-galE-orfX.

  • PDF

Effect of Galactose Feeding Strategy on Heterologous Human Lipocortin-I Production in the Fed-Batch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ontrolled by the GAL10 Promoter

  • Chung, Bong-Hyun;Kim, Byung-Moon;Rhee, Sang-Ki;Park, Young-Hoon;Nam, Soo-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24-228
    • /
    • 1995
  • Fed-batch fermentations were conducted to produce human lipocortin-I (LC1),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from recombinant Sacchromyces cerevisiae carrying a galactose-inducible expression system. The cell growth, expression level of LC1, and the plasmid stability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LC1 induction modes performed by three different galactose feeding strategies. Galactoe was fed to induce the expression of LCl from the beginning (initial induction) of culture or when the cell concentration reached 120 OD (mid-phase induction) or 300 OD (late induction). Among the three galactose-induction modes tested, the initial induction mode yielded the best result with respect to a final expression level of LC1. Fedbatch fermentation with initial induction mode produced LC1 at a conentration of 220 mg/l, which corresponded to 1.38- and 1.53-fold increases over those produced by mid-phase and late induction modes.

  • PDF

신생아 선별검사에 의해 발견된 갈락토스혈증에 대한 고찰 (Galactosemia Detected by Neonatal Screening Test)

  • 박일성;조혜정;이동환;송정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5호
    • /
    • pp.440-446
    • /
    • 2003
  • 목 적 : 갈락토스혈증은 유전성 대사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대표적으로 세 효소의 결핍에 의거하며 임상적 양상은 갈락토스에 대해 노출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첫째는 GALT 결핍증, 둘째는 GALK 결핍증이고, 셋째는 GALE 결핍증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출생 후 갈락토스혈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갈락토스혈증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신생아기에 시행한 선별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여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진단된 갈락토스혈증 환자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여 생후 1개월에 순천향대학병원 소아과에서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갈락토스혈증이 확진된 환아들의 외래 및 입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내원 당시 갈락토스혈증을 확진하기 위해 갈락토스를 효소비색법과 형광측정법으로 측정하였고, 형광측정법으로 galactose-1-phosphate를 측정하였다. 적혈구 내의 GALK, GALT, GALE의 활성도, 그리고 galactose-1-phosphate를 동위원소 검사로 측정하였으며 Beutler 법을 시행하였다. 진단된 환아들에서는 유당제거 식이를 투여하면서 갈락토스와 galactose-1-phosphate를 추적검사 하였으며 의심되는 효소에 대한 추적 검사도 시행하였다. 결 과: 갈락토스혈증으로 확진받은 환아들은 총 10명이었고 그 중 남아가 6명, 여아가 4명이였다. 10명 중 GALK 결핍증이 2명, GALT 결핍증이 2명 그리고 GALE 결핍증이 6명으로 GALE 결핍증이 가장 많았다. 2명에서 GALK 결핍증이 진단되었으며 GALT와 GALE은 두 환아 모두에서 정상이면서 GALK가 각각 0.7, 8.02 nmol/min/g Hb로 감소되어 있어 GALK 결핍증으로 진단하였다. 1명의 환아의 경우 GALK가 심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 2번 환아의 경우 2세와 3세에 추적 검사한 GALK가 각각 16.7, 16.8 nmol/min/g Hb로 1세 이후의 정상치인 20-30 보다 낮았으며 감소 정도로 보아 보인자로 생각되었다. GALT 결핍증의 경우 2명의 환아에서는 적혈구 내의 GALT의 활성도가 각각 6.7, $8.6{\mu}L/hr/g$ Hb로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어 GALT 결핍증으로 진단하였으며 두 환아 모두 DNA분석에서 Duarte 2/G(galactosemia)의 유전형을 갖는 Duarte 2 variant galactosemia로 진단되었다. GALE 결핍증이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GALE의 활성도는 6명 모두에서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이들 중 3명은 적혈구 내의 GALE의 활성도가 진단시 각각 14.9, 9.2 $8.6{\mu}L/hr/g$ Hb이었고 추적 검사한 GALE의 활성도는 각각 14.8, 12.7, $12.21{\mu}L/hr/g$ Hb로 이들의 감소정도로 보아 GALE 결핍증 중 경증 또는 보인자로 생각되었다. 1명은 진단시 및 추적 검사한 GALE의 활성도가 각각 2.9, $6.46{\mu}L/hr/g$ Hb로 감소 정도로 보아 homozygote state로 추정되었다. 또한 다른 1명은 GALE의 활성도가 $6.8{\mu}L/hr/g$ Hb로 감소 정도로 보아 homozygote state로 추정되나 앞으로 추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에 4명의 환아들의 경우 효소의 결핍에 의한 갈락토스혈증이 아니라 GALK의 과다반응에 의해 갈락토스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그러므로 갈락토스 농도가 증가하였을 때 GALK 과다반응의 경우를 감별해야한다. 결 론 : 본 연구의 경우 임상적으로 증상이 있었던 경우는 없었으며 GALE 결핍증이 가장 많았고 GALT 결핍증 환아들은 모두 보인자였다. 또한 유당 제거 식이 후 갈락토스와 galactose-1-phosphate는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신생아 선별검사를 통해 갈락토스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정밀검사를 통해 확진을 하여 갈락토스혈증이 어떤 병형인가를 알아내는 것이 예후에 중요하며 조기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Ethanol Production from the Seaweed Gelidium amansii, Using Specific Sugar Acclimated Yeasts

  • Cho, Hyeyoung;Ra, Chae-Hun;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264-269
    • /
    • 2014
  • For the production of ethanol from seaweed as the source material, thermal acid hydrolysis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were carried out for monosugars production of 25.5 g/l galactose and 7.6 g/l glucose using Gelidium amansii. The fermentation was performed with Pichia stipitis KCTC 7228 or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129. When wild P. stipitis and S. cerevisiae were used, the ethanol productions of 11.2 g/l and 6.9 g/l were produced, respectively. The ethanol productions of 16.6 g/l and 14.6 g/l were produced using P. stipitis and S. cerevisiae acclimated to high concentration of galactose, respectively. The yields of ethanol fermentation increased to 0.5 and 0.44 from 0.34 and 0.21 using acclimated P. stipitis and S. cerevisiae, respectively. Therefore, acclimation of yeasts to a specific sugar such as galactose reduced the glucose-induced repression on the transport of galactose.

Enterobacter agglomerans TY-25 에 의한 D-Galactose로부터 D-Tagatose의 생산

  • 김상용;노회진;오덕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90-494
    • /
    • 1997
  • A variety of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D-tagatose from D-galactose. An organism that can convert D-galactose into D-tagatose was selected and was identified as Enterobacter agglomerans. The cells grown on the induction medium containing 20 g/l arabinose were found to the best conversion potential among different carbohydrates and the conversion yield was about 15% when 20 gll galactose was used. The isolated crystals were obtained from the culture broth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such as treatment of ion resins, crystallization, and drying. The recovery yield was 70% after the purification. The crystals were identified as D-tagatose by the infrared spectroscopy, HPLC, specific optical rotation, and melting point.

  • PDF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구성당 결합 특성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urified Fucoidan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8-131
    • /
    • 1997
  • 국내산 주요 갈조류인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기본 결합 구조 및 황산기 결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제 fucoidan및 이를 methanolysis하여 얻은 고분자 획분을 각각 methylation 및 FT-IR 측정을 하였다. 다시마, 톳, 모자반, 미역포자엽 정제 fucoidan의 주 결합은 $(1\rightarrow3)$ linked fucose였으며 미역포자엽에는 $(1\rightarrow3)$ linked galactose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황산기의 대부분은 fucose와 galactose의 C-4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Docking Study of Human Galactokinase Inhibitors

  • Babu, Sathya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67-272
    • /
    • 2015
  • Galactosemia is a potentially lethal disorder caused by the deficiency of the enzyme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 (GALT) within the Leloir pathway. Galactokinase (GALK) is the enzyme in Leloir pathway which converts ${\alpha}$-D galactose to galactose 1-phosphate. The elevated level of galactose-1-phosphate, the product of GALK plays a major role in Galactosemia. Therefore the inhibition of GALK is a novel therapy for this disorder. Hence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molecular docking of twenty inhibitors with different activity against galactokinase into the active site of galactokinase enzyme. The binding mode of these inhibitors was obtained using Surflex dock program interfaced in Sybyl-X2.0. The residues such as SER141, TYR109, ARG105, ARG228, TYR106, GLY346, GLY136, ASP86, ASP186 and SER142 found to interact with inhibitors.

재래식(在來式) 한국(韓國)간장중(中)의 유리당류(遊離糖類) (Free-Sugars in Ordinary Korean Soy-Sauce)

  • 장지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35-37
    • /
    • 1966
  • 재래식(在來式) 간장을 5개(個) 가정(家庭)에서 채취(採取)하여 유리당류(遊離糖類)에 관(關)하여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법(法)에 의(依)해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았다. 1) 재래식(在來式) 간장중(中)의 당류(糖類)는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이 였다. 2) 양적(量的)으로 볼때 galactose, arabinose, xylose glucose의 순위(順位) 였다.

  • PDF

$\alph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Bacillus lichennformis YB-42의 분리와 효소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alpha$-Galactosidase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rmis YB-42.)

  • 김현숙;이경섭;소재호;이미성;최준호;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8-134
    • /
    • 2004
  • 가정에서 제조된 된장으로부터 -galactosidase의 생산균으로 분리된 YB-42는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RNA의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B. lichentyormiE YB-42의 -galactosidase 활성은 균체내ㆍ외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배양상등액으로부터 DEAE-Sepharose와 Q-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부분 정제한 -galactosidase을 사용하여 para-nitrophenyl--D-galactopyranoside(pNP-Gal)의 가수분해 반응특성을 조사한 결과 와 pH 6.5에 서 최대 활성을 보였다. Melibiose, raffinose와 stachyose는 부분 정제효소액에 의해 완전히 가수분해 되었으며, 분해산물로 galactose가 생성된 것으로 보아 -1,6 결합이 분해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pNP-Gal과 melibiose의 가수분해 활성은 galactose에 의해 가장 크게 저해되었으며, galactose보다는 낮지만 pNP-Gal의 가수분해 활성이 mannose와 glucose에 의해서도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천성 갈락토스혈증으로 오인된 신생아 간 내 혈관내피종 1례 (A Case of Infantile Hepatic Hemangioendothelioma Incidentally Detected during the Evaluation of Galactosemia)

  • 임령경;변신연;박성식;김영돈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136-140
    • /
    • 2010
  •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선별검사에서 갈락토스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혈관내피종과 같은 간 실질 내 종양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갈락토스혈증 관련 효소검사와 함께 간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학적 진단법, 총담즙산, AFP등의 측정을 병행하여야 원인감별에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선별검사에서 갈락토스혈증이 의심되었던 생후 13일된 영아에 대하여 원인을 조사하던 중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간 내 혈관내피종을 발견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