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zzy clustering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31초

주성분 분석과 퍼지 연관을 이용한 문서군집 방법 (Document Clustering Method using PCA and Fuzzy Association)

  • 박선;안동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2호
    • /
    • pp.177-182
    • /
    • 2010
  • 본 논문은 주성분 분석과 퍼지 연관을 이용한 새로운 문서군집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주성분 분석의 의미특징을 이용하여 군집 레이블과 군집의 대표 용어들을 선택하기 때문에 문서군집의 내부구조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퍼지연관 값을 이용한 군집은 문서군집에 유사하지 않은 문서를 더 잘 구분함으로써 문서군집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을 적용한 문서군집방법이 다른 문서군집 방법에 비하여 좋은 성능을 보인다.

퍼지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휘발성 화학물질의 분류 (Classification of Volatile Chemicals using Fuzzy Clustering Algorithm)

  • 변형기;김갑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42-1044
    • /
    • 1996
  • The use of fuzzy theory in task of pattern recognition may be applicable gases and odours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This paper reports results obtained from fuzzy c-means algorithms to patterns generated by odour sensing system using an array of conducting polymer sensors, for volatile chemicals. For the volatile chemicals clustering problem, the three unsupervise fuzzy c-means algorithms were applied. From among the pattern clustering methods, the FCMAW algorithm, which updated the cluster centres more frequently, consistently outperformed. It has been confirmed as an outstanding clustering algorithm throughout experimental trials.

  • PDF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상에서 라우팅 성능 향상을 위한 퍼지 적합도 기반 클러스터링 (Fuzzy Relevance-Based Clustering for Routing Performance Enhancement in Wireless Ad-Hoc Networks)

  • 이종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95-503
    • /
    • 2010
  • 클러스터링은 모바일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주며, 라우팅, 대역폭 할당과 같은 처리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메카니즘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동성(mobility)으로 인한 동적 속성, 평면구조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노드 분산 등과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라우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퍼지 적합도 기반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FSV(Fuzzy_State_Viewing) 구조를 이용하여 퍼지 적합도${\alpha}$를 수행한다. 퍼지 적합도${\alpha}$는 FSV 구조에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클러스터헤드 CH(ClusterHead)를 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제안된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서 기존의 1-홉 클러스터 및 2-hop 클러스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는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시뮬레이션 평가를 위해 기존의 Lowest-ID, MOBIC, SCA 기법 그리고 제안된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기법의 성능이 Lowest-ID, MOBIC, SCA 기법에 비해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적응적인 초기치 설정을 이용한 Fast K-means 및 Frizzy-c-means 알고리즘 (A Fast K-means and Fuzzy-c-means Algorithms using Adaptively Initialization)

  • 강지혜;김성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4호
    • /
    • pp.516-52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K-means 또는 Fuzzy-c-means 알고리즘에서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찾는 과정 중 임의로 선택되는 초기값 선정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방안으로서 데이터의 분포의 통계적 특성에 따른 초기값 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초기값 선정 방법은 초기값에 따라 클러스터링이 매우 민감한 변화를 가져와, 최종적으로 종종 원치 않는 방향으로 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초기값 선정의 문제가 인지되어 왔지만, 그 문제의 해결방안이 실제적으로 모색된 경우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초기값 선정 방법을 적용하여, 클러스터링이 형성되는 시간의 단축 및 원치 않는 결과가 생성되는 경우를 약화시켜 시스템의 향상을 가져왔고, 이러한 제안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를 통하여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과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기를 이용한 퍼지 군집화 모형 (Fuzzy Clustering Model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Naive Bayesian Classifier)

  • 전성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4호
    • /
    • pp.485-490
    • /
    • 2004
  • 자조의 표현에서 군집화는 주어진 데이터를 서로 유사한 개체들끼리 몇 개의 집단으로 묶는 작업을 수행한다. 군집화의 유사도 결정 측도는 맡은 연구들에서 매우 다양한 것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군집화 결과의 성능 측정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설정이 어렵기 때문에 군집화 결과에 대한 해석은 매우 주관적이고, 애매한 경우가 많다. 퍼지 군집화는 이러한 주관적인 군집화 문제에 있어서 객관성 있는 군집 결정 방안을 제시하여 준다. 각 개체들이 특정 군집에 속하게 될 퍼지 멤버 함수값을 원소로 하는 유사도 행렬을 통하여 군집화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원 축소기법의 하나인 주성분 분석과 강력한 통계적 학습 이론인 베이지안 학습을 결합한 군집화 모형을 제안하여, 객관적인 퍼지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UCI Machine Loaming Repository의 Iris와 Glass Identification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계층적 클러스터링과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 뉴로-퍼지 모델링 (A Neuro-Fuzzy Modeling usi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d Gaussian Mixture Model)

  • 김승석;곽근창;유정웅;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12-51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링과 GMM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최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이를 뉴로-퍼지 모델의 초기 파리미터로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 개선을 제안한다. 반복적인 시도 중 가장 좋은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존의 알고리즘 과 달리 계층적 클러스터링은 데이터들 간의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므로 반복적인 시도가 불필요하다. 또한 클러스터링 방법에 의해 퍼지 모델링을 행하므로 클러스터와 동일한 갯수의 적은 규칙을 갖는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함을 비선형 데이터인 Box-Jenkins의 가스로 예측 문제와 Sugeno의 비선형 시스템에 적용하여 이전의 연구보다 적은 규칙으로도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보였다.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with Pseudo Mahalanobis Distances

  • ICHIHASHI, Hidetomo;OHUE, Masayuki;MIYOSHI, Tetsuya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The Third Asian Fuzzy Systems Symposium
    • /
    • pp.148-152
    • /
    • 1998
  • Gustafson and Kessel proposed a modified fuzzy c-Means algorithm based of the Mahalanobis distance. Though the algorithm appears more natural through the use of a fuzzy covariance matrix, it needs to calculate determinants and inverses of the c-fuzzy scatter matrices. This paper proposes a fuzzy clustering algorithm using pseudo mahalanobis distance, which is more easy to use and flexible than the Gustafson and Kessel's fuzzy c-Means.

  • PDF

A novel Neuro Fuzzy Modeling using Gaussian Mixture Models

  • Kim, Sung-Suk;Kwak, Keun-Chang;Kim, Sung-Soo;Chun, Myung-Geun;Ryu, Jeong-Wo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110.1-110
    • /
    • 2002
  • We propose a novel neuro-fuzzy system based on an efficient clustering method. It is a very useful method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 fuzzy model with small number of fuzzy rules. The fuzzy clustering methods are studied in the wide range of fuzzy modeling. One of them, the grid partition method has problem of exponentially increasing number of rules when the dimension of input or number of membership function is linear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Expectation Maximization algorithm is an efficient estimation for unknown parameters of the Gaussian mixture model. Here it is noted that the parameters can be used for fuzzy clustering method. In a fuzzy modeling, it is desired that...

  • PDF

입출력 부공간에서의 데이터 클러스터링에 의한 퍼지제어 시스템 설계 (Fuzzy control system design by data clustering in the input-output subspaces)

  • 김민수;공성곤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2호
    • /
    • pp.30-40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 of fuzzy control systems by clustering the data in the subspace of the input-output produyct space. In the case of servo control, most input-outputdata are concentrated in thye steady-state region, and the the clustering will result in only steady-state fuzzy rule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divide the input-output product space into some subspaces according to the state of input variables. The fuzzy control system designed by the subspace clustering showed good transient response and smaller steady-state error, which is comparable with the reference fuzzy system.

  • PDF

Polynomial Fuzzy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Classifiers Realized with the Aid of Boundary Area Decision

  • Roh, Seok-Beom;Oh, Sung-Kw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2098-2106
    • /
    • 2014
  • In the area of clustering, there are numerous approaches to construct clusters in the input space. For regression problem, when forming clusters being a part of the overall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put space and the output space are essential and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Conditional Fuzzy C-Means (c-FCM) clustering offers an opportunity to analyze the structure in the input space with the mechanism of supervision implied by the distribution of data present in the output space. However, like other clustering methods, c-FCM focus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data.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method, which by making use of the ambiguity index focuses on the boundaries of the clusters whose determination is essential to the quality of the ensuing classification procedures. The introduced design is illustrated with the aid of numeric examples that provide a detailed insight into the performance of the fuzzy classifiers and quantify several essentials design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