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iform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41초

톳 분획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Fraction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은옥;김향숙;한민호;최영현;박철;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95-15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톳 분획물의 미백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톳 분획물이 ${\alpha}$-MSH에 의해 인위적으로 유발된 melan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MITF, TRP1, TRP2, tyrosinase 등과 같은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톳 분획물 처리가 B16F10 mouse melanoma cell의 멜라닌의 생성량과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butanol fraction (BFHF) 처리군과 water fraction (WFHF) 처리군을 제외한 ethyl extract (EEHF) 처리군, dichlorimethane fraction (CFHF ) 처리군, ethyl acetate fraction (EAFHF) 처리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은 50 ${\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량을 40.5%, 33.2% 감소시켰으며,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3.3%, 54.1% 감소시켰다. 또한 EEHF, CFHF, EAFHF 처리군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톳 분획물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이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므로 향후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poptosis 유도에 의한 톳 ethyl alcohol 추출물의 인체 유방암세포 증식 억제 (Apoptosis Induction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y Ethyl Alcohol Extract of Hizikia fusiforme)

  • 정선화;황원덕;남택정;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81-1590
    • /
    • 2009
  • H. fusiformis는 갈조식물, 모자반과의 해조류로서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전역에 서식하는 천연자원식물이다. 최근 톳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항암에 대한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연구가 많이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방암세포주인 MDA-MB-231 및 MCF-7 세포를 대상으로 톳 에탄올 추출물(EAHF)에 의한 증식억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두 세포주 모두에서 EAHF을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EAHF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심한 형태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방암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변화는 MDAMB-231에서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EAHF에 의해 유발된 apoptosis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apoptosis 유발 세포군에 해당하는 sub-G1기에 속하는 세포들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MDA-MB-231세포의 경우는 EAHF의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sub-G1기에 해당하는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여 $400{\mu}g/ml$의 농도에서는 약 23% 정도가 나타났지만 MCF-7 세포에서는 apoptosis 유발보다는 G1 arrest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염색질 응축과 연관된 apoptotic body 형성과 함께 apoptosis 유발의 직접적인 증거에 해당하는 DNA fragmentation 여부를 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다. MDAMB-231 세포에서는 apoptosis가 일어난 세포들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DNA laddering을 관찰 할 수 있었지만 MCF-7세포에서는 DNA laddering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에 EAHF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MDA-MB-231 및 MCF-7 세포 모두에서 death receptor에 속하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MDA-MB-231 세포에서 pro-apoptotic Bax의 발현 증가와 caspase-9 및 -3의 활성화,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의 분해 등이 관찰되었다.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톳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침윤성 저해 (Inhibition of Cell Invasion by Ethyl Alcohol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 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784-17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톳 에탄올 추출물(EHF)의 항침윤성과 tight junctions (TJs)의 tightening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EHF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연관된 세포이동성 및 침윤성의 감소는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와 연계된 Js의 tightness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EHF는 matrix metalloprotease (MMP)-2 및 -9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MMPs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감소에 의한 것이었으나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1 및 -2의 mRNA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EHF는 TJs의 주요 조절인자인 claudin family 단백질들(claudin-1, -3 및 -4)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insulin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단백질은 감소된 반면 thrombospondin-1 및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톳 추출물이 암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국 남서해안 관매도와 영산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wanmaedo and Yeongsando, Korea)

  • 한수진;전다빈;이정록;나연주;박서경;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3-60
    • /
    • 2016
  • Seasonal variations in seaweed communities were examined at Gwanmaedo and Yeongsando, Korea, from May 2014 to February 2015. Eighty-nine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1 green, 20 brown and 58 red algae. Seventy-three and 74 species were identified at Gwanmaedo and at Yeongsando, respectively. Sargassum thunbergii and Myelophycus simplex were the dominant species, comprising 60.89 and 39.50% of total biomass, respectively, and S. fusiforme was subdominant at the two sites. Of six functional seaweed forms, the coarsely-branched form was the most dominant, forming about 43% of the species number at Gwanmaedo and Yeongsando. Seasonal seaweed biomasses ranged between 53.10 and 172.85 g/m2 (average 93.57 g dry wt./m2) and between 83.11 and 176.20 g (138.21 g/m2) at Gwanmaedo and Yeongsando,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from the high to low intertidal zone was S. thunbergii and Gloiopeltis furcata; M. simplex and S. thunbergii; and S. fusiforme at Gwanmaedo. Seaweed zonation was distinct at Yeongsando, with S. thunbergii and Gelidiophycus freshwateri; M. simplex and S. thunbergii; and S. thunbergii and S. fusiforme. Seaweed biomass, evenness index (J'), and diversity index (H') values were greater at Yeongsando (138.21 g/m2, 0.51, 2.18 respectively) than at Gwanmaedo (93.57 g/m2, 0.48, 2.04), indicating that the seaweed community at Yeongsando is more stable than that at Gwanmaedo.

방사선을 조사한 마우스에서 비장세포에 대한 톳의 보호 작용 (Protective effect of Hizikia fusiforme on radiation-induced damage in splenocytes)

  • 김아름;빙소진;조진희;안긴내;이지혁;전유진;이병걸;지영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1-30
    • /
    • 2015
  • The immune system is specifically sensitive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ionizing radiation because of its rapid proliferative activity. For this reason, an instructive immune system is one of the best ways to minimize side effects, such immunodeficiency, of gamma radiation. Over the past few decades, several natural plants with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have been identified as adjuncts for nontoxic and successful radiotherapy. Hizikia fusiforme extract (HFE) containing plentiful dietary fiber and fucoidan is known for its instructive antioxidant capacity, immunomodulation abilities, and immune activatio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HFE protects radiosensitive immune cells from gamma radiation-induced damage. C57BL/6 mice were irradiated with gamma-ray. The effect of HFE on the ionizing radiation damage of immune cells was then evaluated with an MTT assay,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and PI staining. We found that HFE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gamma-ray irradiated immune cells without cytotoxic effects. We also observed that HFE not only decreased DNA damage but also reduced gamma radiation-induced apoptosis of the immune cells. Our results suggest that HFE can protect immune cells from gamma-ray damage and may serve as an effective, non-toxic radioprotective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