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el alcoho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Determination of fusel oil content in various types of liquor distributed in Korea

  • Lee, Soo-Baek;Shin, Jung-Ah;Lee, Ki-Tea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ntent of 6 different fusel oils in 9 types of liquor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GC-FID method was employed for quantifying fusel oil (1-propanol, iso-butanol, 1-butanol, 2-butanol, iso-amyl alcohol, active amyl alcohol) levels in 260 liquor samples of liquor.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 of intra-and interday measurements were under 1.56 and 2.44%, respectively, while recovery rates (%) were 98.22-105.26% and 98.53-107.15%, respectively. Pretreatment method (filtering and centrifugation) of Takju did not affect analytic results. The average of total fusel oil contents in Yakju (39 types) and fruit wines (30 types) were 497.6 and 151.9 mg/L, showing Yakju contains more fusel oils than Takju or fruit wines. In fruit wines, iso-amyl alcohol was the major fusel oil component (at 6.8-249.0 mg/L). The highest content of fusel oil was found in foreign brandy, whereas the diluted Soju did not contain fusel oils. However, the average of total fusel oil contents was high at 764.5 mg/L in the three types of distilled Soju and iso-amyl alcohol content ranged from 114.2 to 421.0 mg/L. Domestic and foreign beers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fusel oil compositions and contents. In conclusion, excluding the diluted Soju, the contents of total fusel oils ranged from 114.8 to 1447.3 mg/L in the monitored liquors.

대규모의 주정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불순물과 그 효율적 분리 (Impurities formed from ethanol fermentation process among different materials and it′s effective separation in large scale)

  • 류병호;김운식;남기두;이인기;하미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1-376
    • /
    • 1986
  • 주정발효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의 분리를 위한 공정개선으로 주정원료별 불순물의 양을 알아보고 이를 su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서 집적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하였다. 주정발효공정중에 생성되는 불순물 중 methanol은 절간고구마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그 다음이 타피오카였다. fusel oil중 n-propanol은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 및 타피오카의 순서이고 iso-butanol은 타피오카, 옥수수, 쌀, 절간고구마 및 쌀보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iso-amyl alcohol은 타피오카,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의 순이었다. 한편 sup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 의한 fusel oil의 분리시 alcohol함량에 따른 집적율을 보면 n-propanol은 alcohol이 78.25%(v/v)일 때 37.9%. iso-butanol은 alcohol이 68.54% (v/v)일 때 28.6%, n-butanol은 alcohol 50% (v/v)일 때 37.4% iso-amyl alcohol은 alcohol이 50% (v/v)일 때 56.1%의 가장 높은 집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집적된 불순물은 side cut 하여 후류탑으로 유입시킨 후 재차 농축하여 탑저부의 붕(plate)에서 fusel oil을 side cut하여 일부는 직접분리하고 나머지는 다시 fusel oil분리기에 넣어 alcohol이 20%(v/v) 되도록 가수하여 분리하였다.

  • PDF

전통 방법으로 담금한 소주 제조중의 퓨젤유 및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 인혜영;이택수;이동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0
    • /
    • 1995
  • 전통 방법으로 제조한 안동소주, 문배주, 이강주, 진도홍주식 소주의 술덧과 소주의 퓨젤유 및 향기성분은 다음과 같다. 퓨젤유의 총량은 술덧에서 $0.090{\sim}0.324mg/ml$이었으나 이를 증류한 소주에서는 $0.357{\sim}0.868mg/ml$로 증가되었으며 문배주나 안동소주식 소주에서 그 함량이 다소 낮았다. 퓨젤유 성분 중 iso-amyl alcohol은 술덧이나 소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다. 술덧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furfural이 증류한 소주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술덧과 소주의 향기성분으로 alcohol 7종, ester 7종, aldehyde 4종, acid 1종과 미동정물질 14종이 검출되었으며 술덧에서 $23{\sim}25$종, 소주에서 $16{\sim}23$종이 검출되었는데 술덧 중에서는 진도홍주식 술덧이, 소주 중에서는 문배주식 소주가 검출된 향기성분의 수가 많았다. 술덧과 소주에서 공통된 성분은 ethyl acetate, 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acetic acid, ethyl pelargonate, phenylethyl alcohol 등 9종이었고 peak area(%)로 보아 ethyl alcohol이 $62.9{\sim}95.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술덧에서는 n-hexyl alcohol, acetic acid, phenylethyl alcohol이, 소주에서는 iso-amyl alcohol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강주식 술덧에서 phenylethyl alcohol의 비율이, 진도홍주식 술덧에서 n-hexyl alcohol과 phenylethyl alcohol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색이었다.

  • PDF

산머루주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Wild Grape Wine)

  • 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24-37
    • /
    • 2008
  • 산머루 발효주 제조를 위하여 산머루에 자생하고 있는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는 산머루에서 분리한 SMR-3이 알코올 발효력이 우수하고 산도, 잔당, 유기산 함량 및 fusel oil 등의 함량이 낮아 품질면에서 다른 균주로 발효한 산머루주보다 우수하였다. SMR-3을 이용하여 산머루주 제조 최적화를 위한 반응표면 분석결과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은 배양조건으로 온도 $21.91^{\circ}C$, 당함량 $21.48^{\circ}brix$, 발효시간 14.65일의 조건에서 알코올 함량 10.61%가 예상되었고, 잔당함량은 $24.48^{\circ}C$, $12.78^{\circ}brix$, 발효시간 9.02일의 조건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의 결과 발효온도 $20.23^{\circ}C$, 초기당도 $25.30^{\circ}brix$, 발효시간 5.94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이 대부분이었고, fusel oil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서 산머루주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자별 산머루주의 알코올 함량, fusel oil, ethyl alcohol 함량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최적 발효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발효온도 $24{\sim}28^{\circ}C$, 초기당도 $20{\sim}24^{\circ}brix$ 및 발효시간 $12{\sim}14$일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전통 이화주 양조 중의 주요성분(유기산, 알코올, Fusel Oil) 및 관능적 품질 특성 (Major Components(Organic acids, Alcohols, Fusel Oil) and Sensory Properties of Traditional Ewhaju during Brewing)

  • 김정옥;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
    • /
    • 1994
  • Major quality parameters(organic acids, alcohols, fusel oi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Ewhaju were investigated during brewing. In organic acid contents at immediately after brewing, lactic acid was 155.1mg%, malonic acid was 5.4mg%, succinic acid was 8.9mg%, acetic acid was 7.6mg%, oxalic arid was 1.3mg%, citric and tartaric acid was 27.8mg% and pyruvic acid was 4.8mg% but in 100 days after brewing and one year aged, lactic acid was 1763.3 and 3059.3mg%, malonic acid was 12.3 and 19.3mg%, succinic acid was 11.5 and 23.1mg%, acetic acid was 29.2 and 73.1mg%, oxalic acid was 0.6 and 0.2mg%, citric and tartaric acid was 298.3 and 639.6mg%, and pyruvic acid were 1.1 and 0.3mg%, respectively. All the alcohol content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 the ethyl alcohol was only 0.05fe at immediately after brewing. In the alcohols content of Ewhaju at 100 days after brewing, the ethyl alcohol, m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and iso-butyl alcohol were 5.13ft, 47.56 ppm, 37.25 ppm and 19.51 ppm, respectively, Also in the one year aged Ewhaju, the ethyl alcohol was 9.39f), methyl alcohol was 36.34 ppm, Fusel oil was not detected in the first stage of brewing, but it was detected 1.12mg% at 100 days after brewing and 1.18mg% at one year stored sample. A general trend in change of color was almost white immediatly after brewing but a increase in Hunter "b" value and "a" value were observed depending on brewing time prolonged. Taste and overall palatability of Ewhaju after 100 days of brewing were significantly superior(p<0.05, p<0.01).

  • PDF

증류조건을 달리한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 정용진;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3-437
    • /
    • 2012
  • 감자를 이용해서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고 전통방식의 소주고리 증류 및 감압증류 조건에 따른 퓨젤유 및 휘발성 성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자소주의 퓨젤유 함량은 감자술덧을 감압 증류하였을 때 높았으며,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anol의 상대비는 전통방식 증류주가 3.1 : 0.8 : 1.0, 감압 증류주가 4.0 : 1.2 : 1.0 이었다.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chromatogram은 증류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휘발성 성분으로는 감자소주(I)에서 alcohol류 4종, ester류 6종, aldehyde류 1종, acid류 1종, 감자소주(II)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14종, aldehyde류 2종, acid류 1종 및 기타 성분 3종이 확인되었다. 감자소주(II)는 향에 대한 선호도가 감자소주(I)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주 제조 시 율무 첨가에 따른 휘발성 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 신순영;서수환;조원대;이효구;황한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06-1213
    • /
    • 2003
  • 탁주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율무를 첨가하여 제조한 탁주의 탁주로서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기존 쌀코오지를 이용하여 전분원으로서 율무를 15, 30, 60와 100% 첨가했을 경우, 효모의 균수와 ethanol의 생성량은 각각 9.5${\times}$$10^{7}$ ∼2.3${\times}$$10^{8}$ cell/mL과 13.6∼15.2%로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율무의 알콜 발효원으로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고급알콜인 iso-amyl alcohol은 첨가된 율무량에 따라 1,150ppm으로부터 1,206, 1,213, 1,293, 1,604 ppm으로 각각 증가되고, acetaldehyde와 iso-butanol도 율무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Aspergillus kawachii(AK)와 ifhizopus japonicus(RJ)를 이용하여 율무누룩주를 만든 결과 ethanol 생성량은 쌀코오지로 만든 율무주에 비해 14%로부터 각각 11.2%(AK), 7.5%(RJ) 그리고 10.4%(AK+ RJ)로 감소하였고, 효모의 수는 7.5${\times}$$10^{7}$ ∼2.6${\times}$$10^{8}$ cell/mL이었으며, isoamyl alcohol 함량이 1,840 ppm으로부터 각각 632[AK], 855[RJ], 792 ppm[AK+RJ]로 감소하였고, n-propanol, iso-butanol 등의 fusel oil도 감소하였으나, acetaldehyde가 57ppm으로부터 99[AK], 138[RJ], 131 ppm[AK+RJ]으로 각각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탁주제조에 있어 율무의 이용은, 전분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알콜 발효와 관능검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fusel oil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누룩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ethanol의 생성과 fusel oil의 생성이 감소하고, acetaldehyde의 함량이 현격히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가 낮아졌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ER var. koreana Nakai) 추출물의 간 기능 개선 작용 및 간암세포 증식억제 효능 검정

  • 황현익;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79-283
    • /
    • 2003
  • 헛개나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alcohol과 acetaldehyde, fusel oil류 대한 분해효과를 검정한 결과 alcohol 분해 및 숙취해소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체내 독성물질 제거를 위한 GST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헛개나무 추출물이 GST 효소와 비교 시 약 2배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헛개나무 추출물의 간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1\;mg/m{\ell}$에서 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GC를 이용한 주류중 에탄올 및 유해 성분의 동시 분석법 (Simultaneous Analysis of Ethanol and Harmful Components by GC in Alcoholic Liquors)

  • 정의한;이명자;강금자;문혜성;유병옥;황정구;장준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48
    • /
    • 1992
  • 우리나라의 식품 공전에서 주류의 검사방법이 비색 및 적정의 방법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런 습식분석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개인오차 등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주류의 제조 과정 중 휴겔류가 생성되는데 n-propanol, 2-propanol, n-butanol, i-butanol, i-amyl alcohol이 주로 생성된다. 우리는 GC를 이용하여 개개의 물질을 분리하고 농도에 따른 신호가 직선성이 얻어지면 동시에 정성 및 정량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즉 GC나 GC/MSD에 의해 capillary FFAP 칼럼을 이용하여, 다섯가지 휴젤성분, 아세트알데히드, 메탄올, 에탄올 그리고 내부표준물질인 아세토니트릴을 동시에 분리하였다. 그리고 capillary FFAP 칼럼으로 분리된 각 피이크가 단일종이라는 것을 GC/MSD를 이용하여 각각의 mass 스펙트럼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부 표준법으로 GC에 의해 각 물질에 대한 좋은 정량자료를 얻었다.

  • PDF

전통주의 제조방법별 발효 특성 및 숙성후 품질변화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Prepared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and Their Quality Changes after Aging)

  • 김인호;박완수;구영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7-506
    • /
    • 1996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nges of the typical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Kwahaju,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nd after aging, respectively. They were prepared by their own brew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same contents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The consumed total sugar cont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hich were brewed with the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ABMI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coholic beverage (Kwahaju) which was brewed with the single input step (ABSIS). The pH values of all the beverages were similar and were ranged from 3.2 to 3.6. The acidity of ABMIS were lower than that of ABSIS, but alcohol concentration of ABMIS were higher. The fermentation period of the alcoholic beverages with triple input steps was the longest among them. The inner temperature and microbial growth in all the beverages increased at each of input steps of the raw materials. Fusel oil content of ABMIS was lower than that of ABSIS. Major components of the fusel oil were iso-amyl alcohol, iso-butanol, n-propanol, ethyl acetate and acetaldehyde, and its minor components were methanol and n-butanol. The results on quality changes of the alcoholic beverages after aging showed increase of alcohol in ABMIS, but decrease of sugar and acidity. Fusel oil contents of Kwahaju and Samhaeju decreased to be ranged from 3.1% to 13.9% after aging, but those of Sokokju, Baikhaju and Hosanchun increased to be ranged from 10.9% to 23.0%. Sensory evaluation of ABMIS showed better scores than that of AB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brewing method with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was one of the methods to increase fermentation efficiency for brewing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