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eral rol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87초

서비스중심논리의 장례서비스 개념과 역할 고찰 (Examination of funeral service concept and role of Service-Dominant Logic)

  • 이필도;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43-53
    • /
    • 2020
  • 서비스는 수요자(고객)와 제공자(서비스 종사자)의 인간적인 상호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무형경제시대 서비스는 관계재화로서 인적자본을 행사하는 창조활동으로 이해한다. 대부분의 서비스 활동은 사물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인간적 활동이기 때문에 이용자와 서비스종사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존하게 되며, 장례서비스는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 대상자(고인, 유가족, 조문객)에게 제공하는 인간적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장례서비스는 죽음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고인과 유족, 조문객을 위한 서비스로 서비스 종사자와 유가족 및 조문객들의 상호작용이 통합됨으로써 발휘되는 인간적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장례서비스는 고인을 계기로 엄숙한 장례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례용품의 원활한 제공과 복잡 다양한 대인서비스로 소비자들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중심논리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유가족)와 조문객을 중심의 장례서비스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장례서비스의 개념과 역할을 연구하였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서비스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동태적 자원 관점에서 장례서비스와 장례용품을 구분하고, 소비자에게 폭넓은 선택권의 자유를 보장하고, 고객의 불만족과 개선요구가 투명하게 처리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제 우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죽음 질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장례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선시대 직령(直領)제도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Jik-Ryoung of Chosun Era -Focusing a True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

  • 이주영;권영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2호
    • /
    • pp.237-260
    • /
    • 2000
  • According to the study of Jik-Ryoung(直領) consulting chronicles of the Chosun Era, Jik-Ryoung had been worn for various uses as official outfit, ordinary attire or clothes for the celebration of their coming of age, wedding ceremonies, funeral rites, and religious ceremonies, etc.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Chosun Era. The conclusions are shown briefly as follows. 1. There are several terms of Po(袍) related to Jik-Ryoung in the chronicles under the name of Jik-Ryoung Ui(直領衣), Ui-Sal Jik-Ryoung(衣撒直領), and Jik-shin(直身). Jik-Ryoung Ui is the other name of Jik-Ryoung that they called it when it was used for funeral rites and religious ceremonies. The chinese Ye-Sal(曳撒) was called the Ui-Sal Jik-Ryoung in Korea, but this is different with Jik-Ryoung regarding its divided up and bottom style. Jik-Shin is almost same as Jik-Ryoung. 2.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Era, we can find diferent frequency in use of the Jik-Ryoung. Jik-Ryoung was shown constantly in the cases of that ding, Chinese Prince and lower-level constantly in the cases of that king, Crown Prince and lower-level officials wore it for funeral rites and lower-level officials, artisans, merchants, humbles and slaves wore it for official outfit. Uses of the Jik-Ryoung increased for military officers'outfits, in contrast to decreasing of uses for ordinary attires of king, Crown Prince, and the commons, and official outfits of civil officials. 3. These different aspects mean the change of estate and role. For the basic four ceremonial occasions the ceremonies of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memorial-, it appeared constantly. Therefore the social role had been maintained also by then. As an official garb, the role for official uniform of petty official maintained by the end of the Dynasty. But from the latter 1600's to the former 1700's, the roles for official garbs of civil officials and military officer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Before the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ordinary social clothes had orders by people's social status who wore them ; those were Dan Ryoung(團領), Hong Jik Ryoung(紅直領), Jik Ryoung(直領), Cho'l Rick(철릭) in the order named. After the war, various Po(袍), Shim Ui(深衣), Jung Chi Mak(中致莫), Chang Ui( 衣), Jang Ui(長衣), Ju Ui(周衣) and so on had been worn until the King Young Jo(英祖)·Jung Jo(正祖) period. In result, the social role of Jik-Ryoung was reduced as the uses decreased more and more. For a mourning dress, it had a same aspect as the case of ordinary social wear. 4. Considering the color, they used blue for the clothes for doing-up-the-hair ceremony, white for mourning clothes, and white, black for ancestor memorial ceremony clothes. On the official outfits of officials, dark blue and black were used mostly. And lower-level officials'clothes had white, red, and green on them. They used red and green for the plain dresses. 5. Examining the materials, clothes for the celebration of one's coming of age were made of high quality silks, Kwang Hwa Dan(廣禾緞). Also, they made clothes for funeral rites of rough and thick linen, and made clothes for religious ceremonies of linen and hemp. The official outfits were made of practical materials like cotton, hemp and ramie. Cotton, pongee and satin were used to make ordinary attire.

  • PDF

조선 초기 원경왕후 상장례(喪葬禮) 의식과 그 특징 (The Funeral Rites for Queen Wongyeong during Early Joseon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 양정현
    • 역사민속학
    • /
    • 제45호
    • /
    • pp.7-50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 초기 흉례(凶禮)의 정비 과정이라는 연속선상에서 원경왕후 국상을 하나의 기점으로 파악하고 그 특징을 상제(喪制)의 변화 및 의식 절차의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종 2년 발생한 태종 비(妃) 원경왕후의 국상은 조선에서 국왕이 상주(喪主)가 되어 진행하는 삼년상(三年喪)의 의식 절차가 정비되어, 그 의주가 실록에 기재된 최초의 사례였다. 국상 복제 논의에서는 기존에 행해오던 역월제를 탈피하여 졸곡의 의미가 강조되었다. 기존의 도감 운영 체계를 정리하여 빈전 국장 산릉 3도감만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불교 관련 의례는 대폭 축소 규제되게 되었다. 삼년상 기간 동안 국왕의 친행을 고려한 의식 절차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의식의 기본 패턴은 배례(拜禮) 곡(哭)-행례(行禮)-배례(拜禮) 곡(哭)로 이루어졌는데 우제(虞祭)를 기점으로 전(奠)과 제(祭)로 구분되었다. 이는 태종대 길례 의식의 정비가 이루어진 바탕에서 고제(古制)에 기반한 '전(奠)'과 제(祭)'의 이해가 반영된 결과였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기준으로 개별 의식 절차의 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경왕후 국상에서 국왕이 친행하는 실질적인 삼년상 실행을 위한 상장 제도 및 의식 절차의 제정과, 그 바탕이 된 고제의 이해 수용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흉노(匈奴)의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Xiongnu)

  • 김용문
    • 복식
    • /
    • 제63권3호
    • /
    • pp.1-16
    • /
    • 2013
  • Xiognu people were the first of the Central-Asian nomads to establish a nation in 209 B.C. They always moved around looking for places to breed their animals and fertile grounds, so they wore clothes made of fur and leather and covered their tents with felt from the livestock.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literatures, costumes and the achievemen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Furthermore, to investigate on costumes excavated of Xiongnu, we visited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and the Hermitage Museum. A corn-hat made of felt, a felt hat with ear flaps and a golden crown with a bird on the top were unearthed from a tomb of Xiongnu in Inner mongolia. Women usually wore pigtails, and men wore pigtails or ponytails but they cut their hair short when holding a funeral. Many pigtails discovered in Noyon uul tombs can be considered as their funeral customs. The Xiongnu wore a round or v-neck caftan attached straight sleeves reaching knees in the left folded style, and because they always rode horses, having the length of the caftan not go past their buttocks would have made it more convenient for them. During the period of Western Han, Ho refered to Xiongnu and it became a common name for northern races. They used leather belts and an animal-designed buckle was found. Women commonly rouged their cheeks for a vivid and cute look, and many ornaments were excavated including bracelets, rings and decorations made of gold, silver, copper and jade, among which there were hair ornaments used to identify one's class. A horse pattern with wings and a horn of Golmod T20 was substitution for the Schythian use of deer. Patterns or shape of unearthed articles present in the Xiongnu culture in Noyon uul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Altaic, Greek and Persian cultures. The Xiongnu clothing was made of animals' skin and fur, woolen textiles and felt. It was folded to the left for upper garments, and the pants were adjusted using a belt and shoes were made of leather, which was very suitable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horse riding. Mobil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lothing.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도시묘지 활용 (Use of Urban Cemetery for Field Trips)

  • 이숙미;오충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8-111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묘지가 갖는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묘지는 지역 내 현장체험학습장으로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도시는 더욱 풍부한 교육자원을 가지게 되며, 주민과 학생에게는 현재보다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묘지에서 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은 묘지를 정원이나 공원과 같이 경관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으로 보전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회 묘지를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기피시설이나 혐오시설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도록 묘지를 리모델링하고 장묘문화를 변화시킨다면 묘지가 도시지역에서 부족한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미 FTA와 디지털 환경의 지역방송 콘텐츠 활성화 방안 (Korea and America FTA and Area Broadcasting Contents Activation Plan of Digital Environment)

  • 김덕모;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4호
    • /
    • pp.73-81
    • /
    • 2008
  • Market penetration of media capital and with domestic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fusion affect from the contents competitive situation which is general, the digital conversion of ground group broadcasting which follows in like this change tried to point out the hereafter direc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industry with Korean-American FTA compromises. Further with role of the program heightening of competitiveness plan for the ground group digital contents activation of local broadcasting and loca broadcasting accomplishes the funeral of succession development and area public opinion integration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 the community and being understood for a harmony, and proposed a politic alternative in the Broadcast Communications Commission which starts newly and Local Broadcasting Developmental Commission.

  • PDF

진도 다시래기의 상징적 의미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n "Jin Do Dasiraegi")

  • 박상학
    • 심성연구
    • /
    • 제26권2호
    • /
    • pp.149-188
    • /
    • 2011
  • 한국의 남쪽 섬 진도의 장례식에서는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다시래기(再生 ; 다시 낳기)라는 연극을 한다. 그 과정 중에 숨겨진 죽음과 관련된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심리적 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본다. 이 연희의 특징은 1) 축제식 장례 2) 광대의 등장(대극의 존재와 갈등) 3) 성적표현들 4) 여성의 적극적 참여 5) 출산과정의 난관 6) 아이의 탄생과 함께 나누는 기쁨들로 요약된다. 이는 인생의 마지막 통과의례 중 전이기의 의례(Transition)이다. 연희의 전제조건인 호상(好喪)은 삶의 여정에서 그가 갖추어야 할 페르조나(persona)들에 대한 집단의식의 판단이다. 갖추어진 삶을 산 다음에 제대로 된 죽음이 된다. 등장하는 눈 뜬 장님 거사와 남성들을 희롱하는 사당 그리고 파계승 세 사람은 삼각의 갈등 구조를 보인다. 거기에 연출자이면서 주인공인 가상제가 합세 4인의 균형을 이룬다. 이들은 예의 바르고 이성적인 집단의식의 그림자적 측면을 나타내는 광대들이다. 동시에 트릭스터 원형상의 모습을 나타낸다. 산 자와 죽은 자, 상자와 가상자, 경건함과 난장판, 통곡과 웃음, 침묵과 넋두리, 죽음과 출생 등 다양한 대극이 공존하고 이로서 전체가 된다. 거사와 중은 대극이며 사당(아니마)은 둘 사이를 오가며 갈등을 부추긴다. 아기는 그 갈등의 소산이며 동시에 해결책이기도 하다. 갈등은 전체성의 상징인 아이의 탄생으로 해소되는 듯 하다 아기의 친권을 두고 재연되고 그 해결은 네 번째 인물이자 최초의 시작인 상주에게 아기를 맡기는 것이다. 이렇게 무의식은 드러나는 현실과 손을 잡는다. 무의식의 상들이 의식화 되고 무의식에서 생성된 새로운 에너지는 의식으로 흘러들어 의식의 결손을 치유하는 힘이 된다. 다시래기는 죽은 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산자를 위로하기 위한 성격이 더 강한 놀이이다. 죽음이 상실이 아니라 새로 태어남이요, 살아남은 자에게는 새로운 독립된 지도자로의 변환을 뜻한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에게 갱신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최근에 민간의 장례절차에서는 다시래기가 사라지고 단지 무대에서 굿으로 그 형태가 일부 보존되고 있다. 지나치게 엄격한 죽음에 대한 집단의식의 일방적 태도를 보상하는 무의식의 표현이 다시래기라면, 그 사라 저감은 죽음을 종결로 보고 너무 쉽게 정리해 버리려는 오늘날의 사회적 태도와 관련성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추모공원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국내외 추모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morial Park Design Method)

  • 김도경;최우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33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method of the memorial park for the improvement of the funeral culture in Kore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is study articulates the issue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memorial park and categorizes such issues in accordance with their types. According to comparativ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Most of the overseas cases can be characterized with creative concepts and images in their designs because designs are not only based on the issues articulated in this study but also show a various patterns issue by issue. On the other hand, domestic cases do not show differentiated images from others, which results from the uniform design that disregards the issues articulated in this study. The memorial park for the future should be design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of citizens´ park under the new conceptual framework. Therefore, the issues articulated from this study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of memorial park. In addition, various types by issue should be introduced to design of memori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criteria for the design of future pattern, not simply to compar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different typ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offer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what types of memorial park will coincide with the Korean's collective sentiment. Therefore, impending tasks of further researches should involve the opinion and preferences of citizens concerning the design of memorial park.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 - 16.17C 출토복식중심 - (A Study on the Daily Clothes of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

  • 장인우
    • 복식
    • /
    • 제35권
    • /
    • pp.343-366
    • /
    • 1997
  • Most of the recently-exhumed excavat-ed costume is the garment for the dead which is one of the costume of funeral rite Investigating the birth and death years of the dead reveals that the excavated cos-tume was mostly us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 The study on the change of clothes in-cludes two aspects; one is manifestication of the structure of clothes and the other is elucidation of the constructure of clothes through examining constructure compo-nents and constructure compo-nents and construction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stume of the mid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se aspects by examining the excavated Costume of 16th and 17th centries and Ryesu. This study also aims to assist to comprehend the constructure of costume by comparing actual excavated clothes with chronological standards through in-specting diverse clothes in a specified pe-riod. The construction of the clothes of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clothes and the principle of sewing is set up on the bases of mentality and body That is the Costume stands for the individual social and men-tal world of the people at that time since the external construction of the clothes represents their social rank and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sewing symbolizes their mentality. The characteristics features of the clothes of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coexistence of diverse sorts and patterns indicates a change in clothes. This suggests that the clothes of a partic-ular class last and change in role corre-sponding to formation lasting and extinc-tion of the class. Thus diversityof the sort of general costume advancement of pattern and the change of clothes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class signify that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 nasty is a period in which the general costume is actively developed and a turn-ing point for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clothes into new ones, . In other words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is characterized as an era during which a castume native to Korea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constructure of clothes.

  • PDF

보하야 학살과 기억 보존을 위한 연극의 역할: 펠리페 베르가라의 『킬렐레』를 중심으로 (The Massacre of Bojayá and the Role of Theatre for Preservation of Memory: A Study of Kilele by Felipe Vergara)

  • 송병선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1권2호
    • /
    • pp.53-81
    • /
    • 2019
  • 일반적으로 콜롬비아의 이미지는 위험한 국가이며, 게릴라와 전쟁 중이고, 최대의 마약 생산국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이 글의 분석 대상인 펠리페베르가라(Felipe Vergara)의 극 작품 『킬렐레Kilele』의 중심을 이루는 보하야(Bojayá) 학살은 부조리함과 규모 측면에서 2000년대 들어 콜롬비아에서 일어난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이 작품은 보하야 지방의 쓰라리고 악몽 같은 과거의 사건을 다루는데 그치지 않고, 생존자들이 죽음의 덮개를 찢고서 연옥에서 괴로워하는 영혼들과 소통하면서, 분열의 재통합을 향해 나아간다. 이것은 연옥의 여러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죽은 사람들에게 마땅한 장례식을 치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글은 『킬렐레』에 나타나는 서사시 구조와 아프리카의 영혼성과 관련된 제의의식을 비롯해 창작과정과 이 작품의 파편적 구조를 분석하면서, 학살이라는 외상에서 어떻게 회복되는 데 도움이 되었는가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