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assacre of Bojayá and the Role of Theatre for Preservation of Memory: A Study of Kilele by Felipe Vergara

보하야 학살과 기억 보존을 위한 연극의 역할: 펠리페 베르가라의 『킬렐레』를 중심으로

  • 송병선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스페인중남미학과)
  • Received : 2019.10.28
  • Accepted : 2019.12.06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Generally, the image of Colombia is constituted as a dangerous country in war against guerrillas and with greater cocaine production. The massacre of Bojayá, taken to the theater work Kilele by Felipe Vergara which forms the object of analysis of this paper, was an event that has most affected the sensitivity of Colombia in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due to the absurdity of its occurrence and the magnitude. The work Kilele not only represents the social drama of Bojayá as a bitter and nightmare past, but breaks the veil of death and communicate with the souls that, according to their beliefs, still hang in limbo. The main goal of this act is to go to reintegration of fractured society, celebrating a funeral rite worthy of the deads that wander various spaces of limbo. This article analyzes the epic structure in Kilele, rituals related to the African spirituality, and the fragmentary structure of the work. Finally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how it helped to recover from the trauma of the massacre.

일반적으로 콜롬비아의 이미지는 위험한 국가이며, 게릴라와 전쟁 중이고, 최대의 마약 생산국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이 글의 분석 대상인 펠리페베르가라(Felipe Vergara)의 극 작품 『킬렐레Kilele』의 중심을 이루는 보하야(Bojayá) 학살은 부조리함과 규모 측면에서 2000년대 들어 콜롬비아에서 일어난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이 작품은 보하야 지방의 쓰라리고 악몽 같은 과거의 사건을 다루는데 그치지 않고, 생존자들이 죽음의 덮개를 찢고서 연옥에서 괴로워하는 영혼들과 소통하면서, 분열의 재통합을 향해 나아간다. 이것은 연옥의 여러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죽은 사람들에게 마땅한 장례식을 치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글은 『킬렐레』에 나타나는 서사시 구조와 아프리카의 영혼성과 관련된 제의의식을 비롯해 창작과정과 이 작품의 파편적 구조를 분석하면서, 학살이라는 외상에서 어떻게 회복되는 데 도움이 되었는가를 살펴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울산대학교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