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family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3초

인체 노로바이러스의 한국분리주 Hu/NLV/Gunpo/2006/KO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Isolate of Human Norovirus, the Hu/NLV/Gunpo/2006/KO Strain)

  • 정아용;윤상임;지영미;강윤성;이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5-111
    • /
    • 2009
  •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Caliciviridae 과(family)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유전자형이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로바이러스 국내분리주의 게놈 RNA로부터 3개의 open reading frame (ORF) 모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학적 계통분석을 통하여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노로바이러스(Hu/NLV/Gunpo/2006/KO)는 바이러스성 식중독, 장염 증세를 보이는 2세 여아 가검물로부터 분리되었다. 역전사반응과 PCR 증폭을 통해서 바이러스의 게놈 RNA를 3개의 중첩되는 cDNA 단편으로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cDNA를 염기서열 분석에 직접 사용하였다. 시퀀싱 결과 Hu/NLV/Gunpo/2006/KO는 3개의 ORF (ORF1, 5,100 bp; ORF2, 1,647 bp; ORF3, 765 bp)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5개의 노로바이러스 국외 분리주와 비교한 결과, ORF1은 ORF2 또는 ORF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염기의 변이율이 낮았으며, 특히 ORF2와 ORF3의 C-말단 부위에서 높은 변이율을 관찰하였다. 유전학적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Hu/NLV/Gunpo/2006/KO는 genogroup II 에 속하며, Saitama U1, Gifu'96, Mc37, Vietnam 026과 같은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로바이러스 Hu/NLV/Gunpo/2006/KO의 3개의 ORF 염기서열을 모두 밝힘으로써, 앞으로 노로바이러스의 검출법 개발과 유전학적 상관관계뿐 아니라, 유전자의 기능 분석과 관련된 기초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단지의 음식물쓰레기 제로하우스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현장 시험운영 및 거주자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and Resident's Assessment of Zero Food Waste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674-681
    • /
    • 2015
  •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과 자원화를 실용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목질바이오칩을 활용하여 발효 소멸 기술을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제로하우스 시스템(ZFWS)을 공동주택 단지 내에 구축하여 평가하였다. 단지 내 시험장치를 설치하여 운영 제반 전 과정을 모니터링한 현장조사와 그 장치를 이용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현장 조사에서는 투입 음식물쓰레기와 혼합 반응조 혼합물의 성상, 발효 소멸된 최종 부산물의 성상을 분석하였다. 투입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 반응조 혼합물은 안정화된 수준의 유기물 함량과 함수율, 낮은 염도, 약칼리성의 수소이온농도, 높은 ATP 농도를 보여 발효 소멸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최종 부산물은 비료공정규격의 기준(예, 유기물 함량, 유기물대질소비, 수분, 염분, 각종 중금속 등)에 적합하고, 친환경 퇴비로서 충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ZFWS 시범 운영에 참여한 가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거주자들 대부분은 ZFWS의 도입에 적극적이었고, 그 운영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ZFWS이 기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식을 개선하고, 공동주택 단지 내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를 실현하는 최적의 모델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in the Mouse Oocytes

  • Kim, Eun-Ah;Kim, Kyeoung-Hwa;Lee, Hyun-Seo;Lee, Su-Yeon;Kim, Eun-Young;Seo, You-Mi;Bae, Jee-Hyeon;Lee, Kyung-Ah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61-69
    • /
    • 2011
  •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Bcl2l10 as a member of Bcl-2 family, key regulators of the apoptotic process, is dominantly expressed in oocytes of ovary but several member of the Bcl-2 family are not expressed in oocytes. Recent our studies had been processed about rol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Bcl2l10 in oocytes. Microinjection of Bcl2l10 RNAi into the cytoplasm of germinal vesicle oocytes resulted in metaphase I (MI) arrest and exhibited abnormalities in their spindles and chromosome configurations (Yoon et al., 2009).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and signaling networks in Bcl2l10 RNAi microinjected oocytes by using microarray analysis. Surprisingly, we found that a large proportion of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were involved in the cell cycle and actin skeletal system regulation as important upstream genes of Bcl2l10. Among the transcripts with highly significant fold changes more than 2-fold, Tpx2 and Cep192 are 16.1- and 8.2-fold down regulated respectively by Bcl2l10 RNAi. Tpx2 and Cep192 are known as cofactors that control Aurora A kinase activity and localiz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Bcl2l10 may have important roles during oocyte meiosis as functional upstream regulator of Tpx2 and Cep192.

전장유전체수준 메틸레이션 분석을 통한 두경부암 특이 메틸레이션 바이오마커의 발굴 (Genome-wide Methyla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Cancer Specific Biomarker of Head and Neck Cancer)

  • 장재원;박기완;홍소혜;정승남;류려화;김진만;오태정;구본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7
  • Methylation of CpG islands in the promoter region of genes acts as a significant mechanism of epigenetic gene silencing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DNA methylation markers are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DNA methylation is an early event in tumorigenesis, and the epigenetic modification, 5-methylcytosine, is a stable mark.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genome-wide preliminary screening and were to identify novel methylation biomarker candidate in HNSCC. Genome-wide methy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10 HNSCC tumors using the Methylated DNA Isolation Assay (MeDIA) CpG island microarray. Validation was done using immunohistochemistry using tissue microarray of 135 independent HNSCC tumors. In addition, in vitro proliferation, migration/invasion assays, RT-PCR and immunoblotting were performed to elucidate molecular regulating mechanisms. Our preliminary validation using CpG microarray data set, immunohisto-chemistry for HNSCC tumor tissues and in vitro functional assays revealed that methylation of the Homeobox B5 (HOXB5) and H6 Family Homeobox 2 (HMX2) could be possible novel methylation biomarkers in HNSCC.

Corynebacterium ammoniagenes에서 purF 유전자의 조절 및 이에 특이적인 조절 단백질의 분리 (Regulation of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purF and Isolation of purF-Specific Regulatory Proteins)

  • 이석명;김연희;이흥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3-238
    • /
    • 2009
  • Corynebacterium ammoniagenes의 purF 유전자의 발현을 purF의 프로모터 추정 부위에 cat 유전자를 융합시킨 transcriptional fusion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유전자 purF는 adenine과 guanine에 의해 20~30%의 전사 저해효과를 나타내지만, hypoxanthine에는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urF의 발현은 대수기중반에 최대에 달한 후 정체기 후반부까지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C. glutamicum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프로모터인 $P_{180}$이 Escherichia coli의 $P_{tac}$보다 C. ammoniagenes에서 모든 성장 단계에서 40~50%의 향상된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었고 대수기 후반부에 최고 활성에 달해, C. ammoniagenes의 연구에도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DNA-affinity purification에 의해 C. ammoniagenes의 purF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단백질로서 C. glutamicum의 Crp-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NCgl0120)와 상동성이 높은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이 단백질은 크기가 40.1 kDa으로서 PAGE에서 관찰된 단백질 크기와 일치하였다. 이에 상응하는 C. ammoniagenes의 단백질은 4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42 kDa의 단백질을 만들며, pI는 4.9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E. coli 및 Bacillus subtilis의 PurR과 각각 14.1%, 15.8%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보여, PurR과는 다른 종류의 단백질일 것으로 여겨진다.

완화 의학에서의 평가도구 (The Assessment Tools in Palliative Medicine)

  • 곽정임;서상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177-193
    • /
    • 2009
  • 완화의학에서 환자의 평가는 치료의 의사결정과 그 결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은 이를 환자 진료에 반영하여 개개인 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돌봄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환자의 기능 상태와 통증 및 비 통증 증상을 평가하는 다양한 단일 영역 및 다차원 평가 척도들이 사용 가능하며,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존재한다. 삶의 질이나 증상 측정에서 우월하다고 추천되는 단일 도구는 없는 실정이다. 도구마다 측정하는 시간의 틀이 다르고, 특성이 다르므로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야 한다. 여명 예측을 위해서는 예후 지수의 병용이 권고되는 추세이고, 웹을 기반으로 하는 예측 프로그램들도 등장하였다. 예후지수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다기관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객관적 예후지수가 임상적인 여명 예측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객관적인 예후 요인을 반영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완화의학 입문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이 용이한 도구가 좋다. 따라서 기능의 평가에는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기능지수를 사용하고, 통증에서는 10점만점의 숫자 통증 등급(Numeric Rating Scale) 도구를 활용하면서 초기 통증 평가로는 간이 통증 조사지를 추천한다. 여러 가지 증상을 한꺼번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숫자 등급으로 직접 물어보거나 혹은 M.D. Anderson 증상조사지(the Korean version of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설문지를 사용하기 바란다.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에는 European Organization Research and Treatm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15 for Palliative Care, 예후 지수로는 객관적 예후 지수(Objective Prognostic Score)를 사용하기를 권한다. 향후 완화의학에서 평가도구의 발전방향은 국제 공동 연구의 활성화와 디지털 기기를 통한환자 보고의 전산화이고, 머지않은 앞날에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경향이 도입될 것이다.

  • PDF

애기장대 AtERF11 유전자에 의한 Pseudomonas syringae에 대한 병 저항성 유도 (AtERF11 is a positive regulator for disease resistance against a bacterial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in Arabidopsis thaliana)

  • 권택민;정윤희;정순재;이영병;남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35-240
    • /
    • 2007
  • 본 연구는 Affymetrix Arabidopsis DNA chip을 이용하여 비 병원성 인자인 AvrRpt2 단백질에 의해서 특이적으로 전사 과정이 조절되는 애기장대 유전자들을 분리하고 병 저항성 방어체계와 관련한 이들 유전자들의 기능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중에서 먼저 식물 호르몬인 ethylene의 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ERFs (ethylene-responsive element binding factors) 전사조절 유전자 family 중에서 Bla subfamily 그룹으로 알려져 있는 AtERF11 유전자의 병 저항성 관련 기능을 규명하였다. 저항성 유전자 RPS2가 없는 경우에는 비 병원성 인자인 AvrRpt2 단백질은 기주 식물체내의 기초 병저항성을 감소시키고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향상시켜서 병증을 증대시키는 effector로 작용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저항성 유전자 RPS2가 없는 조건에서 AtERF11 유전자의 발현이 AvrRpt2 단백질의 작용에 의해서 특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tERF11 유전자는 식물체의 병 저항성 방어기작에 있어서 positive regulator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effector로 작용하는 AvrRpt2 단백질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본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AtERF11의 발현을 증폭시킨 애기장대 형질전화체를 제작하고 P. syringae pv. tomato DC 3000에 대한 병저항성을 실험하였다. AtERF11 유전자가 대량 발현하는 형질전화 된 애기장대에서는 야생종에 비해 대략 100배 이상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는 강력한 병저항성을 가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농촌주택의 주거 공간구조 개선방안 (An Alternative Improved-Layout of Rural House Plot)

  • 박장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4-63
    • /
    • 1999
  • Considering that rural village had evolved through a long-sustained effort of harmnization with nature, there should be the wisdom not only to reflect the level of rural resident's housing demand, but also to conserve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valuation in the modern rural housing. In Korea , standard design proposals of rural houses had been made public three times ; in 1972 , 1984 and 1995. so , firstly, this study analysed the inner-space layouts of design proposals mentioned above, from which changes and problems in the past housing design were derived. And also, through, the positive acceptance of residents' opinion living inthe houses built by standard design proposals in 1970 ~1980's, improved design principles and an alternative model were proposed , finally. The inner-space structed of standard design proposals in 1970s was originated from small-scaled and low-priced one, basically under the " open system". In 1980s, the basic design principle changed to the 'closed system' in which the living room being the focus of indoor family life, and , in 1990s, progressively, therural housing developed to the high qualified type by the spatial enlargement and with increased equipements. However, this structural change of rural house brought about the problem of functional separatioon between farming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 details, limited spaces of multipurpose spaces and sanitary facility would be mentioned as problems for improvement. conclusively in this study, newoly arranged "open system" was recommended , as a basic design principle for theinner space structure formation of rural house, which easily links the constituent inner-house spaces to outer one. Based on this principle, the detailed design criterial was proposed as follows ; 1. The living room be directly linked to the front-yard and centrally placed, the addtional space of which could be secured for the special family events by the flexibleuse of its adjacent room or by the housing of male quarters(separated from main building quarter). 2. The kitchen also be directly linked to side-yard and to livng room , for the convenience of farming activities and the shortening of path flow housewife. 3. The expanded toilet-and-bathroom be placed in the directly connected left-hand side to the living room and also be allowed access through multipurpose spaces to out door. 4. The multipurpose spaces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kitchen and the toilet and-bathroom , of which function would be for undressing of working clothes, quickwashing and ordinary working.nd ordinary working.

  • PDF

겨우살이 물추출물 첨가 김치의 A549 인체 폐암 세포 증식저해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Added Kimchi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 길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507-1514
    • /
    • 2017
  • 김치는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며, 여러 연구에서 암예방, 항비만, 항염증 등의 활성을 가지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김치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암기능성이 알려진 겨우살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암환자용 김치(kimchi B)의 암세포 증식억제능 및 그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체 폐암 A549세포를 이용하여 증식저해 효과와 apoptosis 유도 및 관련된 mRN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표준화김치(kimchi A)를 사용하였다. A549 인체 폐암 세포를 이용한 성장 저해시험에서 MTT 방법과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 수를 개수한 결과, 김치를 첨가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API 염색을 통해 암세포 핵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DNA단편이 발견되어, A549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에 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Apoptosis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Bcl-2 family (Bax, Bcl-2, Bcl-xL) 발현과 p53, p21 발현을 측정한 결과, kimchi B를 첨가한 군에서 Bax 유전자는 증가하고 Bcl-2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여, 이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은 p21 발현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아 kimchi B를 처리한 A549인체 폐암세포는 p53 비의존적인 p21 발현증가에 의해 암세포 증식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암환자들을 위한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조 상류주택의 가사공간에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 (- The Cultural Life Study of the Housekeeping Space of Chosun Dynasty Upperclass Housing -)

  • 이길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5-23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basic formative elements of housekeeping space of our cultural life which are worthy to succeed and develop by revaluating in modern view and to reveal what we should maintain form the women's view of the housework in those days. In this study, out look on Chosun Dynasty housekeeping is based on the norm of the women in those days. The research on the housekeeping space for norm of the women in those days. the research on the housekeeping space for Chosun Dynasty upperclass is focused on the house built from early till late Chosun Dynasty, which is now a cultural asset. As a result, norm of Chosun Dynasty have created a social wide atmosphere for women to devote herselves to the housekeeping. Moreover the constructions of Chosun Dynasty's upperclass are affected by Korea's natural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Primary factors for natural environment are building materials and the change of seasons. Because of changeable seasons, there were places for storing massive commodities. The other primary factors for socio-cultural environment affecting housekeeping space were social positions, and extended family system, worshipping the ancestors standard of living, the theory of“Poong Soo”(風水, a kind of geomancy) and thought of“Yin and Yang, Five Elements”(陰陽五行) and popular belief of that time. Affected by these two environment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keeping space for Chosun Dynasty are ; the main building of the house was used as a diverted area for women to work, and was reconstructed for household affairs. There were inefficient points in the housekeeping space of that time and the space remained stagnant because of the restricted sex and the social position of housekeeping doer. But you could find some points that are efficient and functional to adjust in those living conditions. The storehouse, storage barn, shed and soyjar terrace are the specialized storing place, according to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odities. the kitchen, for example, is the combinations of many abilities. It is not only for cooking or heating the room, but also for storing drinking water. The hall which was the storing place, housekeeping place and also the place for family events are used as a diverted place. The linked arrangement of kitchen, store house, boudoir and the other rooms. In addition, we can see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kitchen for more than tow people could work 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