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mpounds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주택단지의 음식물쓰레기 제로하우스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현장 시험운영 및 거주자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and Resident's Assessment of Zero Food Waste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674-681
    • /
    • 2015
  •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과 자원화를 실용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목질바이오칩을 활용하여 발효 소멸 기술을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제로하우스 시스템(ZFWS)을 공동주택 단지 내에 구축하여 평가하였다. 단지 내 시험장치를 설치하여 운영 제반 전 과정을 모니터링한 현장조사와 그 장치를 이용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현장 조사에서는 투입 음식물쓰레기와 혼합 반응조 혼합물의 성상, 발효 소멸된 최종 부산물의 성상을 분석하였다. 투입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 반응조 혼합물은 안정화된 수준의 유기물 함량과 함수율, 낮은 염도, 약칼리성의 수소이온농도, 높은 ATP 농도를 보여 발효 소멸 반응이 원활히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최종 부산물은 비료공정규격의 기준(예, 유기물 함량, 유기물대질소비, 수분, 염분, 각종 중금속 등)에 적합하고, 친환경 퇴비로서 충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ZFWS 시범 운영에 참여한 가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거주자들 대부분은 ZFWS의 도입에 적극적이었고, 그 운영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ZFWS이 기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식을 개선하고, 공동주택 단지 내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를 실현하는 최적의 모델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atural Hydroxyapatite Ceramics Produced by the Heat Treatment of Pig Bones

  • Lim, Ki-Taek;Kim, Jin-Woo;Kim, Jangho;Chung, Jong H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3호
    • /
    • pp.227-234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evaluate natural hydroxyapatite (HA) ceramics produced from the heat treatment of pig bones. Methods: The properties of natural HA ceramics produced from pig bones were assessed in two parts. Firstly, the raw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A temperature of $1,200^{\circ}C$ was chosen as the calcination temperature. Fine bone powders (BPs) were produced via calcinations and a milling process. Sintered BPs were then characteriz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X-ray diffraction (XRD),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a 2-year in vitro degradability test. Secondly, an indirect cytotoxicity test was conducted on human osteoblast-like cells, MG63, treated with the BPs. Result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Ps was $20{\pm}5{\mu}m$. FE-SEM showed a non-uniform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size. The phase obtained from XRD analysis confirmed the structure of HA. Elemental analysis using XRF detected phosphorus (P) and calcium (Ca) with the Ca/P ratio of 1.6. Functional groups examined by FTIR detected phosphate ($PO{_4}^{3-}$), hydroxyl ($OH^-$), and carbonate ($CO{_3}^{2-}$). The EDX, XRF, and FTIR analysis of BPs indicated the absence of organic compounds, which were completely removed after annealing at $1,200^{\circ}C$. The BPs were mostly stable in a simulated body fluid (SBF) solution for 2 years. An indirect cytotoxicity test on natural HA ceramics showed no threat to the cell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1,200^{\circ}C$ affected the microstructure, phase,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 ceramics consisting of calcium phosphate. The Ca-P-based natural ceramics are bioactive materials with good biocompatibil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pared HA ceramics have great potential for agricultural and biological applications.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유도체의 C-4 치환체가 벼도열병에 대한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4 Substituent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on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ice Blast)

  • 임정설;한민수;남기달;최경자;한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69
    • /
    • 2009
  • 벼 도열병균에 대하여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4-아세트아닐리드 유도체의 NH수소가 항균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골격의 C-4 곁가지에 모르포리닐, 피페리디닐 등의 기능기가 도입된 4-모르포리 닐카르보닐메틸-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2(X=O), 피페리디닐카르보닐메틸-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3(X=C) 등의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30종 화합물의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6종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키틴 이합체를 염소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중간체, 아세토아세틸클로라이드의 분리없이 모르폴린 또는 피페리딘과 반응시켜 각각 상응하는 감마-클로로-베타-케토 유도체를 얻었다. 이들을 각각 티오우레아 유도체와 반응시켜 4-모르포리닐카르보닐메틸-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2, 피페리디닐카르보닐메틸-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3을 좋은 수율(27-98%)로 합성하였다. 화합물 3의 벼 도열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은 피페리디닐기가 C-4 위치에 치환되어 있고 2-페닐이미노기의 페닐기의 ortho 및 para 위치에 불소가 포함된 화합물의 경우(3j)에 가장 높았다 (100 ppm, 90%).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 계열의 C-4위치의 치환체는 이 계열 화합물의 벼도열병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흑색종세포의 멜라닌 생성억제로 인한 삼나물 추출물(Aruncus dioicus)의 미백효과 (Potent Whitening Activity of Aruncus dioicus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 by Sup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

  • 김동희;문용선;박태순;황주영;손준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813-820
    • /
    • 2013
  • 울릉도 자생 삼나물(Aruncus dioicus)은 최근 monoterpenoids 생리활성 물질이 밝혀지면서 여러 가지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이 확인되고 있다. 삼나물 ethyl acetate 분획물에 의한 미백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흑색세포종인 B16F10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삼나물 ethyl acetate 분획물(ADE)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ADE $500{\mu}g{\cdot}mL^{-1}$ 이상의 농도에서 미비한 세포독성(10% 이상)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실험에서는 5, 10, $50{\mu}g{\cdot}mL^{-1}$ 농도가 세포 내에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E 농도에 따라 tyrosinase 활성이 감소하고 총 멜라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50{\mu}g{\cdot}mL^{-1}$에서 35.6% tyrosinase 활성억제, 58.8% 멜라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DE에 의해 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TRP1), TRP2,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 및 그 상위 단계인 cAMP와 protein kinase A(PKA)의 단백질 양이 감소하여 cAMP response binding protein(CREB)의 인산화는 감소하고 extracellular signal related kinase(ERK)의 인산화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자생 삼나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효능을 확인하고 기능성화장품의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깨 뿌리배양에 의한 hydroxymethylfurfrual 생산 (Production of Hydroxymethylfurfrual by Sesamum indicum L. Root Cultures)

  • 천재안;이진우;이영병;홍성식;조강진;정정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36-1840
    • /
    • 2009
  • 참깨의 뿌리를 바이오촉매로 이용한 뿌리 배양을 통하여 HMF를 생산하기 위하여 뿌리의 생장과 HMF의 합성에 적합한 뿌리배양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NAA(naphthalene acetic acid), silver nitrate의 적정 농도조건 및 적정 배양온도 조건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뿌리의 생장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30^{\circ}C$에서 NAA의 농도가 1.0 mg/l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적으로 볼 때 두 배양 온도($25^{\circ}C$$30^{\circ}C$)간에는 뿌리의 생장차이는 측정되지 않았다. NAA가 첨가되지 않은 처리에서는 두 배양온도 모두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전혀 생기지 않은 반면에, NAA가 첨가된 배양에서는 두 배양온도에서 뿌리의 생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0.5 mg/l의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25^{\circ}C$에서 배양된 처리구 보다는 $30^{\circ}C$에서 배양된 뿌리의 생장이 약간 높게 나타났고, 질산은의 농도가 0.5 mg/l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HMF의 합성의 경우 가장 높게 측정된 처리구는 배양온도 $25^{\circ}C$에서 NAA 0.5 mg/l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된 반면에 NAA 무처리구에서는 HMF 합성이 측정되지 않았다.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는 HMF의 합성이 오히려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준 반면에 질산은의 무처리구에서 HMF의 합성이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질산은의 농도가 0.5, 1.0 및 1,5 mg/l로 처리된 구에서는 질산은 무처리구에 비해서 약 8-10% 정도의 HMF 합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두 배양 온도($25^{\circ}C$$30^{\circ}C$ 배양) 간에도 HMF의 합성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품종별 부추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 안명수;김현정;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본 연구결과 호부추(LL), 재래종 부추(LM) 및 약부추(LS)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86{\sim}437mg%$이었으며 LS> LM> LL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품종의 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도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LSEx 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유지에 대한 항산화력을 과산화물가(POV)와 공액이중결합산량으로 측정 비교한 결과 3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 모두 0.02% 첨가 종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alpha}-tocopherol$ 보다 높고 BHT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품종 별로 보면 LSEx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약부추와 그 에탄올추출물이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옥배유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추 3품종의 에탄올추출물 모두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이들 모두 Pseudomonas에 대하여 높은 저해성을 보였으며 위의 각종 이화학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재래종 부추의 에탄올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고른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3가지 품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들 중 항산화력은 소립종인 약부추가, 항균력은 중립종인 재래종 부추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든 추출물들에서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3종 부추 모두 항산화와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 충분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빨간 함초의 지질 과산화 및 라디칼 형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 김동필;정영희;이미경;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0-157
    • /
    • 2007
  • Hamcho(Salicorinia herbacea, glasswort), a halophyte, is an annual succulent shrub that grows on coastal wetlands and has been regarded as a functional food for good health. Natural dried red and green Hamcho were extracted with 25% ethanol and water at 70$^{\circ}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four extracts were examined by six different assays,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total phenolic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nitric oxide(NO) and nitrite(NO$_2$) scavenging effects, reducing power,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four extracts were high at 237 ${\sim}$ 255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1 g of dried sample tested. The green Hamcho extracts contained more phenolic compounds than the red Hamcho extracts. When they were compared to tocophero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een and red Hamcho pow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ame concentration levels(5 mg and 3 mg, respectively) in a POV test. The inhibition effects of the four extracts at a level of 75 ${\mu}l$ were higher than 98% in the POV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SC$_{50}$, 90.1 ${\mu}l$). The green Hamcho 25% ethanol extract, however,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SC$_{50}$, 6.1 ${\mu}l$). The NO$_2$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assayed at pH 1.2, 4.2 and 6.0, and all the Hamcho extracts scavenged the NO$_2$ radical much more effectively at pH 1.2. The NO$_2$ scavenging effect of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64%) was as high as that of 5 mM vitamin C at pH 1.2(p<0.05). In the reducing power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revealed the highest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among the Hamcho extracts, and its activity was as high as that of 0.33 mg/ml of vitamin C. The four Hamcho extracts showed high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more than 80%, and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50${\mu}$g of kojic acid. The green and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s total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100%).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d Hamcho extracts may serve as useful natural antioxidants along with green Hamcho extracts.

저장기간에 따른 전통된장과 개량식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분 및 대사체 분석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Profile of Traditional Doenjang and Manufactured Doenjang during Storage Time)

  • 강희주;김진희;김리랑;김강성;홍상필;김민정;양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85-794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quality changes in traditional Doenjang and manufactured Doenjang during a storage period of 8 weeks. Low-salt Doenjang and commercial Doenjang were purchased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and proximate analysis as well as changes in isoflavone,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investigated using a mass spectrophotometer. The salinity of traditional Doenjang, low salt Doenjang, and commercial Doenjang were $13.2{\pm}1.15$, $7.17{\pm}2.74$, $10.67{\pm}0.35%$, respectively and the salt concentrations of the soybean pastes did not change during storage. After 8 weeks at $35^{\circ}C$, chromatic values of all the paste samples decreased somewhat, with traditional Doenjang exhibiting fewer changes as compared to manufactured Doenjang. Amino acid nitrogen, acidity, microbial population all tended to increase with time, although some samples showed fluctuations during the test period. Moreover,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traditional Doenjang increased with storage time while that of manufactured Doenjang tended to decrease. The isoflavone aglycon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traditional Doenjang, while isoflavone glycoside was abundant in manufactured Doenjang. Total flavonoid contents showed similar trends regardless of samples; initial contents of total flavonoid was 0.6 mg/g which increased to more than twice to 1.4 mg/g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Composition profile of Doenjang extracts was analyzed using UPLC-Q-ToF.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 황은영;김동희;김희정;황주영;박태순;이인선;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71-177
    • /
    • 2011
  • 본 연구는 5가지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추출은 70%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총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물의 소거활성은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cdot}$),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cdo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uperoxide anion 저해활성으로 측정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뛰어난 $DPPH{\cdot}$, $ABTS{\cdot}$, FRAP,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화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에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인지역 유통식품 중 타르색소 실태 조사;학교주변 어린이 기호 식품을 중심으로 (Tar Colors in Foo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Gyeong-In Region;Monitoring Favorite Food Items of Children Near Elementary Schools)

  • 김희연;남혜선;정용현;이진하;하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50
    • /
    • 2008
  • 경인지역내 초등학교 주변에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 기호식품 총 6종 439개를 대상으로 국내허용 타르색소 9종의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 기호식품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색소는 황색제4호, 청색제1호, 적색제40호, 황색제5호 순으로 나타났다. 껌, 빙과류, 청량음료, 건과류는 단일 또는 두 가지의 타르색소를 사용하였으며, 캔디류와 초코릿류는 주로 2-3가지의 색소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타르색소의 검출농도 범위는 캔디류 0.11-1169.58mg/kg, 초코릿류 0.73-468.02 mg/kg, 껌 0.10-602.46 mg/kg, 빙과류 0.25-162.32 mg/kg, 건과류 0.11-753.68 mg/kg, 청량음료 0.21-69.45mg/kg으로 나타났다. 검출농도가 50.0 mg/kg 이하에는 71.2%가 분포하였으나, 300.1 mg/kg 이상 검출된 것도 1.5%였다. 초콜릿과 껌에서의 타르색소 평균함량이 높았고, 청량음료와 빙과류에서는 낮았다. 황색 제4호와 황색 제5호의 평균함량이 다른 색소보다 높았다. 7-12세 아동의 각 식품에 대한 총 EDI는 0.004-1.017mg/day/person이었고, 각 타르색소의 총 EDI는 0.04-3.98 mg/day/person이었으며, 색소의 총 ADI에 대한 총 EDI의 비율은 0.02-5.9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