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mpounds

검색결과 1,187건 처리시간 0.029초

감귤 유전체 연구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citrus genomics)

  • 김호방;임상현;김재준;박영철;윤수현;송관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26-335
    • /
    • 2015
  • 감귤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주요 과수작물이고 비타민 C와 구연산 및 감귤 고유의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 성분으로 인해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긴 유년기와 배우체 불임, 주심배 발생 및 고도의 유전적 잡종성 등 감귤 특유의 생식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교배를 통한 전통 육종의 품종개발에 있어서는 가장 어려운 작물에 속한다. 지구 온난화, 소비자 욕구 변화 등으로 인해 고품질 감귤의 안정적 생산과 품종 다양화를 위한 체계적 육종 프로그램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감귤에서도 분자 육종 프로그램을 통한 품종 육성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스위트 오렌지와 클레멘타인 만다린에 대한 고품질 표준 유전체 정보가 최근에 확보되었다. 표준유전체 서열을 기반으로 다양한 품종 및 교배집단들에 대한 유전체 해독, 비교유전체 분석, GBS 등을 통해 형질연관 마커 발굴, 유전자 기능 연구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다양한 전사체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전자 기능 및 유전자 co-expression 네트워크의 이해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해 확보한 대규모 SNP, InDel 및 SSR의 다형성 분자마커 big data를 이용한 고밀도 연관 및 물리 지도 작성이 이루어지고 있고, 궁극적으로 통합지도 작성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가까운 장래에 감귤 특이 주요 농업형질 연관 유전자의 정확도 높은 map-based 클로닝 및 빠르고 효율적인 분자표지 선발육종이 이루어질 것이다.

항산화활성 비교를 통한 발효 칠피의 추출용매 조건 탐색 (Screening of Extraction Solvent Condition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by Antioxidant Activities)

  • 김명옥;김주성;사여진;정현주;전완주;권용수;김태영;최한석;유창연;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7-223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capacity and determined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using each of various solvent conditions from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 Each extracts displayed markedly similar content of extraction yield. However, M80 extrac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mparison to other extract investigated. M80 exhibit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_{50}$ value of $10.5{\pm}1.4{\mu}g/m{\ell}$, reducing power value 1.04 Abs (concentration of 1 mg/$m{\ell}$), and anti-lipid peroxidation activity value of 94.6% (concentration of 10 mg/$m{\ell}$). M80 extract showed the high content of total phenolic (319.7 mg GAE/$m{\ell}$ extract) and total flavonoid (111.6 mg QE/$m{\ell}$ extract).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in DPPH radical scavenging ($R^2$=0.911 and 0.912, each extract) and reducing power ($R^2$=0.903 and 0.837, each extract) from fermented R. verniciflua stem bark. However, antilipid peroxidation activity ($R^2$=0.589 and 0.441, each extract) was not significant lik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Therefo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values were ovserved significantly at M80 solvent condition from the fermented R. verniciflua stem bark.

옻칠한지의 제조 및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Prepared with Lacquer)

  • 조현진;이상극;노정관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80-3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functional Hanji treated with an oriental lacquer which has various functionalities. The raw oriental lacquer produced in China was used in this study This lacquer was diluted with ethanol and terpene in different solvent ratios. The diluted lacquer in the solvents had two layers. The upper layer was solvent soluble and the lower contained precipitates. Hanji was treated with the solvent solubles and the mixture containing precipitates, and then properties of the Hanji were evaluated. The oriental lacquer consisted of 25.04% of water, 60% of urushiol, 3.13% of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and 5.66% of gum. The pH of oriental lacquer was 5.3 and the viscosity was 1680 cP. The average weight, thickness, and density of Hanji treated with oriental lacquer tended to gradually decreased as the lower concentration of lacquer was used and as the solvent soluble was treated. Tensile strength of the treated Hanji decreased when the diluted lacquer was used and Hanji treated with terpene dilutes at the ratio of lacquer to solvent of 1:5 (v/v)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ones treated with ethanol dilutes. The folding endurance decreased as the less concentrated lacquer was used and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when 1:40 (v/v) of lacquer to solvent ratio in both ethanol and terpene mixture. Absorption ratio was higher in the Hanji treated with ethanol mixture, treated with the lacquer in higher concentration, and treated with ethanol mixture. Hanji treated with ethanol dilutes at 1:20 (v/v) and the lower ratio of lacquer to solvent showed a hydrophobic property. Amount of the bound dye materials tended to be decreasing as the concentration of lacquer becomes lower and it was higher in Hanji treated with ethanol mixture than with terpene mixture. Color of Hanji treated with the solvent diluted mixture was Y to YR-type, whereas that of Hanji treated with raw oriental lacquer was Y-type, terpene

  • PDF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 서수정;심규봉;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1-1377
    • /
    • 2011
  •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 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Regulation of Nrf2 Transactivation Domain Activity by p160 RAC3/SRC3 and Other Nuclear Co-Regulators

  • Lin, Wen;Shen, Guoxiang;Yuan, Xiaoling;Jain, Mohit R.;Yu, Siwang;Zhang, Aihua;Chen, J. Don;Kong, Ah-Ng Tony
    • BMB Reports
    • /
    • 제39권3호
    • /
    • pp.304-310
    • /
    • 2006
  • Transcription factor NF-E2-related factor 2 (Nrf2) regulates the induction of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and antioxidant enzymes in response to many cancer chemopreventive compoun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receptor associated coactivator (RAC3) or steroid receptor coactivator-3 (SRC3) and other nuclear co-regulators including CBP/p300 (CREB-binding protein), CARM1 (Coactivator-associated arginine methyltransferase), PRMT1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1), and p/CAF (p300/CBP-associated factor) in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 chimeric Gal4-Nrf2-Luciferase system containing the transactivation domain (TAD) of Nrf2 in HepG2 ce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AC3 up-regulated the transactivation activity of Gal4-Nrf2-(1-370)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hancement of transactivation domain activity of Gal4-Nrf2-(1-370) by RAC3 was dampened in the presence of dominant negative mutants of RAC3. Next we studied the effects of other nuclear co-regulators including CBP/p300, CARM1, PRMT1 and p/CAF,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different level of positive effects on this transactivation domain activity of Gal4-Nrf2-(1-370). But importantly, synergistic effects of these co-regulators in the presence of RAC3/SRC3 on the transactivation activity of Gal4-Nrf2-(1-370) were observed. In summary, our present study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160 RAC3/SRC3 is involved in the functional transactivation of TAD of Nrf2 and that the other nuclear co-regulators such as CBP/p300, CARM1, PRMT1 and p/CAF can also transcriptionally activate this TAD of Nrf2 and that they could further enhance the transactivation activity mediated by RAC3/SRC3.

다공성 합성흡착제를 이용한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농축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Ripe Fruit Components of Rubus coreanus: Extraction Using Porous Polymer Resins)

  • 최세진;이연실;김진규;정차권;강일준;임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9-155
    • /
    • 2011
  • 4종류의 다공성 합성흡착제(Sepabeads 207, 700, 850, Diaion HP 20)를 사용하여 Rubus coreanus 과실의 물 추출물로부터 과당 및 비polyphenol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DPPH라디칼 소거능 및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된 농축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간 HPLC $ABTS^{{\cdot}+}$ 활성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6개의 항산화 능력을 갖는 활성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대상으로 LC-MS/MS분석을 실시하여 5개의 anthocyanin인 cyanidin-3-sambubioside, cyanidin-3-glucoside, cyanidin-3-xylosylrutinoside, cyanidin-3-rutinoside, pelargonidin-3-rutinoside를 mass pattern 및 분자량 확인 과정을 통해 잠정적 화학구조 동정을 하였다. 수율과 항산화 효능을 고려해 볼 때, 4종의 합성흡착제 중에서 Diaion HP 20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적절한 합성흡착제의 선택으로 표적물질에 대한 polyphenol성 물질의 농축뿐만 아니라 생리학적 활성증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적절한 합성흡착제의 선택은 식품 및 의약품의 정제 및 분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우엉 새싹채소의 재배환경 구축 및 항산화 활성 탐색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 이무열;신소림;박선희;김나래;장영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4-311
    • /
    • 2009
  •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circ}C$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circ}C$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circ}C$보다 $10^{\circ}C$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stletoe(Viscum album)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장태오;유양훈;황용철;김현구;우현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10
  • 소수성 저분자 물질의 추출에 효과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 추출법인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한국산 겨우살이를 추출한 후 추출물의 추출수율, 전자공여능 등의 항산화활성 평가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초임계 이산환탄소를 이용한 추출수율은 300 bar, $40^{\circ}C$에서 12.16%,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은 18.32, 23.84%로 초임계 추출물보다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이 15.73%(400 bar, $3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36.73, 70.53%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의 활성은 일반 용매추출법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들에 비해 EDA 활성이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22.54%(200 bar, $4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7.85, 6.12%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일반용매를 이용한 추출물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이 17.57 wt%(200 bar, $5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4.79와 5.46 wt%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일반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높지 않지만 우수한 SOD 유사활성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하여 항산화 건강기능성 식품의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강원도에서 채취한 야생 뽕잎의 생육 시기별 resveratrol 함량 (Seasonal Resveratrol Contents of Wild-type Mulberry Leaves Collected from Gangwon Province in Korea)

  • 김현복;김정봉;김선림;석영식;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14
    • /
    • 2012
  • 야생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 인제, 양양 3개 지역에서 생육 단계별로 채취한 야생 뽕나무의 뽕잎을 대상으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기능성 및 이용 효율이 기대되는 뽕 유전자원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야생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오디에 비해 평균 함량이 상당히 낮았으나 장려뽕에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생육시기별 야생 뽕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추기의 뽕잎이 춘기보다 함량이 높았다. 즉 춘기 5개엽기 어린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344{\mu}g$/100 g이었으며 뽕잎의 생육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356{\mu}g$/100 g DW, $273{\mu}g$/100 g DW, $253{\mu}g$/100 g DW 이었다. 추기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438{\mu}g$/100 g DW, $476{\mu}g$/100 g DW, $598{\mu}g$/100 g DW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의 원료로서 뽕잎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봄뽕보다는 가을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세 후 바로 실온에 음건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주 지역의 No. 3 개체의 야생 뽕잎은 생육시기 모두 평균 함량보다 높았으며 전체 평균 $539{\mu}g$/100 g DW으로서 10개체의 뽕나무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인제 지역의 No. 7 개체의 뽕잎은 전체 평균 $491{\mu}g$/100 g DW으로 높았다. 따라서 두 개체의 뽕나무는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은 육종소재 및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만한 자원으로 선발하였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애사과의 Polyphenol 함량 변화 (Changes of Polyphenol Contents in Unripe Apples According to Heat Treatments)

  • 이정준;김창식;김성훈;허철성;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7-152
    • /
    • 1999
  • 후지와 아오리 애사과의 기능성 물질인 폴리페놀 화합물을 HPLC로 분리 확인하고, 열처리 조건에 따른 폴리페놀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후지와 아오리 애사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서 각각 14.1, 13.5%이며 pH와 $brix^{\circ}$는 3.2와 8.0으로 낮게 나타났다. (+)-Catech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tannic acid가 폴리페놀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확인되었다. Folin-Denis 방법에 의해 후지와 아오리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각각 0.11%와 0.12%으로 나타났다. HPLC에 의한 4가지 주요 폴리페놀 화합물을 정량한 결과, 후지는 0.06%, 아오리는 0.07%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후지가 아오리 보다 약 3배 이상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열침에 의해 폴리페놀의 면적백분율이 후지는 3.54% 정도 증가하였지만, 아오리는 2.93% 정도 감소하였다. 살균에 의해서는 후지와 아오리에서 각각 1.39, 3.31% 정도 폴리페놀의 면적백분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저장 중의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열침과 살균을 거친 애사과에서만 폴리페놀 함량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농축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는 $brix^{\circ}$가 증가함에 따라 농축에 의한 손실없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