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 facto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7초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 도출 (Factor Analysis for Fun of Animation Using Delphi Technique)

  • 성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6-105
    • /
    • 2013
  • 21세기에 급부상하고 있는 가치는 재미이다. 특히, 애니메이션에서의 재미는 흥행과 관련된 것으로 애니메이션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애니메이션의 연구 중 재미에 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재미가 무엇인지, 애니메이션의 어떠한 요소들이 관객에게 재미를 경험하게 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먼저, 애니메이션의 재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재미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특성과 관련된 재미요소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 초안을 가지고 총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총14명)를 통해 재미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를 스토리의 재미요소, 이미지의 재미요소, 사운드의 재미요소, 움직임의 재미요소, 심리적 재미요소로 도출하였고, 세부항목으로는 18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제품에서 Fun감성이 유발되는 요인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nalytical Method of fun Generating Factor of Product)

  • 강정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21-230
    • /
    • 2003
  • 제품디자인에서 Fun이라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많은 디자이너들이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심리학에서 이야기 하는 Fun발생 메커니즘은 제품디자인에 접목하기에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심리학에서는 Fun이라는 감성을 유발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어떤 상황을 직면하였을 때 심적 정체를 겪은 후, 어떠한 실마리에 의한 정체의 해소를 겪게 될 때 Fun을 느끼게 된다고 이야기 한다. 심리학적 측면에서 Fun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의 도출은 그 접근 방식 자체에서 인지적인 측면의 Fun만을 이야기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성향은 조형을 가지고 있는 제품디자인을 이야기 할 경우, 제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는 지각적인 측면의 재미를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인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인지적 재미요인 이외에 지각적인 측면의 Fun을 제품디자인에서 같이 논의하는 것이 좀더 타당한 접근방법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위해 지각적 측면의 Fun을 이해하기 위해 키치라는 문화현상 중에 키치제품의 유희성이라는 측면을 도입하기로 한다. 키치제품의 유머러스한 형태를 도출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이 지각적인 측면에서도 같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통하여, 내면의 기능적 특성인 인지적 요소와 표면적 고유특성인 지각적인 요소가 모두 거론되어야 실질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단백질합성인자 eIF5B의 저 발현 효모벡터의 제조 및 특성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ector Expressing Low Level of Translation Factor eIF5B)

  • 최상기;송진희;이준행;이병욱;성치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1
    • /
    • 2004
  • eIF5B는 단백질합성의 개시 인자로서 Met-$tRNA^{Met}$을 AUG 개시코돈에 전달하고, 리보솜의 두 소단위체 결합을 유도한다. 이 인자의 기능을 연구할 목적으로 eIF5B를 코딩하는 FUN12 유전자의 5'말단 부위를 삭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모터의 대부분을 삭제한 FUN12를 함유한 pRS효모벡터를 FUN12가 삭제되어 천천히 자라는 돌연변이주 ($fun12{\Delta}g$)에 전달하였을 때 그 표현형을 부분적으로 상보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벡터에서 N-말단이 상실된 eIF5B 단백질이 발현되었고, 그 양이 정상 균주에서 발현되는 eIF5B 양의 약 5%에 불과하였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성장을 상보한 균주에서 발현된 적은 양의 단백질합성개시 인자 eIF5B는 직접적으로 그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균주에서 성장의 제한인자인 eIF5B는 in vitro 에서도 역시 전체 단백질 합성의 활성을 조절하였다.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ed exercise of elderly sports)

  • 김화룡;성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07-819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서울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모집단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총 183부(91.5%)의 자료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재미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스포츠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노인스포츠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노인스포츠 운동만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un Factors of Beauty Workers on the Attitude of Job and Self-Efficiency)

  • 강세령;이영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79-2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뷰티종사자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 각 요인별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재미요인,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에 미쳤다. 둘째,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열의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게임의 장르별 재미 요소 (Fun Factors by Game Genre)

  • 박찬일;양해승;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20-29
    • /
    • 2007
  • 게임을 제작하는 최대의 목적은 플레이어가 재미있어하는 게임을 만들어 성공적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하여 게임의 재미요소를 구분하고 플레이어들의 성향을 정확히 분석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재미요소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세분화된 재미요소를 선택하여 AHP를 이용하여 요소별 중요도를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값을 바탕으로 다량의 게임 플레어들이 평가한 재미요소 값을 활용하여 게임의 장르별 재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게임의 재미 만족도를 위한 평가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르별 게임의 재미 요소 구현에 관한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글 도상성에 나타난 '재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 in Hangul Iconicity)

  • 박영원
    • 기호학연구
    • /
    • 제54호
    • /
    • pp.65-92
    • /
    • 2018
  • 한글의 도상성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을 통하여 재미 요소를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재미'는 문화콘텐츠 산업 성공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문화 콘텐츠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한글 도상성의 특징과 '재미'의 개념 및 재미의 유발요인 그리고 시각적 재미의 생산방법을 정리하였다. 시각적 재미의 생산방법은 시각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의 디자인유머 창출방법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글의 도상성을 재미와 연관하여 10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유형구분은 문화 콘텐츠디자인분야에서, 한글 도상성을 활용한 재미 요소 창출의 디자인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

조형으로부터의 'Fun' 감성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the Mechanism of Occurrence of 'FUN' through Form-Giving)

  • 김유진;이동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39-14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조형(Form-Giving)이 가지는 언어적 능력 또는 기능으로써 'Fun' 감성의 발생과 수용을 다루고 있다. 조형언어로써 'Fun' 감성은 넓은 의미로 사용자가 인공물과의 관계를 통한 경험으로서 소유의지(가지고 싶은)를 갖게 하는 감성으로 정의한다. 좁은 의미로는 보다 능동적이고 의식적인 인지과정에서 겪게 되는 예상치 못한 조형 정보에 대한 물리적.심적 체험의 결과로써 소유의지가 생기는 경우의 감성을 'Fun' 감성으로 본다. 'Fun' 감성의 발생은 사용자의 인지적 특성으로부터 심적 정체(mental block)의 인지과정(여기서는 사용과정으로 보고 있음)을 통한 심적 정체의 해소 시점에서 발생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조형요소의 변형 및 규칙, 그리고 적용 조건을 인지적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과 조형 컨텍스트(context)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제안하였다. 이는 목적하는 감성에 부합하는 조형(form-giving)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진다. 또한 다루고 있는 심적 정체로부터 'Fun' 감성 지향을 위한 조형 요소의 활용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보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디자인에 있어서 'Fun' 감성의 발생 메커니즘의 활용이 보다 매력적이고 흥미있는 제품 컨셉과 제품 형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길 기대한다.

  • PDF

헬스 어플리케이션의 재미요인과 몰입이 이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 Factors and Immersion on Health Applications Flow User Satisfaction)

  • 유현중;지원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57-65
    • /
    • 2020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하고 있는 가운데 비대면 중심의 헬스케어 영역이 증가하고 있다. 헬스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와 몰입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총 235명 분석대상을 통해 헬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즐거움, 흥미, 사교)와 몰입요소를 찾아내었다. 두 번째로 재미요소와 몰입이 만족(구전의도, 사용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성별에 따라 헬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재미요소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남, 녀모두 즐거움에 따른 구전의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즐거움과 심리적 보상의 요소가 사용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헬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중 즐거움의 요소를 강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지속이나 구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마케팅 차원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