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duplex communicat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실시간 분산 제어 시스템용 고속 전이중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설계 및 성능 평가 (Real-time Full-duplex Ethernet Networks for Real-time Distributed Control System)

  • 최재영;김형석;권욱현;이성우;송성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14-27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일대일 전송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전이중 패스트 이더넷 방식을 응용하여 고속 브로드 캐스팅 통신망을 구성하고 실시간 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제안된 통신망의 세부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 등을 설명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시간 메시지 스케줄링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제시된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때의 각종 시변수들에 대한 수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성 보장에 대한 성능평가를 포함한 통신망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제안된 통신망 FER(Full-duplex Ethernet networks for Real-time communication)의 실제 구현 및 응용 대상에 대해서 언급한다.

  • PDF

Secrecy Capacity for Full-Duplex Massive MIMO Relaying Systems With Low-Resolution ADCs

  • Antwi-Boasiako, Bridget Durowaa;Lee, Kyoung-Jae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6-287
    • /
    • 2019
  • In this paper, we consider an amplify-and-forward (AF) full duplex (FD) massive-antenna relay (or base station) aiding communication between K single-antenna source and destination pairs whose transmissions are overheard by one single-antenna eavesdropper. Maximum ratio combining (MRC) and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processing is employed at the relay. The secrecy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then derived with both relay and destination being equipped with low resolu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s (ADCs). The results show the detrimental effect of the eavesdropper's presence on the sum rate of the system.

  • PDF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다수 사용자간 Full-Duplex 음성 통신 시스템을 위한 TDMA/TDD MAC 프로토콜 설계 (A Design of TDMA/TDD MAC Protocol for Full-Duplex Multi-User Voice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Sensor Network)

  • 김지수;이재형;조성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3호
    • /
    • pp.239-246
    • /
    • 2013
  • 기존 IEEE 802.15.4는 PHY 계층과 MAC 계층에서의 표준을 제공하며 저전력, 저대역폭, 저속 데이터 통신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하여 IEEE 802.15.4는 센서 검출, 홈 네트워크 등의 제한된 용도로만 쓰였으나 최근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네트워크 기반 Peer-to-Peer 음성 통신의 개선을 통해 다수 사용자간의 음성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새로운 IEEE 802.15.4 PHY 기반 TDMA/TDD MAC을 설계하고 그룹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개발 하였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해 Mean Opinion Score (MOS)를 측정 하였으며 이는 사인파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이 실제 환경에서 다양한 응용 솔루션으로 개발 될 수 있음을 기대하였다.

조명 및 무선통신이 동시에 가능한 가시광 송수신기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ransceiver applicable to both of illumin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 송석수;공영식;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A호
    • /
    • pp.219-226
    • /
    • 2012
  • 본 연구는 조명 및 무선통신이 동시에 가능한 가시광 송수신기에 대해 가시광 통신 본연의 가시성, 무선 통신의 사용 편의성 그리고 고속의 통신 속도를 고려해 edge-emitting laser diode와 silicon photo diode를 기반으로한 고속 가시광 무선 송수신기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가시광 무선 송수신기는 120Mbit/s의 고속에서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때 발생하는 누화(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shielding 방식을 적용해 가시광 송수신기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측정 분석하였다. 또 수신기의 시야각 확대를 위한 방법으로는 새로운 구조의 광학적 antenna를 적용해 광학적 antenna가 없는 두 개의 송수신기 사이의 전송링크 특성과 광학적 antenna를 사용한 두 개의 송수신기 사이의 전송링크 특성을 2차원 평면상에서 전송거리, 적용범위 그리고 기울임 정도를 변화시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ADC 효과를 고려한 In-Band Full-Duplex 시스템의 신호 분석 및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and Signal Analysis of In-Band Full-Duplex System with ADC Effect)

  • 안창영;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1호
    • /
    • pp.2131-214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BFD(in-band full duplex)시스템에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효과가 고려되었을 경우의 신호 특성을 분석하고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 및 분석한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IBFD 시스템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 다음 ADC 효과가 고려될 경우 ADC에 인가되는 잔류 자기간섭 신호의 크기에 따른 ADC 전후의 수신 신호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여기에서 1차적으로 ADC의 양자화 단계 크기가 목표 신호보다 작은 조건을 계산을 통해 파악하고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ADC 효과가 고려된 IBFD 시스템을 설계하고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ADC 입력에 인가된 자기간섭 신호의 크기에 따라 양자화 단계의 크기가 목표 신호의 크기보다 작도록 ADC의 비트를 결정하여야 목표 신호에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좋은 성능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양자화 단계 크기가 대략 목표 신호 크기의 1/3보다 작아야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OFDM-TDD 기반 이동 릴레이 시스템을 위한 다중 셀 분산형 릴레이 전력 제어 방법 (Distributed Relay Power Control Scheme for Multi-cell OFDM-TDD Based Mobile Relay System)

  • 조영민;박정훈;황승계;김동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62-5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을 갖춘 릴레이를 도입한 다중 셀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각 셀의 수율을 개별적으로 최대화시키기 위한 분산형 이동 릴레이 전력 제어 방식 (Distributed Mobile Relay Power Control; DMRPC)을 제안한다. DMRPC 방식을 사용한 릴레이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셀 간 협력과 그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 없이 각 셀에서 개별적으로 릴레이의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DMRPC 방식을 사용한 시스템이 전력 제어 없이 릴레이를 사용한 최대 전력 릴레이 시스템과,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향상된 셀 수율 성능을 보이는 것을 모의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또한, 최대 전력 릴레이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에 비해 셀 외곽 지역 평균 수율 성능이 떨어지는 반면, DMRPC 방식을 사용하면 기존 시스템에 거의 근접한 셀 외곽 지역 평균 수율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보인다.

가시광 LED를 이용한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LED Lighting)

  • 계광현;손경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52-8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조명으로 사용되는 LED를 이용하여 실내 가시광 통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LED는 디지털 변조가 가능하므로 조명과 더불어 광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개념과 연구결과에 기인하여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LED는 고 휘도, 신뢰성, 저 전력 소비, 긴 수명의 장점을 가지므로 고 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용 광원으로서도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광무선 통신시스템과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시스템을 구현하여 통신 성능을 실험하였다. 이 실험결과는 실내 무선 환경을 지향하는 조명등의 내부회로로 설치될 수 있는 저가형 광통신 트랜시버의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A Novel Social Aware Reverse Relay Selection Scheme for Underlaying Multi- Hop D2D Communications

  • Liang Li;Xinjie Yang;Yuanjie Zheng;Jiazhi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0호
    • /
    • pp.2732-2749
    • /
    • 2023
  •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nd been studied extensively thanks to its advantages in improving spectral efficiency and energy efficiency of cellular network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relay selection algorithm for multi-hop full-duplex D2D communications underlaying cellular networks. By selecting the relay of each hop in a reverse manner,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heavy signaling overhead that traditional relay selection algorithms introduce. In addition, the social domai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D2D communications studied, which is found significant enough not to be overlooked. Moreover, simul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n absence of social relationship information, improves data throughput by around 70% and 7% and energy efficiency by 64% and 6%, compared with two benchmark algorithms, when D2D distance is 260 meters. In a more practical implementation considering social relationship information, although the proposed algorithm naturally achieves less throughput, it substantially increases the energy efficiency than the benchmarks.

스펙트럼 효율 향상을 위한 동일대역 동시 통신 (Simultaneous Single Band Duplex) 시스템 (Simultaneous Single Band Duplex System for the Spectrum Efficiency Improvement)

  • 안창영;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9호
    • /
    • pp.810-81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동일 대역 동시 이중 통신(SSD)을 위한 시스템 모델과 간섭 채널 추정을 통한 효율적인 Digital Cancellation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RF Cancellation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다고 가정한다. SSD 시스템에는 자국의 송신 신호가 자국의 수신기에 간섭 신호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자기 간섭 신호 제거를 위해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해야 한다. 효과적인 자기 간섭 채널 추정을 위해 제안하는 시스템은 시간 프레임에 추정 구간을 두었다. 또한 최적의 계수 선택을 위해 신호 전력의 세기를 계산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가장 잘 제거하는 계수를 선택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추가로 남아있는 자기 간섭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LDPC 부호를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면서 LDPC 부호의 5회 반복을 통해 20dB에서 $10^{-4}$의 성능을 낸다. 즉, 제안하는 방법은 자기 간섭채널이 심하게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 하면서 SSD 통신을 할 수 있다.

Accelerometer Sensor와 PIC를 이용한 Cellular-phone용 Digital Input System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Input System for Cellular-phone using the Accelerometer and PIC)

  • 여영호;손수국;윤나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495-1498
    • /
    • 2003
  • This paper has been studied about designed digital-pen using PIC and Accelerometer and about calculated acceleration by the measure analog signal from accelerometer Finally, we calculate the coordinates and the tilt about the acceleration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gital-pen from cellular phone. And we discuss about the full-duplex communication of input data that displayed in cellular ph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