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ji appl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6초

저장중(貯藏中) 사과의 Polyphenol Oxidase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Changes in Polyphenol Oxidase of Apple during the Storage)

  • 김옥연;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41-150
    • /
    • 1983
  • 사과 Fuji와 국광을 저온(低溫) 상태하(狀態下)에서 저장방법(貯藏方法)을 달리하였을 때, 내부갈변(內部褐變) 및 PPO.의 변화(變化)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E film저장(貯藏)에 있어서 내부갈변(內部褐變) 정도(程度)는 11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가 10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보다 많았고, 0.09mm 2%구(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0.06mm 2%구(區), 0.06mm 2%구(區)의 순(順)이었으며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에서는 내부갈변(內部褐變)을 볼 수 없었다. 2. P.E film저장중(貯藏中) Fuji의 PPO. activity 및 PPO. specific activity는 11월(月) 수확(收穫)이 10월(月) 수확(收穫)에 비해 높았으며, 0.09mm의 2%구(區)가 0.06mm구(區)보다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고,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 동안 Fuji의 PPO. activity는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PPO. specific activity는 계속 감소(減少)하였다. 3. 국광의 PPO. activity는 Fuji에 비해 상당히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PPO. activity 및 specific activity는 저장(貯藏) 초기(初期)와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4. 이상(以上)으로 미루어 Fuji의 내부갈변(內附褐變)은 저온장해(低溫障害)보다는 $CO_2$장해(障害)로 보이며 품종간(品種間)의 PPO. activity의 정도(程度)와 내부갈변(內附褐變)의 관련(關聯)은 찾을 수 없는 것 같다. 그러나 Fuji의 경우 PPO. activity증대(增大)는 $CO_2$의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내부갈변(內部褐變)과 어느정도 관련(關聯)이 있는 것 같다.

  • PDF

사과의 과경절단이 과피에 상처발생, 작업노력 저장시 과중, 경도에 미치는 영향 (Occurrence of apple-skin wound, changes of input labor and changes of apple weight and flesh firmness by apple stalk cutting in 'Fuji' apple)

  • 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21-29
    • /
    • 2006
  • 우리사과의 재배노력 절감으로 대외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몇가지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 수확시 및 선별시 과경에 의한 과피의 상처발생은 선별시 보다 수확시에 많이 발생하였고 대과에서 상처발생이 심하였다. 사과 수확시 과경을 절단하면서 수확하면 과경을 절단하지 않고 수확하는 것보다 수확량이 반이하로 줄어서 수확노력이 배 이상 소요된다. 사과 선별기의 접시와 집적판 사이의 간격이 0cm인 경우에 소과에서 과피에 상처가 적게 발생하였다.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여 저장하는 것이 과경을 무절단하여 저장하는 것 보다 과중이 크게 감소되어 저장시에는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사과의 과경절단 유무에 따른 사과의 경도는 차이가 없었다. 경와부 밖으로 돌출된 사과과경의 길이는 사과의 크기와 차이가 없는 경향 이었다. 따라서 사과의 과경을 절단하지 않음으로서 과경절단에 소요되는 노력절감 및 과경절단 비용을 소득화 하고 원활한 대일 수출, 품질유지 등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Expanded Polystyrene Box로 포장한 후지 사과의 신선도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 Packed with Expanded Polystyrene Form Box)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최주섭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2
    • /
    • 2000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사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코자 사과를 포장하여 $20^{\circ}C$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 필름, 기능성 MA필름과 50배로 발포시킨 EPS상자에 사과를 15kg씩 포장하여 포장재간의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40일 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EPS 상자는 0.5%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06과 2.31 mg%로 EPS 포장구가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의 경우 대조구는 상자당 3-5개과가 발생했으나 EPS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색 및 청색 방풍망 차광 처리가 '후지', '홍로' 사과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ite and Blue Wind Net Shading on the Quality of 'Fuji' and 'Hongro' Apple Fruits)

  • 강경진;서정학;윤홍기;서정석;주정일;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0-129
    • /
    • 2020
  • 본 연구는 '후지/M.9'와 '홍로/M.9'가 재식된 사과원에 바람이나 우박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망(구멍크기 : 2×2mm)을 수관상부에 색상별로 백색과 청색을 나누어 설치한 후 햇빛의 차광정도 및 생육환경 차이 등에 따른 과실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후지' 사과의 경우 대기온도 34.8℃인 오후 2~3시경의 과실표면 온도를 측정한 결과, 무처리는 40.0℃로 가장 높았고, 청색 방풍망과 백색 방풍망 처리구는 각각 34.9℃, 36.6℃로 크게 낮았다. '홍로'에서는 무처리구가 44.2℃일 때, 청색 방풍망 처리구는 38.3℃, 백색 방풍망 처리구는 38.5℃를 기록하여 '후지'와 마찬가지로 온도 경감효과를 보였다. '후지'의 과피색차를 조사한 결과, 과피적색도(a)는 무처리구가 16.5, 청색 방풍망 처리구는 18.0였으나, 백색 방풍망 처리구는 19.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홍로'에서도 백색 방풍망 처리구가 적색도가 34.9로 무처리구 28.1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적색도 발현을 보였다. 일소피해 조사결과, '후지'에서 청색 방풍망 처리구 3.8%, 백색 방풍망 처리구 4.2%로 무처리구 9.4%에 비하여 크게 경감되었고, '홍로'의 경우는 청색 방풍망 처리구는 8.8%, 백색 방풍망 처리구는 12.4%로 무처리구 28.8%에 비하여 일소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처리별 자외선 수치를 측정하였을 때 무처리 구간의 자외선 값에 비해 청색 방풍망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아 방풍망 처리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과에 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후지' 사과의 멍 검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Bruise Detection of 'Fuji' apple using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ery)

  • 조병관;백인석;이남근;모창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6호
    • /
    • pp.484-490
    • /
    • 2011
  • Defects exist underneath the fruit skin are not easily discernable by using conventional color imaging technique in the visible wavelength ranges. Development of sensitive detection methods for the defects is necessary to ensure accurate quality sorting of fruits.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s, which combine the features of image and spectroscopy to acquire spatial and spectr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have demonstrated good potentials for identifying and detecting anomalies on biological substances. In this study, a high spatial resolution hyperspectral reflectance technique was presented as a tool for detecting bruises on apple. The two-band ratio (494 nm / 952 nm) and simple threshold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scriminating the bruises from sound tissue of apple. The pixel wise accuracy of the discrimination was 74%. The resultant images processed with selected wavebands and morphologic algorithm distinctively showed the early stages of bruises on apple which were not discernable by naked eyes as well as a conventional color camera. Results demonstrated good potential of the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ing for detection of bruises on apple.

After-infection Activity of Protective Fungicides against Apple White Rot

  • Lee, Dong-Hyuk;Kim, Dae-Hee;Woo, Hyun;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66-173
    • /
    • 2007
  • In a trial to select suitable fungicides for developing a spray program that can control apple white rot effectively, after-infection activities in some protective fungicides were detected. Six fungicides, mancozeb, propineb, benomyl, folpet, azoxystrobin and iminoctadine-triacetate, which had been extensively used in apple orchards, were sprayed on 12-year-old apple trees (cv. Fuji) at 15-day intervals from late May to late July. Disease incidences and infection frequencies of the fruit bagged just before and soon after each spray were examined. When the infection frequency or disease incidence of the fruit bagged after each spraying of fungicid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ruit bagged before spraying, the fungicides appeared to confer after-infection activity. The six fungicides showed diverse activities on white rot: folpet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disease development, iminoctadine-triacetate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infection, azoxystrobin showed after-infection activity on disease development and infection, and mancozeb, propineb and benomyl showed no distinct activity. The activity of a fungicide became much higher when it was sprayed alternately with other fungicide rather than successive spraying of the same fungicide.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these protective fungicides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highly effective spray program against white rot.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Up-regulated Genes in Apple with White Rot Disease

  • Kang, Yeo-Jin;Lee, Young Koung;Kim, In-J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530-537
    • /
    • 2019
  • Fuji, a major apple cultivar in Korea, is susceptible to white rot. Apple white rot disease appears on the stem and fruit; the development of which deteriorates fruit quality, resulting in decreases in farmers' income. Thus,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apple white rot resistance. In this study, we screened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uninfected apple fruits and those infected with Botryosphaeria dothidea, the fungal pathogen that causes white rot. Antimicrobial tests suggest that a gene expression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substance inhibiting the growth of B. dothidea in apples was induced by pathogen infection. We identified seven transcripts induced by the infection. The seven transcripts were homologous to genes encoding a flavonoid glucosyltransferase, a metallothionein-like protein, a senescence-induced protein, a chitinase, a wound-induced protein, and proteins of unknown function. These genes have functions related to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es, including pathogen infections. Our results can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or for use in breeding white rotresistant cultivars.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foliation by Marssonina Blotch on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 사공동훈;권헌중;송양익;박무용;남종철;강석범;이상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31-538
    • /
    • 2011
  • 본 실험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 정도가 수체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갈색무늬병에 의해 9월말 수관 전체 낙엽율이 10% 이상 되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감소되었고, 30% 이상이면 평균과중이 감소되었다. 과실의 착색과 전분 함량은 과실 주변 잎들의 낙엽 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듬해 개화율 및 과중, 총신초장은 전년도 낙엽율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후지'/M.9 사과나무의 과대지에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없는 잎은 9월 말에도 광합성속도를 약 $10{\mu}mol{\cdot}m^{-2}{\cdot}s^{-1}$ 이상 유지하여 9월 말 이후의 과실비대 및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9월말 갈색무늬병반이 전체 잎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한 잎의 광합성속도는 건전한 잎의 30%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낙엽구들의 과실품질 감소는 과실 내 전분 감소에 의해서 이며, 과실 내 전분 감소는 갈색무늬병에 의해 과실주변 잎들의 광합성속도가 8월 이후부터 감소되었기 때문이었다.